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로벌 비즈니스현황&코로나 바이러스 현황

[서남아지역] 공급망 재편의 중심, 서남아에 주목하라

by 삼국지천하 2020. 5. 19.
728x90
반응형

 서남아, 코로나로 인한 탈중국 글로벌 공급망 재편의 중심-

- KOTRA, 무역관 네트워크를 활용한 온라인 매칭과 사업 연계로 우리 기업 지원-

 

코로나19 동향 및 전망

 

인도를 포함한 서남아 4개국에서는 지난 3 22일 이후 거의 2개월째 국가 자체봉쇄, 통금, 공장 조업 중단 등의 조치가 이어지고 있다. 5월 4일부터는 일부 산업시설의 가동을 허용해 현대, 기아차, 삼성전자 등 진출 우리 기업이 공장 재가동 준비를 하고 있으나 그동안 흩어진 인력과 주 간 인력 이동 통제 등 많은 애로를 겪고 있다.

 

5 12일 현재 확진자 수는 인도 7만 명, 파키스탄 3만 명 수준이나 지난 일주일 간 확진자 수가 매일 4000~5000명 수준으로 급증하고 있어 5월과 6월이 우려했던 코로나19 확진자 대폭발 양상을 보일지 아니면 진정세로 돌아설지 그 갈림길이 될 전망이다.

 

서남아 코로나 현황

국가

인구 수

5월 12일 기준

봉쇄시작일

확진자

사망자

인도

13억8000만

68,462

2,293

3월 22일

파키스탄

2억2000만

29,465

639

3월 23일

방글라데시

1억6000만

13,770

214

3월 26일

스리랑카

2000만 명

847

9

3월 20일

자료: 각국 보건복지부('20.5.12.)

 

국가별 확진자 변동 추이

 자료: 각국 보건복지부 자료를 바탕으로 자료 재편집('20.5.5.)

 

시장현황 및 향후 전망

 

서남아 4개국에서는 생필품, 약국을 제외한 모두 모든 상점, 공장, 사무실이 3월부터 폐쇄된 상황으로 IMF 등 주요 국제금융기관들은 각 국의 경제성장률을 코로나 이전의 5~7% 성장전망에서 낮게는 0.2%에서 높게는 2.9% 성장으로 하향 조정한바 있다. 그러나 현재 봉쇄 강도와 기간이 생각보다 확대되면서 올해 마이너스 성장이 불가피하다는 것이 현지 체감 전망이다.

 

코로나 전후 경제성장률 변화

구분

IMF

World Bank

전망시기

19.10.15.

20.4.14.

20.1.18.

20.4.12.

인도

5.8

1.9

5.8

1.5~2.8

방글라데시

7.4

2.0

7.3

1.2~2.9

파키스탄

2.4

-1.5

3.0

0.3~0.9

스리랑카

3.5

-0.5

3.7

0.2~1.2

자료: World bank global economic prospect 2020, IMF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20.4.14)

 

코로나19로 인한 올해 인도 1분기(4~6) 인도의 주요 산업별 총 부가가치(GVA) 전망을 보면 공공부문 및 농업 분야를 제외하고 제조업 6.3%, 무역운송통신 9.7%, 건설 13.3%, 금융부동산 17.3% 등 우리 수출과 직결되는 전 부분에 큰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인도 2020년 4~6 산업 GVA 예상치

자료: Statista 2020('20.5.)

 

동시에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인 철강, 기계류, 자동차부품, 화학 등 주요 수출품의 대인도 수출이 급감해 지난 4월 중 지난해 대비 절반에 불과했다. 2018년 이후 연 10억 달러에 달했던 한국의 대서남아 신규투자도 올해에는 감소세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서남아지역 각국 정부는 1차적으로 극빈계층의 지원과 경제적 충격완화를 위한 금융, 재정 지원 확대에 역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스마트 시티 및  도로 등의 인프라 투자 확대, 전기차, 신재생에너지 등 인프라 투자확대와 경기부흥을 위한 정책 역시 내놓고 있다.

 

서남아 국가별 코로나19 긴급대응정책

국가

항목

세부내용

인도

재난 대응

의료기기 펀드 구호기금 조성(20억 달러)

통화·금융정책

기준금리 인하, 상환기간 유예, 세금신고 연장(3개월)

인프라 개발 강화

- 인프라 2020 예산확충(260억 달러)

- 100대 신공항 조기 추진

- 전력 신재생 예산 확충(30억 달러)

철강생산량 배증

2030년 철강생산량 3배 확대(1억 톤3억 톤)

환경투자 강화

- 2030 전기차 일원화 정책 추진 강화

- 고속도로 25km 단위 전기 충전소 계획 강화

제약산업 투자강화

- 3 API단지 추진(5억 달러 규모)

 - 생산 인센티브 강화

방글라데시

통화·금융정책

- 35억 달러 규모의 저금리 대출(기존 9%이자 중 4.5% 보전)

- 수출품 원자재 구입을 위한 수출진흥 기금 확대

- 섬유산업 등 주요 수출 산업종사자들의 임금 지급

파키스탄

재난 대응

- 제조업 금융 지원·의료 장비 구매 및 수입 지원

- IMF, 14억 달러 규모의 코로나 긴급자금 지원 승인

- 건설경기 회복지원을 위한 특혜 정책 발표

스리랑카

재난 대응

- 피해입은 중소기업에 대해 지불유예 및 대출 제공

-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한 수입규제발표(~7월 중순)

- 정부주도 사회기반시설관련 프로젝트 시작 예정

 자료: 각 정부 발표 종합('20.5.11.)

 

기회요인과 유망품목

 

여타 지역과 마찬가지로 서남아 지역도 코로나 봉쇄로 인한 Untact 소비관행 확대와 함께 특히 인도의 경우 글로벌 GVC 재편에 대응해 인도를 China+1 글로벌 생산기지로 육성키 위한 Assemble in India, 경제의 Digital, IT화가 급속히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봉쇄 조치 이후 인도 기업의 96%가 재택근무를 시작했다. 이는 봉쇄 조치 2주전 19%의 재택근무 비율에서 크게 상승한 수치이며, 이를 인도 기업부 발표와 비교해보면 약 115만 개의 기업이 재택근무를 시행한 셈이다. Untact 소비문화 확산 및 재택근무 관행화 대비 낮은 PC 보급률과 재택근무에 대한 불신으로 컴퓨터, 감시카메라, 교육기자재 및 관련 소프트웨어 수요가 폭증 추세이다.

 

그리고 봉쇄기간의 장기화 및 일상화에 따라 마사지기기, 의료기기, 공기청정기 수요가 확대되고 웹툰, 영화 등 콘텐츠와 유아용 서비스도 유망 분야이다.

 

또한 우리의 성공적인 K방역성과가 잘 알려져 있어 4월 중 2000만 달러의 한국산 진단키트가 대인도 수출되는 등 한국산 진단키트, 의료기기, 방역용품, 위생용품과 원격의료 서비스 분야도 유망 분야로 꼽힌다. 특히 조사업체 닐슨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봉쇄조치가 끝난 후에도 외식·기호품 등 재량적 소비 대신 소독·위생용품 등 필수품 구매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전체 위생용품 시장 규모는 2025년까지 약 600억 달러에 달한다인도 의료기기 시장은 일본, 중국, 한국에 이어 아시아에서 4번째로 큰 시장으로 2018 110억 달러 규모에서 2025년까지 50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도 의료기기 시장의 전체 매출의 약 80%가 수입제품이며 회계연도 2018/19 기준 의료기기 수입액은 539000만 달러로 그중 전자 의료기기 및 장비가 전체 수입의 66%를 차지한다.

 

인도 의료기기 수입 제품군 비율(회계연도 2018/19 기준)

전자 의료기기

(Electronic and Equipment)

소형 수술 도구

(consumables)

분석시약

(Reagents)

임플란트

(Implants)

수술 위생도구

(Disposals)

수술장비

(Surgical Equipment)

66%

9%

8%

7%

7%

3%

자료: Coinmen Consultants India('20.4.)

 

인프라, 신재생 에너지 투자확대를 주로 하는 경기부양책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건설기계, 통신장비, 가격적 매력과 기술력을 함께 갖춘 산업용 중고장비, 전자정부 시스템도 크게 우리 기업이 어필할 수 있는 분야이다. 정부주도의 정책과 함께 민관공동 PPP프로젝트를 통해 고속도로, 전철, 철도 및 공항건설 사업 중심으로 산업 성장세가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인도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한 봉쇄조치에도 불구하고 4 20일 이후 고속도로 프로젝트 375개 중 70% 이상을 재개했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중국 및 중국산에 대한 현지 인식이 더 악화되고 중국발 조달에 많은 어려움을 겪은 화학 의약원료, 자동차 기계부품, 프리미엄 가전 및 전자부품 분야도 유망 분야이다. 또한 코로나19 사태 및 봉쇄조치로 인해 서남아 지역 국민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도가 크게 제고되며 전기자동차, 신재생에너지, 공기청정기 등 환경 관련 제품도 유망하다.

 

또한 특히 이번 코로나 봉쇄 기간 중 의약, 화학, 자동차부품, 기계류 등의 분야에서 중국 공급, 유통망이 멈춰 선 경험을 한 현지 다국적 기업도 수입선 대체, 보강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UBS에 따르면 글로벌 기업 임원진의 63% 이상이 자사의 중국 제조시설 중 최소 40% 이상을 타국으로 이동하려는 계획이다. 따라서 미국을 중심으로 한 공급선 탈중국 전략 가속화와 지난달 인도 외교부의 1000곳이 넘는 미국 기업에 대한 설득 노력 등이 공급망 재편 움직임과 맞물려 인도를 중심으로 한 서남아 지역으로의 공급망 다변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지기업이 대응할 수 없는 고품질 및 프리미엄 서비스에 부응할 수 있는 우리 소재부품장비 기업의 현지 합작 내지 기술협력 시 그 성과가 다른 지역보다 더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KOTRA 지원사업 및 시사점

 

이러한 현지 여건변화와 관련해 서남아지역본부는 2020 서남아 온라인 소비재 상담회, 2020 서남아 Global Partnering 온라인 상담회, 온라인 한국상품전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난 2개월간 한국 기업 500개사, 현지기업 600개사가 화상 상담회에 참여하는 등 기업의 수요가 매우 높음을 확인한바 있다. 현지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폭발력을 기반으로 Amazaon India, Shopclues, Spring Store 등 톱 온라인 유통망을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KOTRA 서남아지역본부 지원사업

자료: KOTRA 서남아지역본부 자료 종합

 

K 방역으로 높아진 안전한 국가로서의 한국의 위상과 함께 한국산 제품의 브랜드 파워도 같이 올라가고 있다. KOTRA를 통해 화장품을 중심으로 한국산 제품을 수입하고 있는 Belson India의 바이어인 Adarsh Bhalla씨는 한국산 제품의 우수성을 강조하며, 봉쇄조치가 끝나가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판매량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또 다른 바이어인 CHENAB IMPEX Anil Chandhok씨 역시 인도 정부가 곧 수입 절차를 재개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한국산 제품 수입 확대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쳤다.

 

특히 5 12일 개최된 KOTRA GP 서남아 상담회에 참가한 자동차 부품 분야 선도기업 Lumax Atui Jain 법인장은 한국 기업의 혁신성 및 우수한 품질에 감탄하며, 인도에서 한국산 자동차 기계부품 수요가 매우 높다고 평가했다. 코로나19 이후 코리아 프리미엄 시대, 이제는 우리 기업들도 서남아국가와의 사업 시 한국산 제품이 일본이나 유럽산 제품과 동등한 가격을 받을 수 있는 협상력을 발휘할 시점이다.

 

 

자료: IMF, World Bank, Coinmen Consultants, 각 국 보건복지부, 현지언론(The Economic Times)  KOTRA 뉴델리 무역관 자료 종합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