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년 그리스 외국인 투자는 팬데믹으로 인해 전년대비 37.3% 감소 -
- 2020년 주춤했던 대그리스 외국인 투자는 코로나19 규제 완화와 프로젝트 재추진으로 2022년부터 회복 전망 -
외국인 투자 동향
그리스 중앙은행에 따르면 2020년 대그리스 외국인 투자유치(Inbound FDI) 총 순유입액은 28억1,300만 유로로 전년대비 37.3% 감소했다. 대그리스 외국인 투자유치 통계에 따르면 2019년에 총 44억8,400만 유로로 2006년 이후 최고치를 달성한 바 있다.
2020년 대그리스 외국인 투자유치의 감소 주요 사유로는 2020년 연초부터 빠르게 확산된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중국의 대그리스 투자가 감소된 점을 뽑을 수 있다. 2020년 2~6월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 독일 등 전 유럽국가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확산되며 각 국가에서 시행한 봉쇄조치와 이동자제령 또한 2020년 대그리스 외국인 투자의 감소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리고 그리스 코로나19 확산 방지 대책으로 2020년 3~7월, 2020년 11월부터 2021년 5월까지 시행된 이동제한령, 부분 봉쇄조치, 재택근무 의무 규제로 인해 대부분의 프로젝트들은 보류되었다.
주*: 전년 대비 투자 증가율: 2016년(118.5%), 2017년(23.5%), 2018년 (9.0%), 2019년(33.3%)
대그리스 외국인 투자 동향
(단위: 백만 유로)
연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총액 | 2,498 | 3,085 | 3,364 | 4,484 | 2,813 |
주: 외국인 투자 순유입액(FDI Net Inflows)
자료: 그리스중앙은행, 그리스투자무역진흥청(2021년 10월)
연도별 대그리스 외국인 투자 동향
(단위: 백만 유로)
주: 외국인 투자 순유입액(FDI Net Inflows)
자료: 그리스중앙은행, 그리스투자무역진흥청(2021년 10월)
대그리스 주요 투자국 동향
2020년 국가별 대그리스 주요 투자국은 사이프러스, 스위스, 영국, 네덜란드,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스페인 등 주로 유럽국가로 총 투자액은 23억2,500만 유로이며 전체 대그리스 외국인 투자액의 82.6%를 차지하고 있다.
유럽국가 외 2020년 그리스의 주요 투자국으로는 홍콩, 싱가포르, 아랍에미레이트, 이스라엘, 중국, 호주, 레바논 등이며 해당 국가들은 주로 그리스 정부에서 추진하는 골든비자(특정 금액 이상의 부동산을 취득시 그리스 체류비자가 부여됨) 목적으로 그리스 부동산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중국의 경우 그리스항만청 민영화에 적극 참여해 할동하고 있으며 그리스 민영화, 인프라 프로젝트 참여에도 꾸준한 관심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중국의 대그리스 투자는 인프라를 중심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리스의 주요 투자국이였던 캐나다와 미국의 경우 2019년 이후 대그리스 투자가 감소하며 2년연속 10위권에서 제외되었다.
주요 국가별 대그리스 외국인 투자 동향
(단위: 백만 유로)
순위 | 국가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총액 | 2,498 | 3,085 | 3,364 | 4,484 | 2,813 | |
1 | 사이프러스 | 258 | 367 | 686 | 523 | 711 |
2 | 스위스 | 138 | 753 | 468 | 197 | 469 |
3 | 영국 | 13 | 155 | 135 | 9 | 402 |
4 | 네덜란드 | 90 | 435 | -78 | 989 | 345 |
5 | 이탈리아 | 76 | 118 | 289 | 65 | 271 |
6 | 독일 | 219 | 635 | 459 | 455 | 104 |
7 | 홍콩 | 317 | 26 | 314 | 433 | 139 |
8 | 프랑스 | 130 | -41 | -24 | 138 | 76 |
9 | 스페인 | 99 | 42 | 26 | 232 | 51 |
10 | 불가리아 | 32 | 21 | 28 | 37 | 50 |
11 | 아랍에미레이트 | 3 | 12 | 18 | 26 | 49 |
12 | 싱가포르 | 1 | 3 | 24 | 66 | 45 |
13 | 이스라엘 | 3 | 28 | 24 | 71 | 32 |
14 | 중국 | 29 | 48 | 215 | 184 | 30 |
15 | 호주 | 5 | 7 | 14 | 17 | 28 |
주: 2020년 외국인 투자 순유입액 기준 정렬(FDI Net Inflows)
자료: 그리스중앙은행, 그리스투자무역진흥청(2021년 10월)
2010~2020년 대그리스 누적 투자액 기준으로는 1위가 사이프러스(33억6,900만 유로), 2위 프랑스(30억2,900만 유로), 3위 독일(30억120만 유로), 4위 스위스(29억4,700만 유로) 그리고 5위가 네덜란드(20억9,100만 유로)이며 6위가 중국과 홍콩(19억7,000만 유로)이며 그 뒤로 미국,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순위이다.
2010년~2020년 대그리스 주요 투자국 순위
(단위: 백만 유로)
주: 2010년~2020년 외국인 투자 누적 순유입액(FDI Net Inflows)
자료: 그리스중앙은행, 그리스투자무역진흥청(2021년 10월)
1980년도부터 2021년 6월까지 집계된 한국의 대그리스 투자는 총 19건으로 누계 투자금액은 1,690만 달러로 미미한 편이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2021년 6월까지 한국 기업의 대그리스 투자는 전무하며 신규 설립된 법인이나 지사는 없다. 2008년부터 약 10년간 지속된 그리스 재정위기로 인해 한국 기업의 대그리스 투자는 타국 대비 매우 낮은 편이며 그리스의 주요 산업인 조선·해운업을 중심으로 진출해 있다.
주*: 2019년 한국 기업의 대그리스 투자: 투자액(24만 달러), 신규 지사 설립(3건)
산업별 투자 동향
그리스중앙은행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대그리스 외국인투자의 가장 큰 금액을 차지한 산업은 서비스업(19억3,400만 유로), 제조업(2억4,000만 유로), 건설업(8,000만 유로), 전기/수도(6,700만 유로), 광공업(2,600만 유로) 그리고 농업(2,200만 유로) 등 이다.
대그리스 외국인 투자 산업 분야
(단위: 백만 유로)
산업분류 | 산업(소분류)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총 합 | 3,085 | 3,365 | 4,484 | 2,813 | |
농업 | 9 | 15 | -31 | 22 | |
광공업 | 114 | 32 | -81 | 26 | |
제조 | 식품 원재료 및 연초 | 61 | -5 | 170 | 144 |
제약 | 7 | 48 | 109 | 266 | |
금속(컴퓨터/광학기기) | 26 | 16 | -16 | 50 | |
합계 | 276 | 309 | 336 | 239 | |
전기·가스 | 413 | 73 | 49 | 67 | |
수도·하수 | 1 | 1 | 1 | 0 | |
건설 | -14 | -65 | 37 | 80 | |
서비스 | 도매/소매/무역 | 89 | 113 | 74 | 58 |
보관/운송 | 1,292 | 738 | 248 | -13 | |
숙박/요식 | 109 | 116 | 111 | 395 | |
전자통신 | -118 | 256 | 93 | 336 | |
금융보험 | 458 | 612 | 682 | 350 | |
부동산 | 69 | 715 | 1,777 | 670 | |
전문분야 자문/서비스/광고 | 21 | -104 | 264 | 63 | |
임대 | 49 | 41 | 31 | 8 | |
교육 | 0 | 0 | 0 | 0 | |
사회활동(보건 분야) | 18 | -76 | 174 | -105 | |
문화 | -32 | -85 | -56 | 173 | |
공공행정/공공기관 | 0 | 0 | 0 | 0 | |
기타 서비스 | -2 | 4 | 13 | -2 | |
합계 | 1,952 | 2,335 | 3,424 | 1,934 | |
비분류 | 6 | 10 | 0 | 21 | |
민간 부동산 매매 | 328 | 655 | 749 | 424 |
주: 2017년~2020년 외국인 투자 누적 순유입액(FDI Net Inflows)
자료: 그리스중앙은행(Bank of Greece)
그리스중앙은행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0~2020년 동안 집계된 대그리스 외국인 투자 분야는 1차 농수산업광물 2%, 2차 제조업 13%, 3차 서비스업 71%에 집중돼 있으며 나머지 13%는 기타 분야이다. 서비스업 71% 중 외국인 투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분야는 금융업이 1위이며 총 32%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부동산이 2위(28%)이고 3위가 물류산업(17%)로 집계됐다.
2010년~2020년 대그리스 외국인 서비스업 투자 세부
주: 2010년~2020년 외국인 투자 누적 순유입액(FDI Net Inflows)
자료: 그리스중앙은행(Bank of Greece)
부동산 투자 동향
2014년 그리스 정부는 2008년부터 시작된 재정위기로 인해 그리스 부동산 시장이 주저 앉자 해결 방책으로 골든 비자 제도를 도입했다. 25만 유로 이상 금액의 부동산에 투자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체류 비자를 발급해 주는 프로그램이다. 그리스의 골든비자는 다른 유럽 국가들의 골든 비자 조건에 비해 25만 유로로 낮은 편이며, 유럽 쉥겐국 내 자유롭게 여행이 가능하고 부동산 소유자의 부양가족에게도 동일하게 5년의 체류 비자가 발급되는 강점이 있다. 해당 부동산의 소유자 명을 유지하는 한 소유자와 부양가족에게는 5년 기간의 비자가 연장 및 유지된다. 이에 홍콩을 포함한 중국, 터키, 러시아, 레바논, 이란, 미국 등 중동 국가와 미국을 중심으로 골든비자 투자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14년부터 수요가 증가한 골든비자와 2016년부터 팬데믹 시점까지 호황기를 맞았던 그리스 관광업으로 인해 에어비앤비와 같은 숙박 영업장 수가 증가하였고 그리스 주요 도시와 섬을 중심으로 주택 월세가 인상됐다. 2020년 3월부터는 코로나19로 인해 재택근무가 시행되며 거주 환경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주택 월세와 매매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다.
국적별 그리스 골든비자 취득 현황
(단위: 명)
국적 | 골든비자 해당 부동산 소유자 | 골든비자 취득자의 부양가족 수 |
총 | 7,825 | 27,449 |
중국 | 6,274 | 19,119 |
터키 | 578 | 1,572 |
러시아 | 530 | 1,489 |
레바논 | 265 | 892 |
이집트 | 232 | 573 |
이란 | 168 | 541 |
이라크 | 124 | 493 |
미국 | 86 | 307 |
시리아 | 57 | 265 |
우크라이나 | 98 | 248 |
기타 | 694 | 1,950 |
주: 2014~2021년 9월 집계 기준
자료: 그리스투자무역진흥청(Enterprise Greece)
투자시장 전망 및 시사점
그리스 부동산 경기는 호황기를 맞고 있으나 재정위기로 감소했던 임금은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반면 세금은 매년 인상되고 있는 시장 경제가 이어지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발생한 높은 실업률과 물류비·원재료·에너지 비용 인상에 따라 물가도 인상되고 있기 때문에 주택 월세가 실제 가정의 소득을 넘어가고 있다는 전문가들의 우려도 나오고 있다.
그리스 정부는 건축업 라이선스와 행정 절차를 뚜렷하고 빠르게 처리될 수 있는 환경 개선을 통해 신규 주택/건물 건설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에어비앤비와 같은 숙박업을 대상으로 불법 숙박업 규제 강화, 소득세 책정 범위와 골든비자 조건의 투자금액을 상향 책정하는 부분을 고려하고 있다.
2021년 4월 그리스 정부는 약 309억 유로 규모의 유럽경제회복기금을 활용해 녹색·디지털화·창업·취업·고용 등 다양한 분야에 투자할 계획을 발표했으며 해당 프로젝트에는 약 575억 유로 규모의 정부·민간 투자 참여도 포함돼 있다. 해당 프로젝트에는 인프라 구축·기계, 도구, 소모품 조달이 필요한 프로젝트로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미국, 중국에서도 향후 발표될 프로젝트 세부 계획과 일정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기 때문에 한국 기업에서도 현지기업과 합작투자로 참여할 가능성도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 코로나19 위생수칙과 정부 규제로 인해 잠시 보류됐으나 2021년 4분기부터 세부 계획이 검토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2022년 대그리스 외국인 투자 시장 규모는 증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자료: 그리스통계청, 그리스중앙은행, 그리스투자무역진흥청, 그리스 경제산업연구소, EIU 및 KOTRA 아테네 무역관 자체 조사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글로벌 비즈니스현황&코로나 바이러스 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직접투자(ODI) 큰손으로 거듭난 중국 (0) | 2021.10.27 |
---|---|
카자흐스탄, 디지털 텡게화 도입 추진 (0) | 2021.10.27 |
통계로 보는 한-UAE 교역 동향 (0) | 2021.10.27 |
헝가리에 진출하는 신규 기업의 회계 및 부동산 관련 유의사항 (0) | 2021.10.27 |
제19회 중국 국제 모터사이클 박람회(충칭) 현장 (0) | 2021.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