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득증가에 따른 건강·미용 소비액 빠르게 성장 -
- 미세먼지와 코로나19 속 가정 내 운동기구 수요 증가 -
□ 상품명 및 선정 사유
ㅇ 상품명: 트레드밀(HS Code 950691) - 일반적으로 육체적 운동·체조·육상 경기에 사용하는 물품
ㅇ 선정 사유
- 코로나 시기 실내운동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트레드밀 구매 증가세 빠르게 확대
- 2019년 對韓 수입 증가율 급속 증가(58%) 품목으로 디자인 등에 우세 보유하고 있는 한국 제품에 대한 인기 급상승
- 트레드밀 주요 판매 형태가 중고가 및 고중량(업소용) 제품에서 수출기업에 유리한 중저가 및 저중량(가정용) 형태로 변화함에 따라 시장 개척 가능성 점쳐짐.
□ 체육산업 전반의 빠른 발전세
ㅇ 정부의 지원정책과 국민소득 증가에 따라 건강 및 체육산업 전반에 대한 생산 및 소비규모 빠르게 성장 중
- 2019년 중국 국가통계국에서 발표한 <2017년 전국 체육산업 총 규모 및 부가가치 데이터 공고(2017年全国体育产业总规模和增加值数据公告)>에 따르면 중국 체육산업 규모는 2012년 1조 위안에서 2017년 2조 3000억 위안으로 연평균 12.6% 성장하며, 중국 GDP성장률을 크게 상회하는 빠른 성장세 구가
자료: 중국 국가체육총국, 艾媒咨询 정리, KOTRA 시안 무역관 번역
- 이 중에 2017년 체육용품 제조산업은 1조3000억 위안 규모로 전체 체육산업의 61.4%를, 부가가치 기준으로는 3200억 위안을 기록했고 체육산업 전체 부가가치 창출액(7800억 위안)의 41.8%를 차지함.
- 다만 2020년 1월 중국 국가통계국에서 발표한 <2018년 전국 체육산업 총 규모 및 부가가치 데이터 공고(2018年全国体育产业总规模和增加 值数据公告)>에 따르면 2018년 제조업의 부가가치 창출 점유율은 2017년의 41.8%에서 33.7%로 하락하며, 서비스업의 비중이 확대되고 있음을 확인
자료: 중국 국가체육총국, 艾媒咨询 정리, KOTRA 시안 무역관 번역
□ 실내 운동기구의 수요 급증
ㅇ 정부의 체육산업 확대 조치들에 의거 헬스장 운영과 이용에 대한 다양한 보조조치가 이뤄지면서 실내운동 산업 규모가 빠르게 성장
- 국가체육총국은 2018년부터 개별 헬스장에 보조금을 제공하고 소비자들이 저렴한 가격으로 헬스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2019년 지원금 보조 대상 헬스장은 2018년 지정된 1277개 업체에서 1323개 업체*로 늘어나는 등 지속적인 증가추세가 예상됨.
주*: <体育总局办公厅关于发布2019年中央财政资金补助的大型体育场馆名单的公告>(’19.6.)
ㅇ 국가체육총국에 따르면 중국의 헬스산업 규모는 2012년 1068억 위안에서 2018년 1633억 달러로 연평균 6% 수준 성장 중
- 이 중 2018년 실내헬스기구 산업 규모는 2017년 203억 위안에서 8억 위안 증가한 211억 위안을 기록했으며, 특히 트레드밀 시장규모는 2012년 20억 위안에서 90% 증가한 38억 위안을 기록하며, 전체 실내운동기구 중 가장 높은 점유율(18%)을 기록
□ 트레드밀 시장현황
ㅇ 헬스장 구매 수요(단체구매)가 다수 차지하나 가정(개별구매) 소비액 또한 빠르게 상승 중
- I-media Research(艾媒咨询)에 따르면 전체 트레드밀 판매액 중 기체무게 50kg 이하 제품의 판매액 비중은 2018년 약 30%까지 상승했으며, 70kg(45%) 이상과 50~70kg(25%) 제품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음이 확인됨.
자료: 알리바바, 艾媒咨询 정리, KOTRA 시안 무역관 번역
- 한편 “2019 T-mall 운동기구 소비추세” 통계데이터에 따르면 최근 2년 운동기구의 온라인 소비액은 빠르게 증가해왔으며, 이 중 Top3 제품은 트레드밀, 스핀바이크, 로잉머신이 차지
- 뿐만 아니라 핀뚸뚸(拼多多)에서 발표한 <2020년 3·8 여신절(女神节) 데이터>에 따르면 전 연령층에서 다이어트 제품이 가장 큰 사랑을 받았으며, 관련 제품 중 “접이식 트레드밀”의 판매 증가폭이 가장 크다고 함.
- 위의 자료들을 통해 가정용 경형 트레드밀 위주로 판매가 이뤄지는 전자상거래 플랫폼 내 판매량이 지속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 가능
□ 경쟁동향 및 유통구조
ㅇ 1개 수입대리상 지정, 지방 유통상을 통해 배포
- 일반적으로 중국 국내에서 수입, A/S, 제품안내 등을 담당한 총대리상을 설정 후 해당 대리상을 통해 지방 유통상에 배포하는 것이 일반적인 유통모델로 현재 라이프피트니스(총대리상: 奥利来) 등 대표적 브랜드에서 차용하고 있는 방식
- 한편 지역 유통상의 경우 다수의 총대리상과의 계약을 통해 여러 브랜드의 유통권을 확보, 영업점 및 개인고객 대상 가장 적합한 제품을 안내하거나 판매하는 형태를 취함.
- 제품 하자 및 품질 관리를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는 점 때문에 수출기업 측에서 지사설립보다는 광범위하게 활용하고 있는 방식이나 총대리상 설정에 문제가 생기거나 부적합한 총대리상이 설정됐을 경우 추후 중국 내 제품판매가 어려워지는 바 주의 필요
ㅇ 온라인 판매 위주, 스마트 가전의 경우 오프라인 체험관 운영
- 제품 간 성능 차이가 크지 않다는 점과 일반 소비자들이 사용하기에도 친숙한 기기라는 점, 부피 및 중량이 커 보관 및 교체가 쉽지 않다는 점에서 오프라인 대다수 브랜드가 온라인 매장을 통해 유통되고 있음.
- 대표적인 유통상의 경우 자사 홈페이지에 홍보관 및 피트니스별 맞춤형 설계 서비스 등 피트니스용 창구를 개설해놓은 한편 징둥 등 플랫폼에 플래그십 스토어를 개설, 가정용 제품 구매자들에 대한 마케팅도 함께 진행
- 한편 스마트 가전으로 취급되는 제품 (IoT형)의 경우 별도의 오프라인 체험관을 개설, 사용자에게 제품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
유형별 트레드밀 판매점
피트니스용(온라인 스토어) |
가정용(온라인 스토어) |
스마트 가전(오프라인 체험관) |
|
|
|
ㅇ 업소용과 가정용 시장 양분화 뚜렷
- 소비 타깃층에 따라 가격과 성능의 주안점 차이가 뚜렷함. 업소용의 경우 안정성과 스크린 활용도(TV 연결 원활 및 스피커 기능 탑재 여부) 등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가정용은 수납 용이성과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스마트폰 전용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한) 및 가격에 중점을 두고 있음.
- 고가 상품과 저가 상품 간의 가격차가 큰 편으로 800~25만 위안까지 다양하게 형성돼 있으며, 고가제품은 라이프피트니스사 등의 제품 위주로 주로 헬스장에서, 중저가는 샤오미의 접이식 트레드밀 등 제품이 가정 내에서 큰 환영을 받고 있으며 2100~2800위안대 제품 선호도가 높음.
브랜드별 트레드밀 경쟁 동향
상품명 |
상품특징 |
대표 사진 |
소매가(위안) |
AEON A10T |
- 무게: 251kg - 속도: 0.8~25km/h - 차지면적: 2370*990*1650 - 부하중량: 190kg |
|
258,000 |
LifeFitness T3 |
- 무게: 125kg - 속도: 0.8~19km/h - 경사도: 0~15도 - 차지면적: 2020*870*1460 - 부하중량: 158kg |
|
50,890 |
HUAWEI DFH |
- 무게: 57kg - 속도: 0.8~12km/h - 차지면적: 1567*335*1195 - 부하중량: 120kg |
|
2,299 |
자료: KOTRA 시안 무역관 자체정리
※ 바이어사 인터뷰 : 시안 X사 영업팀장
ㅇ 1400~10만 위안대까지 폭넓게 구성돼 있으나 판매량으로만 봤을 때 2400위안대 제품의 판매량이 가장 높음. ㅇ 1만 위안 이하 보급형 트레드밀의 경우 성능보다는 디자인, 수납 용이성, 소음여부에 소비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오프라인 매장 기준으로 남성보단 여성고객층의 상품 문의도가 높은 편 ㅇ 일반 가정 내 트레드밀 보급률과 사용 연수가 늘어나면서 다양한 소비자 의견이 나오고 있어 추후 시장수요 변화도 예측 필요 - 1000위안 이하 제품 내 소음과 진동문제가 심각히 나타나고 있어 소비자 불만 증가 및 구매감소 현상 나타나고 있음.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가기능들의 활용도가 낮은 다기능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빠르게 떨어지고 있음. - LED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2000위안 이하 제품에서 운동 중 안구피로 및 디스플레이 고장 문제가 흔하게 발생하고 있어 소비자 불만 증가 |
자료: KOTRA 시안 무역관 자체정리
□ 수입 및 관세율·인증 현황
ㅇ 2019년 對韓 트레드밀 수입액 동기 대비 59% 증가
- 2019년 중국의 트레드밀 수입액은 미국산 트레드밀 수입 감소에 따라 31.4% 하락한 4067만 달러를 기록했으나 한국산 제품의 수입액은 59% 증가한 90만 달러를 기록
- 한국산 점유율은 약 2%대로 높지 않으나 2019년 큰 폭으로 성장한 바 추후 지속적인 증가세 기대 가능할 것으로 전망
최근 3년간 중국의 對주요국 트레드밀(HS Code 95069111* 중국 HS CODE 기준) 수입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
국가명 |
금액 |
점유율 |
19년 수입 증감률 |
||||
2017 |
2018 |
2019 |
2017 |
2018 |
2019 |
|||
1 |
미국 |
28,033 |
29,951 |
17,533 |
46 |
49 |
42% |
-41.5 |
2 |
대만 |
23,675 |
20,329 |
12,892 |
39 |
33 |
31% |
-36.6 |
3 |
이탈리아 |
5,263 |
6,380 |
6,908 |
9 |
10 |
16% |
8.3 |
4 |
네덜란드 |
338 |
288 |
1,072 |
1 |
0 |
3% |
272.8 |
5 |
한국 |
594 |
568 |
903 |
1 |
1 |
2% |
58.9 |
6 |
독일 |
563 |
817 |
695 |
1 |
1 |
2% |
-14.9 |
7 |
스웨덴 |
0 |
129 |
292 |
0 |
0 |
1% |
125.8 |
8 |
멕시코 |
706 |
623 |
281 |
1 |
1 |
1% |
-54.9 |
9 |
일본 |
13 |
105 |
57 |
0 |
0 |
0% |
-45.6 |
10 |
홍콩 |
23 |
35 |
38 |
0 |
0 |
0% |
7.1 |
- |
전체 |
59,208 |
59,225 |
40,671 |
|
|
|
-31.4 |
주: 2019년 수입액 기준
자료: KITA
중국 트레드밀(HS Code 95069111* 중국 HS CODE 기준) 수입 관세율
기본세율 |
최혜국대우 세율 |
한-중 협정세율 |
기타 8개국 협정세율 |
50% |
6.0% |
4.8% |
0%(7개국), 3.6%(스위스) |
주*: 파키스탄, 뉴질랜드, 페루, 코스타리카, 아이슬란드, 호주, 조지아 (0%), 스위스(3.6%)
ㅇ 필수인증
- 트레드밀은 GB 17498.6-2008에 의거 중국 국가표준(GB) 획득이 필요한 상품으로 주요 테스트되는 기능은 아래와 같음.
· 아래 내용은 트레드밀에 대한 국가표준의 주요 테스트 대상을 요약한 내용으로 자세한 사항은 GB 17498.6-2008 해설 확인 요망
-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제품의 경우 IS09001 인증도 함께 진행되고 있으며, 제품 분류에 따라 3C(CCC)인증도 함께 요구될 수 있음.
1. 사용자 접촉이 가능한 지점에 대한 압력 테스트, 2. 트랜스미션 테스트, 3. 표면온도 테스트, 4. 긴급정지기능 테스트, 5. 안정성 테스트, 6. 부하중량 테스트, 7. 내구성 테스트, 8. 전면 및 좌우측 손잡이 테스트, 9. 런닝패드 테스트, 10. 전기안전 테스트(CCC인증 요구 가능성 존재), 11. 사용설명서 등 부가 테스트 |
□ 시사점
ㅇ 면역력 강화와 만성질환자의 건강유지방법으로 유산소운동이 각광받으면서 외출이나 피트니스 방문이 어려운 코로나 기간 자택 내 유산소 운동에 대한 관심 확대
- 다이어트 관련 제품의 매출은 꾸준히 유지되고 있으며, 코로나 종식 이후에도 중국 내 미세먼지 문제는 상존하고 있는 바 수요층은 지속적으로 존재할 것
ㅇ 최근 2·3선 도시 내 헬스장 개점 빈도가 높아지며, 중고가형 제품 수요가 크게 늘고 있으나 헬스장의 경우 제품 직접 수입보다는 기자재 벤더를 통해 일괄 구매를 진행하는 바 지역별 주요 벤더 접촉 필요함. 다만 업소 납품용 제품의 경우 후속 유지보수 업무가 이어져야 하는 바 현지 법인이 없는 경우 구매 수요 상대적으로 떨어질 가능성 높음.
ㅇ 가정용 제품은 주요 소비 가격대가 2000위안대로 고정돼 있어 성능보다는 디자인·수납성 위주의 제품으로 공략 필요
ㅇ 가정 내 점유면적이 높은 기구 중 하나로 인테리어 제품으로도 활용이 가능한 바 가구전문점과의 콜라보레이션 시도도 고려 필요
ㅇ 다이어트 및 미용 관련 제품으로 분류되는 만큼 스타 및 왕홍 마케팅에도 매우 적합
자료: 중국국가통계국, 중국국가체육총국, I-media Research(艾媒咨询), KOTRA 시안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비즈니스현황&코로나 바이러스 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 시대 유통망 재편과 블록체인의 역할 (0) | 2020.06.03 |
---|---|
코로나19 글로벌 및 비즈니스 동향 (0) | 2020.06.01 |
이탈리아, 대체이동수단으로 자전거 인기 상승세 (0) | 2020.05.29 |
코로나19가 슬로바키아 경제에 미친 영향과 정부의 대응 (0) | 2020.05.29 |
인도, 록다운 장기화에도 포스트 코로나 경제회복을 위해 시동 (0) | 2020.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