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글로벌 비즈니스현황&코로나 바이러스 현황703

아마존 독일 입점 시 고려할 사항 - 아마존 독일 코비드 특수로 사상 최대 매출 달성 예상 - - 새로운 B2B 플랫폼 아마존 비즈니스 론칭으로 통합 마케팅 채널 역할 - - 복잡한 수입 통관 및 세무규정, 높은 물류비 등 시장성 검토해야 - Amazon.de 개요 - 본사 소재지: 독일 바이에른주 뮌헨 - 위치: 독일 전자상거래 시장점유율 27%로 1위* - 2019년도 매출액: 104억9000만 유로 - 매월 방문 수: 6억 명, 2만4000명 이상의 셀러 보유 - 아마존EU 통합계정 운영(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네덜란드)으로 시장 확장성 높음. 아마존 독일 진출이 매력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코로나19 확산과 이에 따른 봉쇄정책으로 인해 한국에 비해 오프라인 매장을 중시하던 독일 유통시장 역시 온라인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 2021. 3. 9.
[2021년 중국 양회②] 정부업무보고에서 본 중국경제 운용 방향 - 2년 만에 경제성장률 목표치(6% 이상) 설정 - - 경기부양 강도 낮췄지만 現 재정·통화정책 기조 유지 - - 민생과 안정 강조하며 ‘자립 경제’ 구축에 총력 - 중국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兩會: 정협과 전인대)가 3월 4일 막을 올렸다. 올해는 예정대로 3월 초에 개최했지만 코로나 사태의 불확실성을 대비해 기간을 5일 정도 단축했다. * 2021년 양회기간 3월 4~11일(정협 4~10일, 전인대 5~11일) 코로나19 사태 이후 두 번째 맞는 양회이며 2021년은 중국이 제14차 5개년 경제·사회발전 계획과 2035년 중장기 비전과 목표를 제정, 시행하는 첫해이다. 따라서 3월 5일 오전 전인대 개막 후의 국무원 리커창 총리 정부 업무보고에 관심이 집중됐다. 2021년 전인대 주요 의제 구분 의.. 2021. 3. 9.
코로나19를 헤쳐 나가는 독일 사회적기업 - 잘 나가던 독일 사회적기업, 코로나19로 위기 봉착 - - 작년 위기 딛고 일어서려는 독일 사회적기업 심층 인터뷰 -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 동안의 플러스 경제성장을 기록한 독일 경제는 코로나19 위기로 경기 침체 국면에 빠졌다. 코로나19 팬데믹 발생으로 인한 첫 번째 록다운(2020.3.22.~5.15.)과 두 번째 록다운(2020.11.2.~2021.2.14, 잠정) 속 사회 전반의 경제 활동이 감소하면서 2020년 독일의 GDP는 2019년 대비 5% 급감했다. 독일 정부는 코로나19 피해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정부 보조금과 대출 제도를 마련했지만 여전히 많은 기업이 사업 부진에 따른 유동성 부족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수익 창출뿐만 아니라 사회적 가치 제고.. 2021. 3. 9.
크로아티아 지자체, 외국인 투자유치 위해 노력 - 크로아티아 내륙 소도시 Lipovljani시, 다양한 투자 인센티브 제시 - - 자그레브 인근 경제구역보다 조건 좋지만 사전 충분한 검토 필요 - 크로아티아 내륙지방은 해안가보다 경제 성장 더뎌, FDI 절실 과거 크로아티아는 평야지대가 있는 내륙지방의 경제가 좋았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나 관광이 주요 산업으로 부각되자 상대적으로 해안지역의 성장이 빨라졌고 현재는 1인당 GDP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를 만회하기 위해 여러 내륙지역에서는 다양한 경제 활성화 방안을 찾고 있으며 외국인투자 유치도 이의 일환으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2018년 크로아티아 주별 1인당 GDP 규모 (단위: 쿠나) 자료: 크로아티아 통계국(2021.2.) 현지 중앙은행 통계에 따르면 크로아티아는 2020년 3분기까지 외.. 2021. 3. 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