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글로벌 비즈니스현황&코로나 바이러스 현황703

중국 면세시장의 변화 - 적극적인 정책지원, 하이난성 면세사업 급부상 - - 중국 면세산업 진출기업 크게 늘어 - 중국 면세점 산업 개요 최근 몇 년간 중국 면세사업의 매출액 증가가 빠른 속도로 이뤄졌다. 특히 2019년 중국 면세사업의 전체 매출은 약 545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했다. 2015~2019년 중국 면세업 매출액 및 증가속도 (단위: 억 위안) 자료: 치엔잔왕(前瞻网) 중국 면세점의 3대 유형 현재 중국 면세점은 공항면세점, 시내면세점 및 출섬(离岛)면세점 3종류가 있다. 중국 면세점 분류 구분 면세점 유형 비고 1 공항면세점 - 공항면세점은 출국면세점과 입국면세점으로 나눠져 있음. 2 시내면세점 - 시내면세점은 출국자 대상 시내면세점과 귀국자 대상 시내면세점으로 나눠져 있음. 3 출섬(离岛)면.. 2021. 3. 19.
스리랑카 디지털 전환 현황 - 정부, 디지털 전환 정책 및 법안 수립 중 - - 외부기관, 디지털화할 기본 체질은 평균 이상으로 진단 - 스리랑카 디지털 전환 현황 개발도상국인 스리랑카는 아직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흐름의 초기 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스리랑카에서 인터넷 사용자 수는 지난 10년간 매년 두 자릿수 이상 증가하고 있지만, 인터넷을 활발하게 사용하는 수는 30% 정도이다. 맥킨지가 다양한 산업군에서 50개 스리랑카 기업의 디지털 성숙도(Digital Maturity)를 조사한 결과, 전 세계 중간 점수가 33점인데 스리랑카 기업의 점수는 35점으로 나타났다. 다른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개발도상국들(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에 비해 높은 연결성, 디지털 마케팅 역량, 디지털 분야에 대한 .. 2021. 3. 19.
카타르의 디지털 전환 정책과 비즈니스 도입 사례 - 교통통신부(MoTC) 주도 타스무(TASMU) 프로그램을 통해 5대 분야 디지털화 추진 - - 코로나19 이후 소비 환경 변화가 정부 및 민간 기업 디지털 전환 주도 - 디지털 전환 관련 정부 지원 정책 1) 정부 정책 동향 카타르는 2008년 발표된 카타르 국가 발전전략 QNV 2030(Qatar National Vision 2030)에 따라 5년마다 국가발전전략(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NDS)을 수립하고 있다. 이 중 ICT 산업에 대해서는 교통통신부(MoTC)를 통해 세부 전략을 세우고 디지털 환경 및 접근성 개선을 모색해왔다. 정부는 QNV 2030과 국가발전전략에 따라 국가 디지털화 프로그램 타스무(TASMU Smart Qatar Program), 전자정부전략.. 2021. 3. 19.
디지털 전환으로 위기를 극복한 덴마크 중소기업 사례 - 빅데이터 및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플랫폼 활용해 디지털 전환 성공 - - 기업의 생존을 위해 디지털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 - 덴마크 산업 연맹(Confederation of Danish Industry)에 따르면 덴마크는 세계에서 디지털화의 세계적인 추세를 따를 준비가 가장 잘 돼 있고 사회 전반적으로 이미 디지털화가 상당히 발전된 국가라고 한다. 또한 덴마크의 탄탄한 사회복지정책과 안정된 정치환경, 유연한 노동시장 풍토 등도 디지털 전환에 있어서 덴마크의 강점이다. 이러한 덴마크의 디지털 전환 현황을 덴마크 현지 폐기물 처리 기업 노레코(Norreco)의 CIO 피터 벳쳐(Peter Bøttcher) 씨와의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해당 기업과의 인터뷰는 2021년 2월에 비대면 형식.. 2021. 3.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