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북미
(1) 미국
ㅇ 미 역사상 최대 규모인 2조 달러 경기부양책 하원 통과 및 트럼프 대통령 최종 서명 (자료: CNN)
ㅇ 트럼프, 부활절까지 경제활동 재개 연기 의사 (자료: CNN)
- 펜스 부통령, “부활절 기점 경제 재개는 희망하는 목표” (자료: CNBC)
ㅇ 국무부, 단기 취업비자(seasonal foreign worker visa) 기준 완화(자료: WSJ)
ㅇ 민주당, 이란과 베네수엘라의 경제제재 해제요구 (자료: CNN)
ㅇ 뉴욕주, 공립학교 휴교 최소 2주 추가 연장 (자료: 1010wins)
- 3주 내 확진자 최고치 예상, 임시병동 4개, 1,000개 침상확보 추진 (자료: CNBC)
- 뉴욕시장, 비필수 업계 영업중단 및 외출금지령 5월까지 이어질 가능성 있다고 밝히고,
부활절 경제 재개는 ‘거짓 희망’임을 경고 (자료: ABC news)
ㅇ 알라바마주, 비필수 비즈니스 영업 중단 조치(3.28 17:00~4.17) (자료: CNN)
(2) 캐나다
ㅇ 주별 비상사태 선포, 폐쇄조치 등의 경제충격 완화를 위한 기준금리 추가 인하(현재 기준금리 0.25%)
(자료: Bank of Canada)
- 중소·중견기업 임금보조금 상향 조정(10→75%), 파산방지 위해
1년간 최대 C$40,000까지 무이자 대출 (자료: CBC News)
* 2021년 연방정부의 재정적자 C$1,127억 전망
ㅇ 의사당 휴회기간 연장(4.17→4.20) (자료: CBC News)
ㅇ 미국-캐나다 국경에 군대를 배치하자는 트럼프 대통령에 반대 (자료: CTV News)
2. 중국
ㅇ 최근 일주일(3.23~27일)간 경제적 충격 완화 가능성으로 위안화 환율 하향 안정세(0.7%하락), 주가 상승(3~4% 상승) (자료: 외환교역센터, 증권거래소)
ㅇ 공업정보화부, 新인프라 구축과 제조업 스마트화 가속화
- 온라인 교육/원격의료/온라인 근무 등 신비즈니스 모델 발전 촉진
- 공업과 통신업 관련 중점프로젝트 시공 가속화
ㅇ 상무부, 국가급경제개발구 조업회복과 외자유치 지원 강화
- 중서부 및 동북지역 개발구 대외경제무역발전자금 지원 확대
ㅇ (허베이) 외식·숙박 소비활성화 지원정책 발표
- 영업재개 지원, 중소 영세기업의 임차료 감면 임대인에 혜택,
단기채용·직원공유로 인력난 해소, 디지털 플랫폼 활용 조치
ㅇ (후난성) 후베이성 – 후난성 창사 도로교통 전면 회복
- 3개월간 (3.1~5.30) 소규모 납세인 증치세 3%에서 1%로 인하
ㅇ (항저우시) 소비 진작을 위한 현금 보조금(약 5억위안) 지급
- Alipay를 통해 전자 현금쿠폰 지급, 일정 금액 이상 소비 시 정액 할인 형태,
외국인 포함 항저우시 상주인구 전원 수혜 (자료: 항저우시 SNS공식계정)
ㅇ (청두시) 요식업 정상영업 1주간(3.18-3.24) 영업 판매액 증가 (자료: 청두일보)
* 훠궈 배달주문, 식당내 영업 동기대비 각 9.4%, 63% 증가, 훠궈점 90% 재개, ‘보복성 소비’ 수혜 기대
ㅇ (대만) 행정원 국가발전委 “6월까지 사태 지속 시 올해 GDP 예상치*의 0.66~1.4%p 영향. 정부 구제·부양책은 0.37%p 상승 효과” (자료: 자유시보)
* 행정원 주계총처가 코로나19 발생 전에 발표한 예측치(2.72%, 2019.11.29.일 발표) 적용 시, 정부의 경제성장률 추정치는 1.69~2.43% 수준
ㅇ (홍콩) 1분기 홍콩 IPO 신규 상장 업체 전년동기대비 6% 증가, 조달액32% 하락.
일부 회사는 상장 계획 연기 (자료: Apple Daily)
3. 유럽
(1) EU
ㅇ EU 정상 화상회의(3.26)에서 긴급 유동성 지원계획 승인
- 코로나 바이러스 대응 투자 이니셔티브 (370억 유로)
- 유럽중앙은행(ECB) 펜데믹긴급자산매입프로그램 (7500억 유로)
ㅇ 주요 쟁점 이슈인 유로안정화기금(ESM)*과 유로존 공동채권 ‘코로나채권‘** 발행에 합의하지 못하고 추가 논의예정
* European Stability Mechanism(2011~ ) : 총 5천억 유로
** Corona bond: EU 국가 공동발행 채권. 저비용으로 자금조달가능하나, 재정여건 상이한 국가에 공동부담으로 작용해 독일, 네덜란드 등은 반대
ㅇ 외국인 대상 30일간 EU입국 금지조치 연장 고려
(2) 이탈리아
ㅇ 국가고등보건연구소(ISS), 3.20일 기점으로 확진자 곡선 감소 및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으나 조치를 완화할 단계가 아니라고 발표
- 교통부, 3.29일, 4.5일(공휴일) 교외 도로에서의 승인된 최대 7.5톤 대형 물품운송차량에 대한 통행금지 조치를 중단하기로 발표
(3) 스페인
ㅇ 보건부, 스페인 의료진 중 9,444명 코로나19 감염
ㅇ 군대, 스페인 내 90여개 병원 및 900여개 요양원 방역 실시 예정
(4) 프랑스
ㅇ 하이드록시 클로로퀸(말라리아 치료제) 코로나19 치료 용도로 사용 승인
ㅇ 예산부장관, 필요시 주요 기업 회생을 위해 국가 지분 확대나 국유화 가능하며 2020년 초부터 시행된 주민세 폐지 등의 감세정책은 그대로 시행한다고 밝힘. (자료: 르몽드. 레제코)
(5) 독일
ㅇ 독일 대학병원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자료 통합과 대응 일원화 위해 독일 정부
1억 5,000만 유로 지원 (자료: tagesschau)
ㅇ RKI 연구소, 확진자 공식통계 전자식 수집에 팩스 이용 중이며 이로 인한 통계 오류 발생
- 독일 1주일 진단 능력 50만 건으로 늘었으나 인력 부족 및 검사 대상 선별에 어려움으로
검사 대상자 기준의 확대 를 위해 한국 모델의 광범위한 진단 능력 도입 어려움 호소
- 독일 연방 보건부 확진자와의 접촉자 추적을 위한 핸드폰 추적 허용 법률개정안 강한 반대로 부결 (자료: Spiegel)
(6) 그 외 유럽지역
ㅇ (네덜란드) 웨스트랜드市, 6월까지 기업의 지방세 징수 중단, 세금 연체이자 삭감(4%→0.01%)
(자료: Algemeen Dagblad)
ㅇ (벨기에) 노동부, 23일부터 3일간 코로나19 긴급조치 미준수 기업 84곳 적발, 범칙금 부과 및 7곳 영업정지 조치
(자료: De Standaard)
ㅇ (스웨덴) 3.29일부터 50명이상 행사 금지, 미준수 시 벌금 또는 최대 징역 6개월형
ㅇ (핀란드) 국회, 기업지원금 규모 10억 유로 제안(정부안 대비 5배)
- 수도권 이동제한 및 요식업 영업 제한안 의회승인절차 진행 중
ㅇ (스위스) 취리히市, 신청자(4.4 한)에 한해 개인 및 중소기업 사업자에게 각각 2,500 프랑씩 지급 예정 (자료: 재무부)
ㅇ (불가리아) 중국과 코로나 바이러스 검진 키트, 마스크, 산소호흡기 등 구매 계약 체결 (자료: https://www.monitor.bg)
4. 일본
ㅇ 외국인 입국제한조치 연장
- 기존 입국제한 국·지역(한국 대구경북, 중국 후베이성, 이탈리아 등)發 외국인 입국제한 연장을 발표
(3.27-종료기간 미정) (자료: 법무성)
ㅇ 3월상순 무역통계 속보치 발표
- 수출액 19백만엔(전년동기대비 -8.9%), 수입액 21백만엔(+7.6%) (자료: 재무성무역통계)
ㅇ 마스크 공급, 4월 7억 장 넘을 것
- 스가 관방장관, 3월 6억장 정도 마스크 공급, 4월 7억장 이상 가능할 것 (자료: 닛케이신문)
5. 동남아대양주
ㅇ (베트남) 베트남 전역 사업장 운영 제한 조치 시행 (자료: Chinhphu)
ㅇ (인도네시아) 조코위, 사회취약계층 지원 결정 (자료: Antaranews)
ㅇ (싱가포르) 총 480억 싱달러 규모 2차 지원계획 발표 (자료: 현지 정부)
ㅇ (캄보디아) 건강진단서 일부 발급거부로 출국 불가 사례 발생 (자료: Khmer Times)
ㅇ (호주) 모든 입국자 대상 14일간 자가격리 실시 (자료: 현지 정부)
6. 서남아
ㅇ (인도) 델리 주정부, ‘전자통행증’ 색깔별 분류 시행 및 ‘헬프라인’ 운영
- 관리 편의성 차원 업종별 색깔 분류 (자료: Hindustantimes)
7. 중동
ㅇ (UAE) 미국, 독일 등 전세기로 현지체류 자국민 복귀 지원 (자료: WAM)
ㅇ (사우디) 재택근무 연장, 국제선 여객운항 중단, 대중교통 운영 중단 (자료: 보건부 및 내무부)
ㅇ (요르단) 통행금지 위반차량 273대 압수 및 위반자 341명 체포 (자료: Roya News)
ㅇ (이란) 도시간 이동금지령 발표(3.26~4.3) (자료: ISNA)
- 국가개발편드 10억달러를 국가보건 시스템에 투입 (자료: Iran News)
ㅇ (알제리) 통금조치 확대, 의료기관 전면소독 (자료: 총리실, APS(관영통신))
8. 중남미
ㅇ (브라질) 경제부 장관, “코로나19 대응 위해 R$7,000억 투입 필요” (자료: CNN Brasil)
- 브라질 정부 및 중앙은행, 중소/중견기업 근무 노동자 지원 대책으로 R$400억 지원 발표
- 위생감시국, 6개 신규 승인으로 총 17개 진단키트 승인 (자료: IstoE Dinheiro)
ㅇ (아르헨티나) 3.27~3.31일 국경폐쇄 강화로 자국민 입국도 금지
ㅇ (에콰도르) 국제유가 하락 속에 기술결함으로 석유생산량 감소
ㅇ (파나마) 공공안전부, 국가비상사태를 틈 타 마약밀매 등 다양한 범죄 발생에 우려,
통행금지 및 금주령 등 행정명령의 준수 당부
9. 아프리카
ㅇ (남아공) 3.26일 자정부터 락다운 시행, 경찰 및 군인
도로 통제 시작
- 3.25(수) 코로나19 확진 판정 후 격리 및 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남성 살인미수죄로 검거 (자료: News24)
ㅇ (짐바브웨) 미국 달러 등 외화의 시장 유통을 재허용
- 공채율(official lending rate) 인하(35→25%) (자료: Fin24)
ㅇ (케냐) 3.27일부터 전국 통행금지 실시(19시~05시)
- 알리바바 마윈, 진단키트 2만개, 마스크 10만장, 방호복 천벌 기증 (자료: 대통령 대국민 성명)
ㅇ (탄자니아) 국경 및 공항 등에 27개 검사소 설치, 알리바바 마윈이 진단키트 2만개 및 방호복
1,000개 기부해 검사역량 강화 기대
10. CIS
ㅇ (러시아) 3.27일 0시부터 정기 국제선 비행편 운항 중단
- 격리조치 위반시 $7~15천 벌금 징수
ㅇ (우즈베키스탄) 민간병원에서도 치료 가능. 비용은 국가위기대응펀드로 충당.
격리자 임시수용 컨테이너 1만여 개 제작 및 배치 중 (자료: 현지 정부)
□ 해외 현지 기업 동향
1. 북미
ㅇ (미국)
- Apple, CDC-백악관 협업 ‘COVID 19’ 웹사이트 개설
(자료: CNBC)
- Toyota, 의료기기 기업과 협업해 북미 공장을 마스크 생산 공장 전환, 다음주 초 3D 프린팅 기술로 페이스 쉴드 대량생산 착수(1차로 텍사스·켄터키·인디애나·미시건지역 병원에 공급 예정) (자료: WSJ)
- GM·Ventec Life System, GM 인디애나 공장서 인공호흡기 생산 (자료: CNBC)
- Kroger, 자회사 슈퍼마켓 체인 포함, 총 23만 5,000명 추가 채용 완료, 2만 명 추가 채용 예정 (
자료: CNBC)
ㅇ (캐나다)
- Communauto, Zipcar 등은 차량공유 서비스 지속 (자료: Canada underwriter)
- Cogeco Media, Montreal’s La Presse, CN2i, 퀘벡 주 내 대기업 직원 해고, 임금삭감 조치
(자료: BNN Bloomberg)
2. 중국
ㅇ 메이디그룹(美的集团)우한공장, 생산라인 직원 2천여명 복귀, (복귀률 90%), 4.10일까지 조업 전면 회복
(자료: 메이디그룹)
ㅇ BYD, 기존 생산라인 개조 마스크 생산(500만 개/일)
(자료: 화시도시보)
ㅇ (대만) 마더보드 업계*, 미국·유럽 코로나 확산에 중, 아·태 지역 수출 비중 확대 *Asus, Gigabyte, MSI, ASRock, Biostar 등
(자료: 공상시보)
ㅇ (홍콩)
- HSBC, 해고 및 신규 채용 계획 잠정 유예 (자료: Headline Daily)
- HKTVmall, 1분기 매출액 전년 동기대비 89% 증가 예상 (자료: HK01)
3. 유럽
ㅇ (독일) VW, 8만명 근로 단축수당 정부 지원 신청 계획
(자료: tagesschau)
ㅇ (네덜란드) ABN AMRO 은행, 이자 상환 연기 제도 확대 적용
* 기존 소기업(신용한도액 250만 유로)에 적용하던 이자 상환 연기 제도를 대기업(250만 유로)으로 확대
ㅇ (벨기에) Coris BioConcept, 15분 만에 코로나19 감염 여부 확인 가능한
진단키트 개발해 판매 허가 획득
(자료: The Brussels Times)
4. 일본
ㅇ 이토추상사, 이탈리아 원단, 중국산 제품의 공급 중단 우려로 향후 리스크 관리 관점에서 일본산 등 조달 검토 계획 (자료: 일본경제신문)
ㅇ 연회용/숙박업소용 식자재 수요 급감으로 냉동수산물 재고 물량 체증 심각, 코로나 사태 초기에는 중국산 제품에 대한 기피현상이 현저했으나, 업계 전반의 영업상황이 악화됨에 따라
코스트 절감 위해 다시 중국산 수입으로 돌아서는 업체 증가 추세
5. 동남아대양주
ㅇ (인도네시아) 제지기업 Sinarmas, 마스크 신규 생산 돌입
6. 중남미
ㅇ (멕시코) 주요 완성차 공장가동 중지로 자동차 산업 큰 타격 전망 3월 말 기준 영업매출이 40~50% 떨어질 예정이며, 4월 및 5월에는 85~90%의 매출 감소가 전망 됨. 2020년 총 매출은 26% 감소 전망
(자료: El Economista)
- 도요타 북미(멕시코, 미국, 캐나다) 생산 공장들은 기존 4.3까지 휴업하기로 하였으나,
4.20까지 공장 가동중지 연장 결정
(자료: El Economista)
7. 아프리카
ㅇ (모잠비크) 브라질 광산기업 Vale社, 주재원 철수 (자료: Club of Mozambique)
8. CIS
ㅇ (러시아) 얀덱스, 코로나19 대응 위해 15억 루블(약 $2천만) 투자 예정
- 원격교육, 배달 서비스(음식 외), 인구동향 정보 등 다양한 분야 투자
□ 해외 현지 비즈니스 환경 동향
1. 북미
ㅇ (미국) 3월 소비자심리지수 큰 폭 하락(101→89.1) (자료: CNBC)
ㅇ (캐나다) CCPA(Canadian Centre for Policy Alternatives), 2백만 명이 코로나19로 실직 또는 실직위기.
실업률 2배 이상 증가 전망
(자료: CCPA)
- 외식업 종사자 절반 이상인 50만여명 실직
(자료: The Guardian)
2. 중국
ㅇ 가정용 프린터 인기
- 학생용 전년동기비 200% 증가, 가정에서 구입한 사무용프린터 전년동기비 100% 증가
(자료: 신랑망)
ㅇ (대만)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서비스 운영 호조
- 전자잡지 플랫폼 Kono, 2월 신규 회원 수 전월대비 +70%, 열람 수 +50%
(자료: 공상시보)
3. 유럽
ㅇ (프랑스) 재택근무 증가로 온라인 협업 플랫폼(Slack, MS Teams) 인기
- Slack은 2.1일 이후 회원 기업 9,000개사 증가, Microsoft Teams 3.8일부터
1주간 국내 어플 다운로드 305% 증가
(자료: 레제코)
ㅇ (독일) 프랑크푸르트 국제 소비전시회(Tendence)(6.27~30) 취소
- Bitkom 연구, 탄력근무 및 화상회의 증가, 근무자 33% 재택 경험 (자료: tagesschau)
ㅇ (영국) 슈퍼마켓들, 온라인 배송 일자/시간 선택 시 노인 등 취약계층 우선권 부여 (자료: BBC 뉴스)
4. 일본
ㅇ 생산축소 지속으로 건기/철강 등 제조업계 직격
- 자동차 업계의 해외공장 중지 등에 따른 부품수급문제, 국내수요 급감에 따른 생산조정 등의
영향이 국내 철강·부품소재분야까지 파급
(자료: 닛케이신문)
5. 동남아대양주
ㅇ (베트남) 호치민시, Grab 등 차량공유서비스 중단 (자료: Sigontimes)
ㅇ (인도네시아) 중앙은행·증권시장 거래시간 단축 (자료: 중앙은행, 증권거리소)
ㅇ (호주) 비대면 거래에 따른 콜센터 상담 수요 급증 (자료: 현지 언론)
6. 서남아
ㅇ (인도) 스마트폰 출하량 전년 대비 38%∼40% 감소 전망 (자료: ZDnet)
7. 중동
ㅇ (사우디) 예멘 후티반군 미사일 공격(3.28)에 따른 불안 가중
8. 중남미
ㅇ (멕시코) S&P, 멕시코 국가신용등급을 BBB+에서 BBB로 하향조정 (자료: El financiero, Milenio)
9. 아프리카
ㅇ (남아공) 21일간의 락다운으로 2분기 실질 GDP 23.5% 감소전망 (자료: IOL)
* 계절조정된 연간 비율(seasonally adjusted annual rate) 기준
ㅇ (케냐) 중앙은행, WB(8억 달러), IMF(3.5억) 등 총 11.5억 달러 긴급 조달 예정으로 5월초부터 투입 기대
(자료: Business Daily)
'글로벌 비즈니스현황&코로나 바이러스 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 글로벌 및 비즈니스 동향 (0) | 2020.04.02 |
---|---|
코로나19 글로벌 및 비즈니스 동향 (1) | 2020.04.01 |
코로나19 속 홍콩에서 찾는 새로운 기회 (1) | 2020.03.30 |
코로나19 글로벌 및 비즈니스 동향 (0) | 2020.03.27 |
코로나19 글로벌 및 비즈니스 동향 (0) | 2020.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