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글로벌 비즈니스현황&코로나 바이러스 현황703

2021년 중국 K-소비재 수입 중간 점검 경기회복 및 수출입 호조를 바탕으로 K-소비재 상반기 수입 활황 - - 중국 일상 정상화에 따라 품목별로 명암 엇갈려 - 2021년 중국의 대한국 수입은 기저효과와 글로벌 경기회복 요인으로 연초부터 6개월 연속 두자릿수 증가세를 유지해 왔다. 상반기 대한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25.3% 증가하며 1000억 달러(996억 달러)에 육박했다.주*: 대한 수입 증감률: (1월) 30.3% → (2월) 14.0% → (3월) 22.7% → (4월) 29.5% → (5월) 31.9%→(6월) 24.0% 경기 회복과 수출입 호조를 바탕으로 K-소비재 수입도 활발하게 이뤄졌다. 올 상반기 중국의 한국산 소비재(HS 8단위 기준)에서 수입액 1000만 달러 이상인 품목은 총 39개에 달하며 이 중 29개 품목이 두.. 2021. 8. 13.
대만 취업 희망자들을 위한 현지 고용시장 동향 - 대만 내 외국인 취업자 증가 추세 - - 한국인 채용 희망 대만기업 대만-한국을 잇는 ‘커뮤니케이터’ 자질 기대 - 대만은 고용률(만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57% 안팎을 유지하고 있는 시장으로 취업자수는 1140만~1150만 명대에 달한다. 대만 구직자들이 선망하는 기업 대만 경제부 상업사 자료에 따르면, 2021년 6월 기준으로 대만에는 총 73만 개가 넘는 회사(외국기업의 현지 지점 포함)가 설립돼 있다. 이 가운데는 구직자들이 선망하는 꿈의 직장도 있기 마련이다. 현지 취업 전문 매거진이 2021년에 졸업을 앞둔 대학생·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대만 학생들은 TSMC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SMC는 대만 1위 반도체 기업으로 처우가 좋.. 2021. 8. 13.
라오스, 코로나에 환율상승까지… 인플레이션 본격화되나 정부의 환율 개입에도 달러 대비 환율 6.5% 상승 - - 소비재를 중심으로 인플레이션 현상도 본격화 - 라오스 현지화(Kip) 가치 하락과 인플레이션이 라오스 경제 회복의 속도를 더 더디게 할 전망이다. 특히 유가 상승과 더불어 코로나로 인한 물류비용 증가가 어려움을 더 가중시키는 상황이다. 특히 라오스는 제조업이 취약하며, 전형적인 수입 의존 국가다. 달러 및 태국 밧화 대비 통화가치 하락은 현지 물가상승으로 직결된다. 또 대외부채가 높다 보니 달러화 대비 자국 화폐 가치 하락은 국가 부채 위험까지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 올해 들어 미화 대비 현지화 환율은 계속 증가했다. 중앙은행에서 발표하는 일일 환율을 추출해 월평균 추이를 살펴보면 지난 7월은 정부의 개입에도 불구하고 전월 대비 0.63% 상승했.. 2021. 8. 11.
日 기업 인터뷰를 통해 알아본 배관시장의 변화 - 스틸, 스테인레스에서 수지, 동 등의 재질로 변경을 시험 중 - - 인력난 대응하기 위해 초보자라도 숙련공과 같은 작업 가능토록 개발 필요 - 거세지는 건설업계의 탈탄소 바람 제1회 탈탄소 경영 EXPO가 2021.9.29. - 10.1. 도쿄 빅사이트에서 개최된다. 일본에서 처음으로 열리는 해당 전시회에서는 △자가 소비형 태양광, △에너지 관리 시스템, △축전지/EV활용, △재생전력/환경가치, △ZEB/스마트빌딩, △공조/절전에너지설비 등으로 경영에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건축물 운영에 대한 친환경 움직임이 대두되고 있다. 주*: 관련 홈페이지: https://www.decarbonization-expo.jp 일본 건설 관련업계는 이러한 국내외 움직임에 대응해 적극적으로 탈탄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 2021. 8.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