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글로벌 동향
1. 북미
(1) 미국
ㅇ 보건복지부, GM과 인공호흡기 3만개 계약(4억8,940만 달러) (자료: CNN)
ㅇ 세관국경보호국·연방재난관리청, 개인보호구 사실상 수출 중단
- 연방 재난관리청이 수출허가 또는 연방정부 매입 결정 (자료: Reuters)
ㅇ 백악관, 4월 말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여부 논의 (자료: ABC, CNN)
ㅇ (뉴욕주) 실업급여 지급 금액 및 기간 확대 (자료: CNN)
- 즉시 실업급여 신청자에 주당 600달러 추가 지원(향후 연방정부 청구),
기간도 13주 연장해 최장 39주까지 수당 지급
- (뉴욕시) 의료병력 추가투입 지원을 호소 (자료: CNBC)
ㅇ (뉴저지주) 비필수 산업 범위 확대, 건설활동 전면중단
- 소매점 직원 및 쇼핑객은 반드시 얼굴을 마스크 등으로 가리고, 입장객 수는 실내 수용 가능 인원의 50%를 유지할 것을 발표 (자료: CNN)
ㅇ (미시간주) 웨인카운티, 안치실 부족으로 이동형 냉동고 4대 주문 (자료: CNN)
(2) 캐나다
ㅇ 사업체 임금 75% 보조 재정지원 기준 완화 예정 (자료: CBC News)
* (기존기준) 전년 동기 대비 수입이 30% 이상 하락한 경우
(변경기준: 중소기업만 해당) 2020년 1, 2월 대비 수입이 15%이상 하락한 경우
ㅇ Thornhil Medical, CAE 등과 협력, 산소호흡기 자체 생산 예정(30,000개)
ㅇ 조달청, 지난 월요일 중국발 마스크 8백만개 포함 의료용 마스크 총 2.3억개 수입, 마스크 1,600만개 추가 수입 예정 (자료: CBC News)
ㅇ (온타리오) 주내 자체생산(자동차부품공장) N95 마스크, 보건부 승인으로 4.7일부터 사용 시작, 매주 백만개 공급 예정 (자료: CBC News)
ㅇ (토론토) 요양원 대상 3월 말 공급했던 6만여 개의 마스크, 품질 및 제작장비 안전기준 미달로 전량 리콜 계획 (자료: CBC News)
2. 중국
ㅇ 시진핑, 균형적 조업재개 및 경기운영과 내수기반 성장 주문
- 방역조치 및 조업재개 여건 창출, 국내수요 확대 등 (자료: 중국정부망)
ㅇ 4.8일부 한국 등 26개국에서 입국하는 중국인, 항공기 탑승 전 ‘방역건강정보국제버전’ 위챗 등록 의무화, 기록 없을 시 탑승 금지 (자료: 민항국, 해관총서)
ㅇ 일부 통계에 따르면, 전국 30여개 지역에서 소비쿠폰 발행, 총 발행 금액은 56억 위안 초과 (자료: 공업정보화부)
- 알리페이 등 전자 소비쿠폰 발행 규모 40억 위안 초과
- 천만 개 이상 오프라인 업체 수혜, 90% 이상이 중소기업, 자영업 등
ㅇ 청명절 연휴 중국 관광객·관광수입 각각 61%, 81% 감소
- 5G 관광방송, 가상현실(VR)을 활용한 클라우드 투어 등 인기 (자료: 여유연구원)
ㅇ (저장성) 알리바바그룹과 전략적 제휴 협약 체결
- 제조업 유통 중 중간 대리상을 없애고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C2M (Customer-to-Manufacturer)
모델 제시 (자료: 저장일보)
* 3년내 100여개 생방송 기지 설치 및 C2M 전용 공장 100여개 설립 등 구체적 실행목표 설정
ㅇ (홍콩) 오락시설 폐쇄,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 연장(~4.23일) (자료: 홍콩 정부)
ㅇ (대만)
- 노동부 ‘노동시장 안정정책’ 발표 (자료: 경제일보)
* 비임금근로자(프리랜서 등) 대상 3개월 간 월 10,000 NTD 지원 등
- 외교부, 신남향정책 대상국*에 마스크 100만 개 기부 계획 (자료: 자유시보)
*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인도네시아, 베트남, 인도
- 미국, 유럽 11개국, 15개 수교국에 총 1,000만개 기부 완료
3. 유럽
(1) EU
ㅇ EU의료팀 이탈리아 파견 및 중국 기부 의료장비* 전량 이탈리아로 공급,
스페인 확진자수 증가로 추가 의료보호장비 운송 계획 중
* 수술용마스크 2백만개, N95마스크 20만개, 진단키트 5만개 (자료: EU 보도자료)
ㅇ 유로그룹, 경제부양책 유로구제금융(ESM) 사용, 코로나채권 합의 실패
ㅇ 집행위, 개발도상국에 150억 유로 지원계획 발표(지원대상 미발표)
ㅇ 유럽의약청, “일부 회원국 수출제한으로 치료의약품 부족 임박”
- EU집행위, 프랑스, 폴란드, 헝가리, 루마니아, 슬로바키아의 의약품 수출제한 조치의 합법성 여부 검토 중
(자료: Euractiv)
(2) 스페인
ㅇ 보건부, 국내 3만 가정 대상 감염 테스트 실시 후 결과에 따라 이동제한 규제 완화 여부 결정할 방침
- 스페인 내 감염자 16명 중 15명은(감염자 중 90% 이상) 확진자로 미등록된 것으로 추정
(자료: El Pais)
(3) 이탈리아
ㅇ 바이러스 감염곡선 하향 시작 (전날 신규 확진자 1% 이하)
ㅇ 교통부, 전국적으로 필수 상품 및 운송은 유지, 다음주 발표될 정부조치에 따라 운영확장 가능성
(자료: Il sole 24, La repubblica)
(4) 독일
ㅇ 로베르트코흐연구소(RKI), 시신 및 장례 관련 기준안 제시 (자료: RKI)
ㅇ 연방 보건부, 병원에 중증환자용 여유 침상 신고 의무화
ㅇ 자동차 산업의 회복을 위해 중국 산업 회복의 필요성 부각 (자료: Welt)
(5) 프랑스
ㅇ 중앙은행, 2020년 1분기 성장률 –6% 발표, 1945년 이후 최악의 상황으로 프랑스는 공식적으로 경기후퇴로 진입
ㅇ 파리시, 외출금지 예외 사항이었던 개인운동, 10시-19시까지 금지
ㅇ 교통부, 에어프랑스-KLM, 코로나 19 위기로 약 60억 유로규모의 자금이 필요
ㅇ 해운협회, 최근 급격한 선박운행 감소로 정부에 경제적 지원 요청 (자료: 르몽드. 레제코, 피가로)
(6) 기타 유럽 지역
ㅇ (스위스)
- 증액한 중소기업 대출 보증금 200억 중 100억 프랑 조기 집행 결정
- 중국과 호흡기 공급, 의료, 백신 제조 및 연구 협력 확대 합의
ㅇ (벨기에)
- 연방정부 전문가그룹, “봉쇄조치 중단 논의는 시기상조” (자료: De Standard)
- 정부, 국제 민간-공공 협력단체인 감염질환대응혁신연합회(CEPI) 백신연구에 5백만 유로 지원
(자료: The Brussels Times)
ㅇ (네덜란드) 정부 자영업자 지원(수입 감소 시 4,000유로) 범위 확대(택시기사, 치과의사, 타투 아티스트 등 포함)
(자료: Dutchnews)
ㅇ (스웨덴) 국립보건청, 코로나 추적에 모바일 데이터 사용 결정
- 의료진 감염 심각 수준(린쇄핑 대학병원 수술실 50% 감염)
ㅇ (폴란드) 일자리 보호 및 대규모 구제 등 2,430억 유로 규모의 경기 부양책 추가 발표
(자료: 폴란드 정부 및 현지 언론)
ㅇ (헝가리) 중앙은행, 3조 포린트(83억 유로) 상당 경제부양책 지원 발표
4. 일본
ㅇ 긴급사태 선언에 따라 각 지자체는 △외출자제요청(강제성 無) △휴교조치 △업종별 휴업요청
△특정물자(마스크 등)의 공적 매입(및 수용) △행사 개최 제한 등의 조치가 가능
(자료: 내각부 및 각 지자체 홈페이지)
5. 동남아 대양주
ㅇ (베트남) 4.15일 종료예정 사회적 거리두기 연장 고려 (자료: Hanoi Times)
ㅇ (싱가포르) 6개월간 사적·공적 모임 금지 법안 통과 (자료: 싱가포르 정부)
ㅇ (말레이시아) 이동제한명령 재연장 여부 4.10일 발표 예정 (자료: 말레이시아 정부)
ㅇ (태국) 새학기 시작 5월 중순 → 7.1일로 연기 (자료: Bangkok Pos)
ㅇ (필리핀) 스포츠센터 등 국립 시설 격리용 공간으로 전환 완료 (자료: ABS-CBN)
ㅇ (호주) 부활절 연휴기간, 가정에 머물러 줄 것 당부 (자료: 현지 언론)
6. 서남아
ㅇ (인도) 인도 주(州) 정부, 락다운 연장 요청 (자료: The Indian Express)
- 개인보호장구 수급난에 중국발 17만 벌 수입 (자료: Live Mint)
- 군방부(OFB), 군수품 활용 진단시설 마련 (자료: AllIndiaRadio)
7. 중동
ㅇ (UAE) 코로나19 드라이브스루 검진센터 업무 개시 (자료: 두바이 공보실)
ㅇ (바레인) 공공장소 마스크 착용 등 추가조치 발표 (자료: 보건부)
ㅇ (모로코) 마스크 착용 의무화 (자료: 모로코 정부)
ㅇ (이집트) 긴급조치 및 통행금지 기간 4.22일까지 연장 (자료: Ahram Online)
ㅇ (알제리) 특별 금융조치 시행 발표 (자료: APS)
ㅇ (사우디) 보건부, 확진자 수 최대 20만명 예상 발표 (자료: 보건부)
ㅇ (터키) 확진자 및 자가격리 대상자 추적 어플 개발 (자료: 보건복지부)
8. 중남미
ㅇ (멕시코)
- 4.7(화) 의료장비(KN95 마스크 최소 80만 개, 장갑 1백만 개, 인공호흡기, 모니터 등) 중
국으로부터 도착 (자료: Uno TV)
ㅇ (브라질)
- 바우처 개시 하루만에 2,200만 명 신청 등록 (자료: FOLHA DE SAO PAULO)
- 보건부 장관, 이미 13.5만개의 RT-PCR 검진 키트를 배포했다고 발표. 금주 중 30만 개의
검진키트가 추가로 브라질 도착 예정 언급
* 급속키트의 경우 앞으로 1,000만 개 공급을 달성할 때까지 매 주 100만 개 씩 공급할 예정
(자료: VALOR ECONOMICO)
ㅇ (칠레) 2차 경제부양정책 발표, 저소득층 대상 현금지원 대상범위 확대 (무직자들 위주 확대)
(자료: 대통령실, 보건부, CNN Chile)
ㅇ (파라과이) 12일까지 시행하기로 했던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Cuarentena)”를 1주간 연장 (자료: Ultimahora)
ㅇ (아르헨티나) La Rioja 및 Catamarca 주에서 4월 6일부로, Jujuy 주에서 4월 10일부로 공공장소에서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
- 정부가 4.23일까지 이동제한령 재연기를 검토하고 있으며 4일 후 공식 발표 예상
(자료: 아르헨티나 정부 및 INFOBAE 일간지)
9. 아프리카
ㅇ (남아공) 주요 드럭스토어 그룹 Dischem이 드라이브쓰루 검사를 시행할 예정, 검사비는 R850 (자료: News24)
- EU, 네덜란드인 1,000여 명, 프랑스인 250여 명 등 회원국민용 전세기 운항 예정(KLM은 전세기 5편)
(자료: DispatchLIVE)
ㅇ (짐바브웨) 락다운 조치 완화로 송금회사 주3회 영업 가능, 농산물 판매 가능 (자료: Moneyweb)
ㅇ (코트디부아르) 국방부 장관 확진 판정
ㅇ (수단) 최소 2~3주간 락다운 조치 시행 검토
10. CIS
ㅇ (러시아)
- 극동지역 국경검문소 3곳, 중국측 사정으로 잠정 폐쇄. 물류는 철도로 대체할 예정으로
4월 중순 이후 재개 전망 (자료: 모스크바뉴스에이전트 등)
- 모스크바-인천 특별편으로 4.8일(수) 모스크바 교민 260여명 귀국 완료
ㅇ (카자흐스탄) 알마티 시에 정부 재정 약 14억 텡게($320만) 투입
ㅇ (우즈베키스탄) 중국으로부터 마스크·방호복 생산원료 40톤 수입
□ 해외 현지 기업 동향
1. 북미
ㅇ (미국)
- JetBlue, 항공편 감축운항으로 지역별 이용 공항 축소 (자료: CNN)
* (예) 뉴욕시의 경우 JFK·뉴왁 공항 외에 라과디아·웨체스터카운티·스튜와트 공항 통하는 항공편 모두 운항 중단
- Tesla, 4.13일부터 재택근무 불가 직원 무급휴직, VP 이상 직급은 20~30%, 그 외 직원은 10%의 임금 삭감 조치
(자료: CNN)
- Dupont·Fedex, 협업 통해 베트남에서 의료진 보급용 타이벡 수트 45만장 항공수송 완료. 전략적국가비축물자로
편입, 연방재난관리청 통해 필요한 지역으로 배급 예정 (자료: CNBC)
ㅇ (캐나다)
- Air Canada, 임시 해고했던 직원 중 16,000여명 정부 지원 보조금으로 재고용 가능할 전망 (자료: The Star)
- Qualinet, 방역 수요 증가로 500여명 추가 고용, 최근 방역업체를 중점으로 신규채용 증가세 (자료: CTV News)
2. 중국
ㅇ 칭다오 폭스바겐(一汽大众) 직원 복귀율 99%, 3월부터 2교대 근무 日 생산량 920대 달성
- 232개 부품 공급업체(후베이성 포함) 모두 조업재개 완료, 산둥성 내 공급업체만으로도 日 평균 1,200개 이상의 부 품 공급 가능 (자료: 칭다오일보)
ㅇ (홍콩) 글로벌 부동산 종합서비스 회사 Cushman&Wakefield, 홍콩의 ’20.1분기 4대 핵심 지역 임대료가
전분기 대비 15~20% 하락. 상가 공실률 확대 및 올해 약 1,000개 식당 폐업 예상 (자료: HK01)
3. 유럽
ㅇ (독일)
- BMW, 마스크 일산 수십만 개 (자료: Sueddeutsche Zeitung)
- 포르셰 자동차 부활절 이후까지 생산중단 연장 (자료: Automobilwoche)
ㅇ (벨기에) Ekivrac사, 봉쇄조치 이후 지역 농산물과 유기농 식품을 선호하는 고객이 증가해 매출이 50% 증가
(자료: L’Echo)
ㅇ (스웨덴) Uniti(전기자동차 개발생산업체), 구조조정 신청 (자료: DI)
4. 일본
ㅇ JTEKT(도요타 1차벤더), 긴급사태 선언된 도쿄‧오사카 외에 시코쿠 출장 등도 원칙적으로 금지 결정
ㅇ 아이신정기(도요타 1차벤더), 긴급사태로 인해 정상근무가 불가능해진 도쿄 지사의 업무를 아이치 본사로
이관하는 방법 검토 중
ㅇ 도요타그룹, 자사 사용을 위한 마스크 등 방호용품 생산 및 도쿄 등 감염 확대 지역에서 경증 환자 이송 지원
시작 (자료: 일본경제신문)
5. 동남아 대양주
ㅇ (인도네시아) 산업용 테이프 유통사, Yamaha·Suzuki·Honda 등현지 완성차 조업 중단에 따라 한국제품 유통에 차질
6. 서남아
ㅇ (인도)
- 인도 철강업계, 락다운 조치 속 재고증가
- 말라리아 치료제 수출규제 완화 발표에 대미수출 증가 기대
7. 중남미
ㅇ (브라질) 주요 자동차 제조 기업, 공장 운영 중단 연장
- 자동차협회(Anfavea), 브라질 63개 자동차 공장이 생산 중단, 약 12만 3천 명의 근로자가 단체 휴가,
또는 재택근무 돌입
- Honda의 경우 Sumare와 Itirapina의 공장 운영을 4.14일부로 재개할 계획이었으나 4.27일까지 중단할 계획을 발표
8. 아프리카
ㅇ (탄자니아) 에티오피아 항공, 아디스아바바 경유 서울 노선 운항잠정 중단(4.7) 한국행, 항공편 운행중단으로
귀국 항공편 애로
9. CIS
ㅇ (러시아)
- 최대 스포츠용품점 Sportsmaster 5.1일까지 영업중단, 직원 정상급여 지급 예정
- 도요타, 모스크바 의료기관에 SUV 등 45대 3개월간 무상제공
- Chemrar, 러 직접투자펀드와 설립한 JV 통해 다음 주 증 중국에서 코로나19 치료제로
활용 중인 파비피라비르 시험생산 예정
□ 해외 현지 비즈니스 환경 동향
1. 북미
ㅇ (미국)
- 연준, 웰스파고 은행에 대해 중소기업 대출 강화 목적으로
기존의 대출 상한제재 일시적· 부분적으로 완화 (자료: WSJ)
- 연준, 공개된 3월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의사록에 따르면 경제 상황에 따라
당분간 현 제로금리 유지 (자료: CNBC)
- 미국 4명 중 1명, 코로나19 셧다운으로 실직 혹은 급여 삭감 (자료: CNBC All-America Economic Survey)
- 미 이코노미스트, (1) 올 하반기 미 경제 회복기, (2) 올 봄 실직자
1,440만 명, (3) 6월 평균 실업률 13%, 12월까지 10%대 전망 (자료: WSJ Survey)
- IBM, 랩탑·네트워킹기어·서버 등 테크 관련 기기 부족 사태 직면 (자료: WSJ)
2. 중국
ㅇ 중의약(감기약 连花清瘟 등) 부상
- 중국 유학생 및 화교 등 중의약 선호도가 높아짐
- 일부 약품의 해외 판매가는 중국내 가격의 6배 이상 급등 (자료: 중신경위)
ㅇ 닭가슴살 가공제품 인기
- 유싱(优形, 닭가슴살 브랜드), 3월 판매액 전년동기대비 10배 상승 (자료: 신랑재경)
ㅇ (대만)
- 정보산업硏(MIC) “원격지원·비접촉 수요 확대는 서버, 인터넷설비, 노트북·태블릿PC, 서비스형 로봇, 보안,
전자상거래, 음식배달 서비스, 화상회의/협업/이러닝 플랫폼, 디지털교과서, 구독형 서비스,
온라인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등 유리” 분석
ㅇ LINE 메신저, KLOOK(여행액티비티 플랫폼)도 음식배달 지원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발표 (자료: 경제일보)
3. 유럽
ㅇ (벨기에) 중소기업 중 31%는 코로나19 경제위기에 살아남지 못할 가능성 높음 (Belfius 조사결과)
(자료: The Brussels Time)
◦ (프랑스) 파리종합병원(AP-HP), 3D 프린터기 60대 구입 (자료: 레제코)
ㅇ (스페인) 유통협회(ANGED), 금년 스페인 유통업 매출 전년대비 약 10% 감소 전망 (자료: 경제지 Cinco Dias)
ㅇ (독일)
- 증시(Dax) 10.000포인트 넘어 2일 연속 상승 (자료: Sueddeutsche Zeitung)
- 중국발 독일행 화물운송 재개되고 있으나 독일발 수출 정체로 함부르크 부두에 쌓인 빈 콘테이너 처리문제 대두
- 상장기업 적대적 기업인수에 노출 위험 증가, 벤츠(Daimler), 프로지벤(Pro7)등 (자료: Handelsblatt)
4. 일본
ㅇ 3월 기업 도산 건수 740건(도쿄상공리서치 조사)
- 동 조사에 따르면, 3월 기업도산건수는 전년동기대비 12% 증가한 740건으로, 코로나19 관련은 12건
(자료: 닛케이신문)
- 주요업종은 숙박·음식업 등 서비스업으로, 이른바 “불황형” 도산 증가추세
ㅇ 쥬로쿠은행, 타카야마시 호텔 가동률이 3월에 10%대로 떨어졌으며, 긴급사태로 4월에는 더 감소할 것이라고
예측 (자료: 일본경제신문)
ㅇ 쿠마모토 현, 코로나19 감염 확산 방지 대책으로 백화점 등 7일 임시 휴업 실시 (자료: 쿠마모토 방송)
5. 동남아 대양주
ㅇ (베트남) 부동산·숙박·식당 등 34,800개 사업장 철수(26% 증가) (자료: Sigon Times)
ㅇ (싱가포르) 온라인 쇼핑몰 Redmart, 평균주문량 3배 증가 (자료: Channel News Asia)
ㅇ (필리핀) 필리핀 항공운송업협회, 정부에 재정 지원 요청 (자료: Inquirer)
ㅇ (인도네시아) 코로나19로 인해 실직자 급증 (자료: Kompas)
ㅇ (호주) 대중교통 대신 자동차 공유서비스 증가(70% 상승) (자료: 현지 언론)
6. 서남아
ㅇ (인도)
- 서비스업 PMI 지수 5개월 만에 최저치로 급락 (자료: Business Standard)
- 생활소비재 업계, 봉쇄 종료 후 생산 규모 확대 준비 (자료: Financial Express)
7. 중동
ㅇ (사우디) 러시아, 원유 생산량 감축 합의 가능성 시사 (자료: Arab News)
8. 중남미
ㅇ (멕시코) 노동부에 따르면, 3.13-4.6 기간 동안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현재까지 멕시코에 346,000개의
일자리가 사라짐
- 가장 많은 실업이 발생한 주는 킨타나 로(56%)이며, 그 뒤를 멕시코시티, 누에보 레온, 할리스 코,
멕시코 주가 따름 (자료: El Financiero)
9. 아프리카
ㅇ (남아공)
- 대통령,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과 아프리카의 코로나19 사태 대응에 협력하기로 합의 (자료: IOL)
- 중앙은행, 지난 3월 남아공 국채 10억 랜드 매입 (자료: Business Day)
ㅇ (수단) 산업부, 4월 10일부터 6개월 간 신차 수입 금지 발표
- 수단 파운드화의 달러 대비 지속 하락으로 당분간 수입 금지 조치를 단행 (자료: 산업부)
'글로벌 비즈니스현황&코로나 바이러스 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 글로벌 및 비즈니스 동향 (0) | 2020.04.13 |
---|---|
코로나19 확대로 변화하는 일본의 채용 활동 (0) | 2020.04.13 |
코로나19 팬데믹, 美 산업별 승자와 패자는 (0) | 2020.04.08 |
코로나19 글로벌 및 비즈니스 동향 (0) | 2020.04.06 |
코로나19 글로벌 및 비즈니스 동향 (0) | 2020.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