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글로벌 비즈니스현황&코로나 바이러스 현황703

위기를 기회로? 변화하는 일본 홈 센터 시장! - 포화 시장이 되어버린 일본의 홈 센터, 생존을 위한 다양한 시도 관측 - - 일본 시장 특성을 이해하고 장기적으로, 지속적으로 접근해야 - 일본 홈 센터* 시장은 1970년대 3,000억 엔 규모에서 1990년대까지 3조 엔 규모로 급성장 했으나, 이후 20년 가까이 큰 성장 없어 2019년 기준으로 4조 엔에 못 미치는 상황이다. 최근 10년간 평균 성장률은 1.2%로 거의 변동이 없는 것을 보았을 때 급속 성장산업에서 안정 성장산업으로 변화했다고 볼 수 있다. * 주 : 홈 센터는 건자재, 생활잡화 등을 판매하는 소매점 형태를 의미 일본 홈 센터 시장 규모 추이 (단위:억 엔) 자료 : 일본 DIY 홈 센터 협회 이러한 일본의 홈센터 시장이 코로나 사태를 맞이함에 따라 변화의 움직임이 관측되고 있.. 2021. 4. 6.
베트남 2021~2025 우선투자대상 8개 경제구역 - 우선 투자대상경제구역 9개가 2016~2020 전체 26개 경제구역 무역의 89% 차지 - - 몽까이경제구역, 동당-랑선·라오까이 국경경제구역의 교역활동 가장 두드러져 - 2020년 12월 베트남 총리는 2021~2025 사회경제개발계획에 포함된 우선 투자대상 8개의 경제구역을 승인했다. 이번 해외시장뉴스에서는 경제구역의 정의와 지난 2016~2020 사회경제개발계획 기간의 우선 투자대상 경제구역 및 26개 경제구역을 돌아보고 이번 2021~2025 사회경제개발계획에 우선 투자대상으로 승인된 8개 경제구역에 대해 알아본다. 1. 경제구역 경제구역(Economic Zones)의 정의 ‘산업 및 경제구역관리에 대한 시행령’(Decree No.82/2018/ND-CP) 제1장 제2조 제7항에 따른 경제구역.. 2021. 4. 6.
美 정부 인프라·제조업 투자를 통한 경제재건계획 공개 - 친환경·인프라, 제조업, R&D 등 2조2000억 달러 투자 계획 공개 - - 재원 마련을 위해 법인세 인상, 다국적기업 해외소득 세율 상향 방침 - - 인프라·친환경 산업 특수 가시화, 한미 간 R&D 협력기회 증대 전망 - 3월 31일 백악관은 8년간 2조2000억 달러를 투입하는 경제재건 계획을 공개했다. ‘미국 일자리 계획(The American Jobs Plan)'으로 명명된 이번 정책 제안에는 ⑴ 공공 인프라 투자, ⑵ 제조업 육성, ⑶ 연구개발(R&D) 지원, ⑷ 기후변화 대응 등 항목별 세부 지출계획이 포함됐다. 바이든 대통령은 연설에서 “미국의 최대 당면 과제인 기후변화와 중국의 도전에 맞서 과감한 정부 투자가 시급하다”고 역설했다. 한편, 이번 정책제안에는 인프라 계획에서 최대 쟁점.. 2021. 4. 6.
최근 싱가포르 지식재산권 지원 정책 및 이슈 - 글로벌 지식재산권 허브 역할 강화하는 싱가포르 - - 지식재산권, 신속 제도와 모바일 앱을 통해 쉽고 빠르게 등록·관리 가능 - 싱가포르는 지리적 위치를 강점으로 물류, 무역, 금융, IT 등 각종 산업의 국제적 비즈니스 허브 역할을 하고 있으며 싱가포르 정부는 일찍부터 특허, 상표, 디자인 등의 지식재산권을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로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본적인 요건으로 인식해 관련 제도를 정비해왔다. 특히 최근 글로벌 IP 허브 역할을 강화하고자 하는 목표하에 지식재산권 발전 전략과 다양한 지원제도를 발표하고 있어 최근 싱가포르의 지식재산권 관련 정책 및 이슈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최근 싱가포르 지식재산권 정책 및 이슈 1) 싱가포르 특허를 빠르고 쉽게, SG IP Fast Programm.. 2021. 4.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