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 8월 기준 한-UAE 전체 교역액 전년동기대비 4.5% 증가 -
- 2020년 코로나19에도 대UAE 수출 선전했으나 올해는 소폭 감소 -
한-UAE 교역 동향
2021년 8월 기준 한-UAE 총 교역액은 70억23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4.5% 증가했다. 대UAE 수출액은 총 24억 9,300만 달러로 0.9% 감소했으며 대UAE 수입액은 45억3000만 달러로 7.8% 증가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대UAE 주요 수입 품목인 원유에 대한 수요 감소와 국제유가가 급락의 영향으로 수입 규모가 큰 폭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올해 백신접종과 경제활동 재개에 따른 경기 및 유가 회복세로 수입 규모도 반등한 것으로 보인다. 대UAE 수출액의 경우 2020년에 증가했으며 올해는 다시 소폭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한-UAE 교역 동향
(단위: US$ 백만, %)
연도 | 對UAE 수출 | 對UAE 수입 | 對UAE 무역수지 |
||||
금액 | 비중 | 증감률 | 금액 | 비중 | 증감률 | ||
2019 | 3,470 | 0.6 | △24.4 | 8,991 | 1.8 | △3.2 | -5,521 |
2020 | 3,654 | 0.7 | 5.3 | 5,693 | 1.2 | △36.7 | -2,039 |
2021. 1~8. | 2,493 | 0.6 | △0.9 | 4,530 | 1.2 | 7.8 | -2,037 |
주: 2021년 증감률은 전년동기대비
자료: 관세청
한편, 2020년 기준 UAE의 비석유 부문 주요 수출국에는 스위스, 사우디, 인도 등이 있으며 한국은 5억200만 달러로 25위를 차지했다. 이 조건의 주요 수입국 중 연간 수입액이 40억 달러를 상회한 한국은 12위를 기록했다.
2020년 국가별 UAE 수출입 점유율
(단위: US$ 백만, %)
수출 | 수입 | ||||||
순위 | 국가 | 수출액 | 점유율 | 순위 | 국가 | 수입액 | 점유율 |
1 | 스위스 | 7,892 | 11.5 | 1 | 중국 | 38,996 | 18.4 |
2 | 사우디 | 6,903 | 10.0 | 2 | 미국 | 16,349 | 7.7 |
3 | 인도 | 5,329 | 7.8 | 3 | 인도 | 16,331 | 7.7 |
4 | 터키 | 4,976 | 7.2 | 4 | 일본 | 9,377 | 4.4 |
5 | 이탈리아 | 4,922 | 7.2 | 5 | 독일 | 7,212 | 3.4 |
25 | 한국 | 502 | 0.7 | 12 | 한국 | 4,025 | 1.9 |
주: 비석유 부문 기준이며 관세청 통계와 상이할 수 있음.
자료: UAE 통계청
한국의 對UAE 수출 동향
對UAE 수출 상위 10개 품목
(단위: US$ 백만, %)
순위 | 품목명 | 2019년 | 2020년 | 2021년 1~9월 | ||||||
금액 | 비중 | 증감률 | 금액 | 비중 | 증감률 | 금액 | 비중 | 증감률 | ||
1 | 무기류 | 85 | 2.4 | △40.0 | 201 | 5.5 | 135.8 | 339 | 11.9 | 142.1 |
2 | 자동차부품 | 399 | 11.5 | 11.9 | 291 | 8.0 | △27.2 | 272 | 9.6 | 27.7 |
3 | 석유제품 | 268 | 7.7 | △13.5 | 58 | 1.6 | △78.5 | 145 | 5.1 | 208.5 |
4 | 원동기 및 펌프 | 98 | 2.8 | △0.7 | 143 | 3.9 | 46.3 | 125 | 4.4 | 12.6 |
5 | 기호식품 | 103 | 3.0 | △40.7 | 236 | 6.5 | 128.1 | 122 | 4.3 | △34.1 |
6 | 자동차 | 190 | 5.5 | △46.3 | 136 | 3.7 | △28.4 | 120 | 4.2 | 13.2 |
7 | 합성수지 | 91 | 2.6 | △0.2 | 96 | 2.6 | 5.8 | 107 | 3.8 | 46.6 |
8 | 무선통신기기 | 79 | 2.3 | △21.8 | 120 | 3.3 | 51.3 | 87 | 3.1 | 2.4 |
9 | 공기조절기, 냉난방기 | 133 | 3.8 | 63.0 | 122 | 3.3 | △8.1 | 84 | 3.0 | △13.4 |
10 | 기타 정밀화학제품 | 12 | 0.3 | 14.4 | 87 | 2.4 | 652.3 | 81 | 2.9 | 47.3 |
10대 품목 합계 | 1,458 | 41.9 | △15.2 | 1,490 | 40.8 | 2.2 | 1,482 | 52.2 | 33.3 | |
총계 | 3,470 | 100.0 | △24.4 | 3,654 | 100.0 | 5.3 | 2,841 | 100.0 | 1.2 |
주: 2021년 증감률은 전년동기대비
자료: 관세청(MTI 3단위 기준)
2021년 9월 기준 대UAE 주요 수출 품목에는 무기류(3억3900만 달러), 자동차부품(2억7200만 달러), 석유제품(1억4500만 달러) 등이 있다. 더불어 전년 동기 대비 호조세를 보이는 품목에는 무기류(142.1%), 자동차부품(27.7%), 석유제품(208.5%), 자동차(13.2%), 원동기 및 펌프(12.6%), 합성수지(46.6%), 무선통신기기(2.4%) 등이 있다.
무기류 수출의 증가는 지난 5월 발생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 간 무력 충돌, 8월에 발생한 탈레반의 아프가니스탄 정권 장악 등 정세 변화에 따른 방산제품 수요 증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자동차 수출 호조세는 UAE 경제회복 기조에 따른 소비증가 및 관광산업 재개로 인한 신차 및 렌터카 수요 증가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부품의 경우 수년간 이어진 신차 판매 감소 기조의 반사 수혜로 차량 정비 수요가 증가한 것이 수출 증가 요인으로 분석된다. 한편, 석유제품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유가 상승으로 인한 수출액의 증가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對UAE 화장품 수출액 추이
(단위: US$ 백만,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1~9월 | |||||
수출액 | 증감률 | 수출액 | 증감률 | 수출액 | 증감률 | 수출액 | 증감률 | 수출액 | 증감률 |
15 | 45.3 | 16 | 9.9 | 18 | 10.6 | 32 | 79.0 | 30 | 36.4 |
주: MTI 227 기준, 2021년 증감률은 전년동기대비
자료: 한국무역협회
한편, 상위 10개 품목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나, 대UAE 화장품 수출도 최근 5년간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해왔으며 2020년에는 전년비 79%, 2021년 9월에는 전년 동기비 36.4% 증가했다. K-Pop이 주를 이루던 현지 한류 콘텐츠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OTT 서비스 이용 활성화로 드라마, 영화까지 확장되면서 한국 화장품 및 소비재에 대한 수요도 덩달아 증가하고 있다. K-콘텐츠의 인기가 이끈 화장품 및 소비재 수요 확대로 동 품목 수출의 호조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의 對UAE 수입 동향
對UAE 수입 상위 10개 품목
(단위 : US$ 백만, %)
순위 | 품목명 | 2019년 | 2020년 | 2021년 1~9월 | ||||||
금액 | 비중 | 증감률 | 금액 | 비중 | 증감률 | 금액 | 비중 | 증감률 | ||
1 | 원유 | 5,970 | 66.4 | 11.9 | 3,602 | 63.3 | △39.7 | 2,906 | 56.0 | △5.7 |
2 | 석유제퓸 | 2,370 | 26.4 | △23.5 | 1,584 | 27.8 | △33.1 | 1,704 | 32.9 | 40.0 |
3 | 알루미늄 | 232 | 2.6 | △17.2 | 198 | 3.5 | △14.7 | 241 | 4.6 | 62.8 |
4 | 천연가스 | 71 | 0.8 | - | 57 | 1.0 | △20.0 | 120 | 2.3 | 605.9 |
5 | 동제품 | 91 | 1.0 | △20.4 | 56 | 1.0 | △38.9 | 90 | 1.7 | 136.8 |
6 | LPG | 97 | 1.1 | △56.0 | 13 | 0.2 | △86.2 | 40 | 0.8 | 207.7 |
7 | 동광 | 14 | 0.2 | - | 32 | 0.6 | 121.7 | 39 | 0.8 | 50.0 |
8 | 건전지, 축전지 | 65 | 0.7 | △9.5 | 50 | 0.9 | △22.7 | 31 | 0.6 | △13.9 |
9 | 기타 금속광물 | 11 | 0.1 | 112.2 | 2 | 0.0 | △81.9 | 8 | 0.2 | 700.0 |
10 | 연제품 | 24 | 0.3 | △40.7 | 20 | 0.4 | △16.9 | 6 | 0.1 | △62.5 |
10대 품목 합계 | 8,945 | 99.5 | △2.4 | 5,614 | 98.6 | △37.2 | 5,185 | 99.2 | 12.8 | |
총 계 | 8,991 | 100.0 | △3.2 | 5,693 | 100.0 | △36.7 | 5,225 | 100.0 | 12.3 |
주: 2021년 증감률은 전년동기대비
자료: 관세청(MTI 3단위 기준)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높은 한국 특성상 주요 산유국인 UAE로부터 수입하는 주요 품목은 단연 원유이다. 2019, 2020년 대UAE 전체 수입액 중 원유의 비중이 60%를 상회했으며 2021년 9월 기준 56%를 차지하고 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한 유가 폭락으로 원유 수입액이 40% 가까이 줄어들며 전체 수입액 감소에도 영향을 미쳤다. 올해는 경제 및 유가 회복세로 수입액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원유 외 천연가스(1억2000만 달러), LPG(4000만 달러) 등 에너지 관련 품목이 수입 상위를 점유했으며, 원유와 마찬가지로 2020년에 수입액이 감소했으나 올해 큰 폭으로 반등한 것을 볼 수 있다.
그 외 품목들은 비교적 수입 규모 자체가 작은 편이며, 각 업계의 특정 거래 발생에 따라 수입액이 등락하는 경향이 있다.
시사점
2021년 9월 기준 우리나라의 대UAE 수출액은 28억41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2%의 성장률을 보였다. 작년에는 코로나19의 여파로 세계 경제 여건이 악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5.3% 성장하기도 했다. 한편, 수입액은 52억2500만 달러이며 유가 폭락의 영향으로 수입액이 크게 감소했던 작년 동기 대비 12.3% 증가했다.
UAE는 석유산업 의존도가 높은 자국 경제 구조를 다변화하고 전산업분야의 자급화를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관련해 에너지, ICT, 농업 등 다양한 산업육성 전략을 내놓고 있으며 전략 추진의 일환인 프로젝트들도 이어지고 있어 우리 기업의 프로젝트 협력을 통한 양국 교역 확대 가능성이 있다.
더불어 2차 접종을 마친 인구 비중이 85%를 웃도는 UAE의 정부는 지난 10월 초 무렵 코로나 극복을 선언한 바 있으며, 방역수칙도 완화하고 있다. 타국보다 앞선 위드코로나 시대에 접어들며 관광, 유통 등 산업 전반의 회복 및 성장이 전망됨에 따라 한국의 대UAE 수출 여건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UAE 상호 문화교류의 해로 지정된 2020, 2021년에 관련 문화 교류 행사를 통해 한국 문화에 대한 인지도가 더욱 높아지는 가운데 세계적인 K-콘텐츠 열풍이 한국 소비재 수요로 전환되고 있어 식품, 화장품 등 한국 제품의 수요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나아가 2021년 10월 1일부터 2022년 3월 31일까지 개최되는 두바이 엑스포 2020에서 한국관 운영과 2022년 1월 16일부터 시작되는 한국 주간 중 다채로운 행사를 통해 양국 간 교역량이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 관세청, UAE 연방통계청, 현지 언론 및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비즈니스현황&코로나 바이러스 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자흐스탄, 디지털 텡게화 도입 추진 (0) | 2021.10.27 |
---|---|
그리스, 외국인 투자 동향 (0) | 2021.10.27 |
헝가리에 진출하는 신규 기업의 회계 및 부동산 관련 유의사항 (0) | 2021.10.27 |
제19회 중국 국제 모터사이클 박람회(충칭) 현장 (0) | 2021.10.13 |
친환경 모빌리티 경제 성장을 위해 달리는 호주 (0) | 2021.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