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지정된 임직원에게 부여되는 주식을 살 수 있는 권한으로, 정해진 시일이 지난 시점에서
일정 기간 내에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소속된 회사의 주식을 살 수있는 권리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발행하는 이유는, 급여의 보충 및 성과 지향의 보상체계를 위함이며, 주가가 오를수록 스톡 옵션을 가진 임직원이 얻을 수있는 이익도 커지게 됨에 따라 스톡옵션을 가지고 있는 직원의 경우
성과 창출에 더욱 기여하고자 하게 된다.
스톡 옵션 제도의 장점(출처:위키백과)
수중에 현금이 필요없음
재정의 여유가 없어도 인재를 모을 수 있다
주가에 근거한 보수 체계, 지표가 명확하고 또한 회사(주주)의 목표와
직원의 목표 사이에 위화감이 생기지 않는다
주가가 상승할 때에는 직원의 충성심과 사기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스톡 옵션 제도의 단점
스톡 옵션 행사에 따라 상당한 보상을 얻은 인재가 유출될 위험이 있다.
불황으로 경영 노력이 주가에 반영되지 않는 상황에서 직원의 사기 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
부여 기준이 불명확한 경우는 불공평하다는 느낌에 따른 직원의 사기 저하가 일어난다.
주식 가치가 희석됨에 따른 기존 주주의 경제적 손실 가능성이 있다.
#스톡옵션행사,#스톡옵션세금,#스톡옵션계약서,#스톡옵션의모든것,#스톡옵션규정,#스톡옵션과보상설계,#스톡옵션연봉계약서,#스톡옵션의이론과실무 #전환사채,#현물출자,#전환사채발행,#법인주소변경,#주식매수선택권,#법인등기,
#상환전환우선주,#법인주소이전,#법인자본금증자,#STOCKOPTION,#법인등기변경,#전환사채상환
'일상 > 스타트업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vestment Round | 투자라운드(시리즈) (0) | 2020.01.06 |
---|---|
Temporary Receipts | 가수금 (0) | 2020.01.06 |
FGT (Focus Group Test) | 포커스 그룹 테스트 (0) | 2020.01.06 |
Feasibility Test | 사업타당성분석 (0) | 2020.01.06 |
Investment Equity | 투자지분 (0) | 2020.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