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PER = 주가/주당순이익
현재의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것이다.
주가가 주당순이익의 몇 배인가를 나타낸 것으로 투자판단의 지표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A사의 주가가 3만 원, 1주당 순이익이 3천 원이면 PER은 10(배)이다. 주당순이익이란 1회계연도에 발생한 당기순이익(세 공제 후)을 총발행 주식수로 나눈 것으로 1주가 1년 동안 벌어들인 수익력을 나타낸다.
PER이 높으면 기업이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이익에 비해 주가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반대로 PER이 낮으면 이익에 비해 주가가 낮게 평가되었음을 의미하므로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PER은 상대가치비교 방법의 일종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비교대상 상장기업의 주당 가격과 주당 순이익의 비율을 계산하여 이를 평가대상기업의 주당 순이익에 곱하여 평가대상기업의 주당 가치 평가에 활용한다.
728x90
반응형
'일상 > 스타트업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e-Money Value | 투자 전 가치 (0) | 2020.01.23 |
---|---|
Post-money Value | 투자 후 가치 (0) | 2020.01.23 |
PEF(Private Equity Fund) | 사모펀드 (0) | 2020.01.23 |
Growth Hacking | 그로스해킹 (0) | 2020.01.23 |
GRI G3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G3 /G3.1) (0) | 2020.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