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글로벌 비즈니스현황&코로나 바이러스 현황703

러시아의 스마트팜 프로젝트 진행 현황 - 지방균형발전 및 디지털 경제 정책 활용이 중요 - - 러시아 스마트팜은 경제특구 스타트업 기업과 외국 기술력에 의존 중 - 세계은행(The World Bank)은 스마트팜을 ‘기후 스마트 농업(climate-smart agriculture(CSA))’의 개념으로 정의하며 농업, 축산, 산림, 어업의 지속가능 생산성 및 회복력 강화, 배출가스 감소의 증가를 목표로 삼고 있다. 한편, Wikipedia에서 스마트 농업은 GPS, 지리정보시스템, 변동기술(VRT), 지구원격감지(Earth's Remote Sensing, ERS), IoT(사물인터넷) 등의 선진 솔루션을 기반으로 한 정교한 농업 관리 통합시스템을 의미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러시아 지역별 스마트팜 추진 현황 1) ‘스마트 파밍(Smart Fa.. 2021. 4. 14.
아르헨티나, 남미공동시장(Mercosur) 유연화에 반대 - 각 회원국 단독의 역외 통상협상 반대 방침 고수 - - 향후 회의 등을 통해 지속 논의할 전망 - 지난 2021년 3월 26일 개최된 남미공동시장 탄생 30주년 기념 회원국 정상회의에서 남미공동시장 운영방식의 유연화에 대해 회원국 간 입장차가 뚜렷했다. 브라질, 우루과이는 남미공동시장 비회원국 또는 역외 지역과의 통상협정을 회원국 각자가 독자로 할 수 있도록 주장했으나 아르헨티나는 이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하였다. □ 아르헨티나, 국내 산업 보호정책 여전 아르헨티나는 2021년 4월 7일 화상으로 진행된 공동시장그룹(Common Market Group) 회의에서 대외공동관세(Arancel Externo Común (AEC), Common External Tariff(CET)) 수정안을 제출했다... 2021. 4. 14.
EU 신 통상정책 6대 주요 분야별 세부전략을 살펴보자 ② - 디지털 전환, 국제사회에서의 EU 표준·규제 영향 강화 및 대외관계 중심- 상기 정보는 EU 신통상 정책과 6대 분야별 세부전략을 ① WTO 개혁, 그린전환 및 지속가능 공급망, ② 디지털 전환, EU 영향력 강화 및 대외관계, ③ FTA 추진, 모니터링 및 공정경쟁 환경 등 총 3개의 시리즈로 연재할 예정임을 알려드립니다. ③ 디지털 전환 및 디지털 통상 집행위는 디지털화가 그린전환과 더불어 EU의 최우선 과제임을 강조하며, 통상정책이 디지털 전환을 위한 중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전자상거래 규모의 성장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상품·서비스가 급증하고 있어, EU는 유럽 차원의 법적체계를 마련하고 디지털 단일 시장을 강화할 예정이다. 특히 디지털 전환을 위해 데이터가 핵심적인 역.. 2021. 4. 14.
EU 신 통상정책 6대 주요 분야별 세부 전략을 살펴보자① - WTO 개혁, 그린전환 및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 중심 - 상기 정보는 EU 신통상 정책과 6대 분야별 세부 전략을 ① WTO 개혁, 그린 전환 및 지속가능 공급망, ② 디지털 전환, EU 영향력 강화 및 대외관계, ③ FTA 추진, 모니터링 및 공정경쟁 환경 등 총 3개의 시리즈로 연재할 예정임을 알려드립니다. 2021년 2월 18일, 집행위는 신 통상정책(An Open, Sustainable and Assertive Trade Policy)을 발표했다. 현재 EU의 통상정책은 2015년 융커 전 EU 집행위 정부 때 수립되었던 통상전략(Trade for ALL)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019년 12월 출범한 신 집행위원회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WTO 위기, 디지털화, 그린딜 등 역내외 변.. 2021. 4. 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