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글로벌 비즈니스현황&코로나 바이러스 현황703 대만, 한국산 철강제품 반덤핑 일몰재심 착수 - 아연도금강판·탄소강후판에 대한 반덤핑관세 유지여부, 내년 5~10월에 결론 예상 - - 대만 산업계, 한국산 철강 수입동향 예의주시 - 대만 정부, 한국산 탄소강후판·아연도금강판에 대한 반덤핑 일몰재심 개시 대만 재정부는 한국 포함 6개국에서 생산된 탄소강후판과 한국·중국산 아연도금강판에 대해 반덤핑 일몰재심을 개시한다고 8월 20일 발표했다. 한국산 탄소강후판과 아연도금강판에 대한 반덤핑 조치는 2016년 8월 22일부터 시행됐고 2021년 8월 21일 일몰을 앞두고 있었다. 2021년 초 정부가 일몰재심 신청을 접수한다고 공고한 당시 철강을 원료로 사용하는 다운스트림 업계 일각에서는 반덤핑 조치 종료를 기대하는 분위기였으나 제소업체 측에서는 반덤핑 조치 이후 시장 안정화에 상당 수준 효과가 있었다.. 2021. 9. 2. 포스트 코로나 시대, 현지 기업으로부터 듣는 중국 화장품 시장의 변화 - 온라인 시장을 중점으로 하는 마케팅 전략 필요할 것 - - 달라진 NMPA 인증 정책, 사전 준비 필수 - 2020년, 중국 화장품 시장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많은 변화를 겪었다. 마스크 착용으로 인해 기초화장품 시장 규모가 크게 늘어났으며, 오프라인보다 온라인 시장이 크게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2021년 코로나19 방역을 비교적 성공적으로 진행하여 그 영향에서 많이 벗어난 지금, 중국 화장품 시장은 여전히 온라인의 강세가 뚜렷하며 제품의 퀄리티 및 가격 등 세부적인 부분에서의 마케팅이 더욱 중요해졌다. KOTRA 난징 무역관에서는 이러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국 화장품 시장의 현황을 알아보고자 현지에서 마케팅과 유통을 전문으로 하고 있는 이스트나인차이나사를 인터뷰하였다. Q1: 간단한 기업소개.. 2021. 9. 2. 중국 수입식품 무역 개황 - 뉴질랜드는 중국의 최대 식품 수입대상국 - - 육류 및 육류가공식품을 가장 많이 수입, 조미료 수입 증가 - 중국 수입식품 수요 확대 수입식품이 중국의 일반 가정 식탁에 올라가면서 수입식품에 대한 소비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2019년 기준, 절반 이상 중국 주민의 전체식품 소비 금액 중 수입식품이 차지하는 금액 비중은 10% 이상이다. 2018년, 2019년 중국 수입식품 소비가 전체 중국가정 식품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 변화 자료: 쳰잔왕(前瞻网) 2020년 11월 중국식품토축수출입상회는 '중국 수입식품업 보고서(2020년)'을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중국의 수입식품 공급국가는 189개국으로, 연간 수입액은 908.1억 달러이다. 이러한 수치는 2018년보다 172.4억 달러 증가한 .. 2021. 9. 2. 중국 수입식품 무역 개황 - 뉴질랜드는 중국의 최대 식품 수입대상국 - - 육류 및 육류가공식품을 가장 많이 수입, 조미료 수입 증가 - 중국 수입식품 수요 확대 수입식품이 중국의 일반 가정 식탁에 올라가면서 수입식품에 대한 소비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2019년 기준, 절반 이상 중국 주민의 전체식품 소비 금액 중 수입식품이 차지하는 금액 비중은 10% 이상이다. 2018년, 2019년 중국 수입식품 소비가 전체 중국가정 식품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 변화 자료: 쳰잔왕(前瞻网) 2020년 11월 중국식품토축수출입상회는 '중국 수입식품업 보고서(2020년)'을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중국의 수입식품 공급국가는 189개국으로, 연간 수입액은 908.1억 달러이다. 이러한 수치는 2018년보다 172.4억 달러 증가한 .. 2021. 9. 2.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76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