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글로벌 비즈니스현황&코로나 바이러스 현황703

UAE의 디지털전환(DX) 동향 이모저모 발달된 디지털인프라와 젊은 인적 구성으로 디지털 전환에 대한 거부감 적어 - - 정부 주도의 행정서비스 디지털화 추진 및 민간부문의 상거래·결제 고도화 활발 - 코로나 사태 속 UAE의 디지털전환(DX) 시계도 빨라졌다. 감염 확산 우려로 비대면 공공서비스와 교육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급증함에 따라 기존 UAE 정부가 추진해오던 디지털화 전략들의 조기이행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한편, 민간 부문에서는 기존 오프라인 서비스의 온라인화 추진이 활발해짐에 따라 e-마켓플레이스와 디지털 결제에 대한 수요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해당 분야 내 디지털화 전환이 가장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UAE 정부와 민간의 디지털전환 사례를 통해 현지 시장의 디지털화 트렌드를 확인해보자. UAE의 디지털전환(DX) .. 2021. 3. 18.
일본 중소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현황 및 추진 전략 - 일본 중소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중요성은 대부분 인지하고 있으나 실제 도입은 더딘 상황 - - 단순한 디지털화를 넘어 디지털화를 통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이 궁극적인 목표 - - 성공적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해서는 단계별 과업에 대한 인식과 적절한 대응이 필수 - 일본 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통칭 DX) 정책으로 인해 많은 기업들이 해당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현재 대기업과 IT 친화력이 높은 일부 서비스 산업에서는 적극적으로 DX 과제를 추진하고 있으나 IT 관련성이 적은 기업들이나 규모가 적은 중소기업들은 DX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면서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어려워하는 상황이다. 특히 일본 킨키 지역*은 소재, 부품, 장비 등의 중소기업이 많이 포진돼 있는 지역으로 .. 2021. 3. 18.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일본 DX의 현주소 - 일본의 재택근무 실행률은 22%에 그치는 등 DX 추진은 더딘 상황 - - DX 추진을 위해서는 경영진의 비전과 사내 인재가 중요 - - 일본 정부의 DX정책을 적극 활용한 우리 기업의 진출기회 모색 필요 - 디지털 기술이 발달하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융합’을 의미하는 OMO(Online Merges with Offline)에 의해 새로운 가치가 창출되고 있으며, 더 이상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를 나눌 필요가 없어졌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코로나19의 대유행이라는 이례적인 상황이 더해져 기업이 안고 있는 운영상의 문제점들이 부각되면서 최근 디지털 전환(DX, Digital Transformation)을 위한 움직임이 한층 더 가속화되고 있다. OMO: Online Merges with O.. 2021. 3. 18.
사우디아라비아의 디지털 전환 현주소 - 디지털 전환, 기업의 생산성 극대화 및 소비자 편의성 증진 - - NTP 2020, VISION 2030 기반으로 가속화되는 스마트시티 개발 - 디지털 전환(DX, Digital Transformation)은 이제 IT기업과 같은 최첨단 산업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산업을 불문하고 디지털 기반으로 비즈니스를 변화시켜야만 기업이 살아남고 성장할 수 있다고 평가된다. 이에 많은 기업들이 디지털화를 시도하고 있지만 실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성공하는 기업은 매우 적다. 사우디는 그간 석유분야 수입이 정부 수입의 67% 이상을 차지하는 등 경제의 근간이 특정 산업에 집중돼 있었으나 ‘16년 발표된 ’SAUDI VISION 2030’ 정책을 통해 제조업 육성과 산업 다각화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2021. 3. 1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