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글로벌 동향
1. 북미
(1) 미국
ㅇ 백악관, 4차 경기부양책 일환으로 2조달러 규모 인프라 프로젝트 추진 예정, 하원에서도 필요성 공감
(자료: Speaker of The House)
- 美하원, 경기부양책 예산집행 감독 위원회 구성 (자료: WSJ)
ㅇ 법무부, FBI가 이번 주에 압수한 불법 유통 보호구(PPE)는 뉴욕·뉴저지 지역 의료진 배포 계획 (자료: NBC News)
* 압수품 N95마스크·수술용마스크, 장갑, 손세정제·스프레이형 소독제 등
ㅇ 노동부, 3.22~28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665만 건으로 사상 최고치
ㅇ (뉴욕주) 감염자수 정점은 사회적 거리두기 모델이 얼마나 효과적이냐에 따라 향후 1개월이 될 가능성 언급
(자료: CNN)
ㅇ (오하이오주) 외출자제령 5.1일까지 연장 (자료: CNN)
ㅇ (미시간주, 인디애나주) 공립학교 수업 중단기간 학기 말로 연장 (자료: CNN)
ㅇ (매사추세츠주) 중국에서 주문한 N95마스크 수송에 뉴잉글랜드 패트리엇 풋볼팀 전용기 투입
- 연방정부로부터 필요한 보호구 지급을 받지 못한 것에 불만, 지역 풋볼팀 구단주와 협업해 마스크 100만 장 중국에서 직접 공수 (자료: CNN)
ㅇ (버지니아주) 트럼프, 버지니아주 중대 재난지역 선포 (자료: CNN)
(2) 캐나다
ㅇ 연방정부, 코로나19로 직장을 잃은 근로자 임금보조(C$2,000/월) 프로그램 4월 6일부터 신청 시작
- 트뤼도 총리, 지원금 확대를 위해 의회 소집 계획 밝힘. (자료: CBC News)
ㅇ 보수당, 팬데믹 상황 종결 시까지 탄소세 포함 계획 중인 모든 세금인상 폐기 촉구, 연방정부는 탄소세 유지 입장 (자료: National Post)
ㅇ 보건부, 코로나19 검사키트 승인에 박차
ㅇ (온타리오) 주 내 기업 생산라인 활용 의료용품 제작 위해 C$5천만 자금 조성 (자료: CBC News)
- 폐쇄 예외 필수업종 리스트 조정(축소) 예정 (자료: Global News)
ㅇ (브리티시컬럼비아) 주내 모든 전기·수도 이용요금 1% 인하
2. 중국
ㅇ 상무부 추진 소비촉진 지원 8가지 방안
- ①조업재개 추진, ②도시소비 촉진(보행거리 개선, 브랜드편의점 육성 등), ③농촌소비 제고(전자상거래, 농산품 유통촉진 등), ④상품소비 확대(중고차교체, 수입박람회 등), ⑤서비스소비 촉진, ⑥신형소비 육성(온라인·디지털·플랫폼·신업종 등), ⑦소비활성화(지방 소비쿠폰 등), ⑧소비환경개선 (자료: 상무부 온라인기자회견)
ㅇ 산업체인 및 공급체인 고도화 방안 제시
- 일반무역 강화 : 무역경쟁력의 핵심 지표, 기술·품질·브랜드 제고 노력
- 가공무역 안정 : 기술함량과 부가가치 확대, 중서부·동북지역 이전 추진
- 무역전환·업그레이드 기지 육성 (자료: 상무부 온라인기자회견)
ㅇ 자동차유통협회, 車시장 3월부터 회복세, 5월 정상화 예상
- 3월 재고 경보지수 전월대비 21.9%p 하락한 59.3% (지난 2월 사상 최고치 81.2%)
- 3월말 매장 조업회복율 95.5%, 고객매장방문회복율 64%
ㅇ (정저우시) 4억 위안 규모 소비쿠폰 배포
- 사회 취약계층에 1인당 500위안씩 총 3.2억 위안, 시민 대상 50위안씩 5,000만 위안 규모로 선착순 배포 예정 (자료: 정저우시 정부)
ㅇ (저장성) 시진핑 주석, 주요 도시 조업현장 시찰
- 닝보 저우산항, 베이룬 공업지역 방문, 생산직 복귀 현황 및 1분기 수주 실적 보고받아
- 5G 네트워크, 데이터센터 관련 인프라 건설 중요성, 헬스케어 및 신소재 R&D 역량개발 강조 (자료 : 항주일보)
ㅇ (쓰촨성) 코로나19 영향로 성장 중인 신경제기업 신제품 발표회 추진
- 신경제(공유직원, 무인생산, 스마트관리시스템) 접목한 1,000개 사업모델과 1,000개 신제품 매월 소개 예정
(자료: 쓰촨성 정부)
- 청두시, 항공우주산업 집중육성 추진, 항공우주 제조업 총규모 800억위안 초과 (자료: 청두시 정부)
ㅇ (홍콩) 4.1일 18시부 14일간 모든 노래방, 클럽 등 폐쇄. 편의시설(클럽하우스), 피부관리샵 등 고객 대상 체온 체크 및 손소독제 제공 필수, 전원 마스크 착용 필수 (자료: 홍콩 정부)
3. 유럽
(1) EU
ㅇ 제 26회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26) 내년 연기
- ‘20.11월 영국 글래스고 개최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로 연기(날짜미정) (자료: EU보도자료)
ㅇ 의회, 재택근무로 미사용중인 의회 건물 및 관용차량을 코로나19 환자치료에 활용하도록 브뤼셀 지방정부에 제공 (자료: De Standaard)
(2) 이탈리아
ㅇ 비필수 산업 운영 중단 및 지역간이동제한 연장(~4.13)
ㅇ 경제부, 4월 법령에 따라 세금, 가구별 보조금, 주택 및 기업대출상환 등 모라토리엄 세부작업 진행 중
(자료: 정부기관, il sole 24, corriere della sera)
ㅇ 이탈리아 국내 생산 대다수 의료용 마스크가 ISS의 최종 인증 승인을 받지 못해 유통 불가 상황
(3) 영국
ㅇ 코로나 19의 군사 대응을 위해 최대 3,000명 군대 예비군 소집 중
ㅇ 기업에 금리 지원의 형태로 220억 파운드 지급 예정
ㅇ 중소기업에 최대 25,000파운드의 보조금 지급 예정 (자료: BBC, gov.UK)
(4) 프랑스
ㅇ 총리, 화상 청문회에서 이동금지 해제 조치는 지역별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밝힘
- 3.31일 이후 폐쇄된 오를리 공항 비행장, 환자의 타지역 이송을 위한 베이스캠프로 사용 중
(자료: 르몽드. 레제코, 피가로)
* 현재 파리 및 수도권의 코로나19 중환자들은 종합병원 병상, 인력 부족으로 헬리콥터 및
TGV를 이용 타 지역으로 이송
- 노동부, 부분 실업수당 프로그램 신청기업 수 337,000개(고용인 360만 명 해당)로 3개월 간
약 110억 유로 예산 소요 전망
- 대형 유통기업, 이동금지기간 동안 출근 필요 유통기업 노동자 대상 세금공제 특별 상여금
1인당 약 2,000유로 지급 예정
(5) 독일
ㅇ 메르켈 총리 대국민 담화, 접촉금지령 4.19일까지 연장, 부활절 가족 모임 및 방문과 관광 자제 당부
(자료: tagesschau)
- 연방 정부 차원 마스크 착용 의무는 없음(4.1일 기준)
- 예나(Jena)시(인구 11만명) 4.6일부터 공공장소, 대중교통, 상점 내 마스크 착용 의무 행정령 발표 (자료: tagesschau)
(6) 그 외 유럽지역
ㅇ (네덜란드) 보건당국 대표, 언론 브리핑으로 신규 코로나 감염자 수 안정화되어 가고 있다고 발표
ㅇ (스웨덴)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한 국립보건청 명령과 권고' 발표('20.4.1-12.31 기간 중 유효)
- 주택담보대출자의 원금상환 한시적 철폐(3.2~10.24) (자료: 정부, 국립보건청, 보건복지청 등)
ㅇ (폴란드) 국방부 장관, 1만명 이상의 군인 대상 2주간의 의료 훈련을 통해 코로나19 의료진 지원 계획 발표
(자료: 폴란드 정부, 현지 언론)
ㅇ (체코) 정부, 특별회의에서 국가비상사태 30일 연장에 합의, 4.7일 하원에 연장 요청 예정,
하원 승인 결과에 따라 최종 연장 승인
ㅇ (세르비아) 중국에서 마스크 14백만 개, 마스크 생산기계 2대 도착, 마스크 공급 부족 해소 전망
- 세르비아는 EU로부터 총 93백만 유로 규모 지원(의료용품, 항공 운송 등) 받을 예정
ㅇ (불가리아) 실내외 공공장소 마스크 착용 의무화 시행 후 긴급철회(4.1)
- 북마케도니아 정부, 코로나 경제부양정책 개정안 발표 (자료: SEENEWS)
* 피해 기업 근로자 4~5월 최소 급여 지원, 실직자 기초 급여 지원 등
4. 일본
ㅇ 전세대 대상 천 마스크(세대당 2매) 배포 방침
- 아베총리, 천 마스크를 세대당 2매씩 전국 5천만 세대에 배포 예정 발표, 4.13일 이후 감염자 수가 많은 지역부터 순차 배포 (자료: 닛케이신문)
ㅇ 외국인 입국자 상륙거부 시행 확대 및 연장
- 외국인 입국금지 지역을 한·미·중 등 73개국으로 확대, 기존 비자 보유 외국인도 2주 이내 해당 국가(지역) 체재 이력 존재 시 입국거부 (자료: 법무성, 외무성, 후생노동성)
* 기존 상륙거부조치는 韓(대구경북), 中(후베이성 등) 일부 지역에 한정(4.2 限)
ㅇ 정부 및 국회, 긴급사태선언 관련 국회 보고절차 합의
- 여·야당 및 日 정부는 코로나19 관련 긴급사태선언 발령이 필요한 경우 총리가 국회에 사전보고를 시행하기로 합의 (자료: 닛케이신문)
5. 동남아 대양주
ㅇ (인도네시아) 4.2일부 외국인 입국 및 경유 금지 (자료: 법무인권부)
ㅇ (싱가포르) 세입자를 위해 건물주 재산세 환급 시행 (자료: 싱가포르 정부)
ㅇ (태국) 4.2~4.15일 중 입국자 수 축소 명령 (자료: Bangkokbiznews)
ㅇ (필리핀) 개인보호장비 100만개 조달·공공시설 격리소로 전환 (자료: Inquirer)
ㅇ (호주) 호주의료진 ‘백신 개발, 12~18개월 소요’ 전망 (자료: 현지 언론)
6. 서남아
ㅇ (인도) 뉴델리발 대한항공 임시운항편 교민 230명 탑승예정
ㅇ (파키스탄) 전역봉쇄 4.14까지 연기 및 국제선 4.11까지 중단
7. 중동
ㅇ (UAE) 외국인 귀국 지원을 위한 각국 특별기 지원 (자료: WAM)
ㅇ (사우디) 45억 달러 규모 민간부문 경제 지원정책 추진 (자료: Arab News)
ㅇ (카타르) 공공·민간 80% 재택근무, 근로시간 일 6시간 제한 등
ㅇ (이란) 로하니 대통령, 중국산 진단키트 사용 불가 발표 (자료: Khabar)
ㅇ (알제리) 4.19일까지 통행제한 조치 시행 연장 및 확대 (자료: 알제리 정부)
ㅇ (터키) 펜데믹 지정 병원, 코로나19 무상진료 실시 (자료: 보건부)
8. 중남미
ㅇ (브라질) Fiocruz 연구소, 코로나19 정점 4,25~30일로 예측 (자료: O Estado de Sao Paulo)
ㅇ (멕시코) 보건부차관, WHO 미승인 긴급 진단키트 사용 배제 (자료: El Universal)
ㅇ (아르헨티나) 4.12일까지 국경 폐쇄령 연기 (자료: 정부 발표 및 INFOBAE)
- 정부, 모든 기업 대상 60일간 해고 및 정직 금지
ㅇ (칠레) 대통령, 일자리 보호법 발표. 원격근무 불가능 직종의 근로자 해고 불가
(급여는 실업급여 지급, 고용주세는 고용주 부담)
- 최저임금 인상 (세후급여 CLP 30만 (USD 350 상당)수준으로 인상)
ㅇ (과테말라) 주말까지 코로나 키트 47,500 테스트 분량 수입 예정
9. 아프리카
ㅇ (남아공) 보건장관, 금주부터 남아공 내 코로나 사태 심화 예측, 치사율도 증가 전망, 약 70개 이동식 진단시설 마련 등 검사 확대 (자료: 남아공 정부)
- 4.1일 락다운 이후 최초로 브라질 전세기(321명)가 남아공출발 (자료: IOL)
ㅇ (모리셔스) 완전격리(Confinement total)조치 발동
ㅇ (코트디부아르) 경제사회인도적 기금 28억 6,000만 달러 규모 (1조 7,000억 CFA) 투입, 경기부양, 기업지원, 가계 지원 실시 (자료: 보건부 등)
10. CIS
ㅇ (러시아) 전 국민 유급휴가 4.30일까지로 연장
- 상트페테르부르크시 봉쇄 가능성 검토 (자료: 타스통신 등)
ㅇ (아제르바이잔) 4.20일까지 특별한 사유 없이 외출 금지
□ 해외 현지 기업 동향
1. 북미
ㅇ (미국)
- Amazon, N95마스크 판매 중단, 의료기관, 정부 기관 등 공급 예정 (자료: CNBC)
- Boeing, 직원 대상 희망퇴직 신청 접수 공지 (자료: CNN)
- Ford. 1분기 자동차 판매량 전년 동기비 12.5% 감소 (자료: CNBC)
- Amgen,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시작 (자료: WSJ)
- GE Aviation, 엔진 제조 부분 직원 50% 4주간 무급휴직 (자료: CNBC)
ㅇ (캐나다)
- Cineplex, 기존 재영업 시작일(4.2일)을 무기한 연장 (자료: CBC News)
- Cambridge Memorial Hospital, ON주 소재 병원, 향후 2~4주간 추가로 운영예정인 유닛 지원을 위해 80여 명 고용 계획 (자료: CTV News)
2. 중국
ㅇ 폭스바겐 자동차그룹(중국), 창사, 우루무치 제외 중국 내 22개 공장 모두 조업재개, 3월 판매량 100만대 도달 예상 (자료: 중국경재망)
ㅇ 중국석유 산하 다칭석유화학, 마스크 생산라인 4개 가동
- 하루 평균 일회용 의료마스크 13만 장, N95 마스크 2만 장 생산 (자료: 베이징일보)
ㅇ 칭다오 조업 재개 후 중고 자동차 75대 첫 수출
- 3.31일 칭다오자동차산업단지에서 아프리카 나이지리아, 가나 등수출 (자료: 중국과기망)
3. 유럽
ㅇ (오스트리아) Magna Steyr, 4.6일부터 일부 생산라인 가동 재개 (자료: Kronen Zeitung)
ㅇ (스웨덴) 자동차 공장 생산라인 개조해 안면보호구 생산
- AB Volvo, Tuve공장 트럭 생산라인 안면보호용구 생산으로 개조, 3.30일부터 생산(1,000개/일)
- Volvo 승용차, 테보리 Torslanda 라인 개조, 안면보호용구 생산 시작
ㅇ (스위스) 포스트, 1인 배달이 가능한 제품에만 배달 서비스 제공, 2인 이상 요구되는 제품 배달 서비스 미제공
ㅇ (독일)
- 레스토랑 체인 바피아노(Vapiano) 최종 파산절차 신청 (자료: Spiege)
- 루프트한자 카고 항공화물 증가세 뚜렷, 여객항공기까지 투입 (자료: Handelsblatt)
4. 일본
ㅇ 인공심폐 관련 기업 증산 추진
- 일본 ECMO 최대생산기업 TERUMO는 생산량을 현재의 2배 이상 증산계획, 동 분야 2위인 센코의과공업 또한 증산 예정 (자료: 닛케이신문)
* 현재 일본 내 ECMO장치는 약 1,400대 (2월 기준)
- 스즈키(인도 자회사)는 인도 현지 인공호흡기 제조사와 협력하여 인공호흡기의 공동생산을 추진, 약 1만대/월 목표
ㅇ SHARP, 유럽, 인도, 중국에도 마스크생산 검토중. 전 세계적 마스크 부족 현상에 대응 예정(생산시기 및 규모 미정) (자료: 일본경제신문)
5. 동남아 대양주
ㅇ (인도네시아) 방송용 통신기기, 코로나19 확산세로 사업추진 지연
6. 중동
ㅇ (UAE) 국영 이동통신사, 2개월간 무료 인터넷 영상통화 제공
7. 중남미
ㅇ (브라질) 마나우스 자유무역지대 약 4만 명의 근로자 단체 휴가 돌입
- 자유무역지대에 위치한 상당수의 기업들이 직원 단체 휴가를 시행해 약 4만 명의 근로자가 휴가 돌입 (자료: Valor Economico)
□ 해외 현지 비즈니스 환경 동향
1. 북미
ㅇ (미국)
- 사우디·러시아 감산 합의에 따라 국제유가 20% 급등 (자료: CNBC)
- 자동차부품 기업, 재정적 어려움에 직면, 상당수 기업 구조조정 및 벤더 측에 대금 지급 기한 연장 요청 등 움직임 포착 (자료: WSJ)
- 부동산 중개기업, 3월 맨해튼 부동산 거래가 거의 중단되면서 향후 해당 지역 부동산 가격 30% 이상 하락 가능성 전망 (자료: CNBC)
ㅇ (캐나다)
- 사재기 현상 심화로 식료품, 생활소비재 품목 수요 500% 증가, 주로 물, 통조림 식품, 쌀, 파스타 등 생필품 (자료: Financial Post)
- 캐나다 노동시장, 미국보다 더 큰 타격 전망, 3.27일 기준, 전년 동기 대비 일자리 수 약 25% 감소(미국은 15% 감소)
2. 중국
ㅇ 베트남 등 6개국* 식량 수출 금지로 식량 위기에 대한 우려 확대
- 중국, 세계 최대 식량 소비국('18년 중국 1인당 식량 소비량 127.2㎏, 14억 명 소비량 1.78억 톤)
* 베트남, 세르비아, 이집트, 태국, 카자흐스탄, 캄보디아
- 곡물생산량은 '19년 6.14억 톤(식용+공업용), 자급율 98%이상
- 식량안보 보장 가능하지만 수입의존도가 80% 이상인 대두가 문제 (자료: 정해국)
ㅇ 전통 농업의 스마트 농업 전환 가속화
- 농업용 드론, 원격 제어시스템 등 무인 스마트 농업설비 보급으로 방역기간 생산성 향상 (자료: 톈진일보, 신랑경제)
ㅇ 상하이, 4.1일 전국 최초 전자 등록허가증·전자도장 도입
- 종이 없는 무서류화 기조 및 전자서명법에 근거, 실제 도장날인과 같은 법적 효력 인정 (자료: 중국신문망)
3. 유럽
ㅇ (프랑스) 프린터, 토너 및 냉동고 판매 급증 : 토너의 경우 프린트해야 하는 외출허가서 때문으로 토너 판매율은 258% 급증 (자료: Ouest France)
ㅇ (네덜란드) 의약품 공급처의 80%가 중국 및 인도. 현재 공장운영 및 거래 중단 상태. 관계자들 당분간 의약품 공급 부족 예상 (자료: NU)
ㅇ (영국) 영국산 와인, 3.23일 이동제한령 이후 수익 22% 급증하여 약 2억만 파운드의 추가 매출 기록
(자료: Metro 뉴스)
ㅇ (독일) 노트북, 프린트, 공유기 등 재택근무 관련 품목 위주 전자제품 수요 증가 (자료: Saturn &Corad)
4. 일본
ㅇ 코로나19로 퍼지는 “터치리스” 제품
- 코로나19 감염 확대로 비접촉 기능 탑재 신제품 개발 추진
- NEC는 마스크를 벗지 않아도 되는 얼굴인증 게이트를 반년 이내 발매 예정, 후지테크, 미쓰비시전기는 비접촉방식 옵션을 도입한 엘리베이터를 발매하는 등 다양한 제품 내 비접촉방식이 도입 예정 (자료: 일본경제신문)
ㅇ M&A 연기 및 중지로 글로벌 M&A건수가 15년 전 수준으로 하락
- 日 고베제강소, 자회사 주식 일부를 펀드에 매각하려던 계획 연기
- 3월 22~28일 주간 세계 M&A 건수는 521건으로 2005년 이래 최저수
ㅇ 코로나 관련 도산 31건(법적 정리 14건, 사업 정지 17건)
- 지역별로는 북해도, 관동, 관서 지역이 각 5건으로 최다. 산업별로는 관광 관련업 13건, 요식업 10건 등
(자료: PRTIMES)
5. 동남아 대양주
ㅇ (인도네시아) 경제성장율 –0.4~5.3% 범위내 다양한 시나리오 전망
ㅇ (싱가포르) 온라인유통망, 주문폭주로 주문 제한 (자료: Chanel News Asia)
ㅇ (필리핀) PMI 52.3(2월)에서 39.7(3월)로 하락 (자료: Philstar)
ㅇ (호주) 헬스기구 가정 대여 서비스 인기 (자료: 현지 언론)
6. 서남아
ㅇ (인도) 생활소비재 업계 생산·운송애로로 공급 차질 (자료: 라이브 민트)
7. 중동
ㅇ (사우디) ARAMCO, 원유 역대 최대 일 생산 1,200만 배럴 달성
- 국제유가, 2002년 이후 18년 만에 최저가 경신
8. 아프리카
ㅇ (남아공) 금융기업 FNB, 코로나19로 4~6월 경제지표에 큰 타격 예상
- FNB, Standard Bank 등 시중 은행들은 소비자부담 경감을 위한 각종 금융지원혜택 마련 (자료: Business Day)
ㅇ (나이지리아) 라고스향 화물 입항 및 통관처리 지연
- 정부 Lock down 조치로 은행 업무 차질, L/C개설, T/T송금 등 정상적인 거래 및 대금결제 등 업무차질 속출 (자료: The Guardian)
9. CIS
ㅇ (러시아) 인테리어 및 정원 손질 관련 제품 판매 증가
- 판매량 전년동기대비 34% 증가, 자가격리 및 임시공휴일 영향으로 개인별장에서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임
'
'글로벌 비즈니스현황&코로나 바이러스 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 글로벌 및 비즈니스 동향 (0) | 2020.04.10 |
---|---|
코로나19 팬데믹, 美 산업별 승자와 패자는 (0) | 2020.04.08 |
코로나19 글로벌 및 비즈니스 동향 (0) | 2020.04.02 |
코로나19 글로벌 및 비즈니스 동향 (1) | 2020.04.01 |
코로나19 글로벌 동향 (1) | 2020.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