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로벌 비즈니스현황&코로나 바이러스 현황

크로아티아 전력 시장 신재생 에너지 중심으로 재편

by 삼국지천하 2021. 4. 5.
728x90
반응형

- 2030년까지 발전, 수송 분야 등에서 신재생 에너지 비율 36%까지 확대 계획  –

- 현지 업체와 오랜 기간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진출 준비 필요 -

 

 

 

크로아티아 2020  발전량은 17 TWh, 수력이 전체 30% 차지

 

크로아티아는 물이 풍부하고 지형특성상 낙차가 심한 곳이 많아 일찌감치 수력 발전소가 세워졌었다. 그래서 국가의 전기 생산량도 에너지원별로 보면 수력이 30%로 압도적이다. 그 뒤를 화력, 원자력이 따르고 있는데 2020년 기준 총 발전량은 17.755 TWh이다. 우리나라 2020년 발전량이 552TWh 을 감안하면 적은 규모이지만 최근 노후화된 설비의 현대화와 EU 환경규제에 발 맞추어 신재생 에너지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크로아티아 연도별 발전량 규모

(단위: TWh)

 

자료: Enerdata (2021.03)

 

크로아티아는 수요에 비해 국내에서 생산하는 발전량이 부족해 25% 이상을 수입하는데 많은 양이 인근 슬로베니아, 헝가리로부터 들어오고 있다.

 

크로아티아 2020 에너지원  발전 비율

(단위: %)

자료: HEP(2021.3)

 

크로아티아 전기 사용량은 2019 기준 8,715 ktep이다. 2007 전후로 사용량이  폭으로 올랐다가 줄어 들었으며 2017 이후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크로아티아 1인당 전기 사용량은 2019 기준 2.2 toe이다. 이는 EU 평균에 비해 30% 가량 낮은 수치이며 같은해 우리나라 5.47 toe  비하면 절반 이하이다. 유럽 내에서 독일은 3.64 toe, 프랑스는 3.66 toe, 영국 2.64 toe 크로아티아의 전기 사용량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크로아티아 연도별 전기 사용량

(단위: ktep)

자료: Enerdata (2021.03)

 

2020년 상반기 기준 크로아티아의 가정용 전기 가격은 EU 27개국 평균인 kwh  0.2126 유로 보다 낮은 0.15 유로 이하를 기록하고 있다.

 

2020년 상반기 기준 EU국가 가정용 전기 가격 비교

(단위: 유로 per kWh)

 

자료: Eurostat(2021.3)

 

크로아티아의 전력 90% 이상은 국영기업 HEP 처리

 

크로아티아의 전기는 발전, 송전, 배전 모두를 국영기업인 HEP가 담당하고 있다. HEP 1893년 설립되었는데 크르카(Krka) 지역의 수력발전소를 유럽 최초로 건설하면서 생기게 되었다. 2019년 기준 HEP는 종업원수가 1만명을 조금 넘었으며 매출은 16억 달러, 영업이익은 25천 달러를 각각 기록하였다. HEP 는 발전과 송/배전 뿐만 아니라 발전소를 건설하기 위한 부지 물색, 천연가스의 개발 및 유통 담당 등 다양한 분야의 자회사를 25여개 거느리고 있다. 그룹의 모기업은 HEP d.d 인데(홈페이지는 www.hep.hr) 실질적인 국가 전력의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이행하는 기업이기도 하다.

 

HEP는 크로아티아 전력시장을 90%를 점유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HEP가 직접 운영하는 발전소는 수력, 화력, 태양열, 바이오매스 등 30개가 넘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소수지만 독립 발전사 및 전기 Trading업체들이 시장에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주로 소규모 화력발전소를 가지고 있는데 ENERGIA GAS AND POWER d.o.o., GEN-I Hrvatska d.o.o., MET Croatia Energy Trade d.o.o., PETROL d.o.o., E.ON Energija d.o.o 들이 현지에서 알려져 있다. 이들 기업의 점유율은 10% 내외인데 이외에도 신규로 건설기업들이 자체 발전 프로젝트를 추진하려는 등 조금씩 점유율을 늘려가고 있는 추세이다
 

크로아티아 주요 발전소 위치

자료: HEP 및 무역관 조사

 

크로아티아 신재생 에너지 발전 확대 전망

 

크로아티아는 신재생 에너지의 사용 확대를 전력 생산 분야에서만이 아니라 Heating과 운송수단에도 광범위하게 적용하여 추진하고 있는데 당초 2020년 목표치인 20%를 이미 2019 28.6%로 초과 달성하였다. 그 만큼 빠른 전환을 이루고 있는데 초기에는 태양열과 풍력에 중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다. 2020년 크로아티아 정부는 총 2,265MW의 신재생 에너지 용량을 구매하려는 법안을 마련했는데 여기에는 태양열이 1,075MW, 풍력이 1,050MW 가 포함되어 있으며 나머지140MW 는 수력, 바이오매스는 41MW, 지열은 20MW 로 책정이 되어 있다. 구매는 공개 경매를 통해 2020 12 1차는 진행되었고 2차는 이 후 2021 2월 진행 되었다. 참고로 태양광 패널(HS CODE 854140) 2020년 수입은 전체 43,928천 달러로 최근 들어 중국으로부터 수입이 급격히 늘고 있다.

 

태양광 패널 크로아티아 최근 연도 수입 통계(주요 5개국)

(단위: 천 달러)

자료: Trade Atlas(2021.4)

 

크로아티아는 EU 의 환경정책에 맞추어 국가의 전력 및 기후 관련 계획을 수립하는데 2019년 발표한 중장기 계획에는 2030년까지 신재생 에너지 사용을 36.4%까지 올릴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신재생 에너지 사용 확대 중장기 계획

신재생 에너지 비율 %

2020(추정치)

2030년 목표치

전력 생산 분야 신재생 에너지 비율(수력 포함)

47.0

63.8

Heating  Cooling 에서 신재생 에너지 비율

33.3

36.6

운송에서 신재생 에너지 비율

5.2

13.2

총 소비 에너지에서 신재생 에너지 비율

28.6

36.4

자료: 2021-2030에너지 및 기후 계획 국가 통합보고서(HEP 2019.12)

 

현지업체와 프로젝트 발주에 계속 관심 가져야 

 

2019 HEP 에서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한 것을 빼면 2000년 이후 큰 규모의 발전소가 크로아티아에서 건설되지 않고 있다. 그러다 보니 우리 기업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사례도 없고 시장이 아직까지 생소한 편이다. 그러나 앞으로는 노력 여하에 따라 기회가 생길 수 있다고 현지 건설업체 관계자는 밝혔다. 이 관계자에 의하면 설비가 노후화 되어 부품 교체가 시급한 곳이 꽤 있으며 과거 석탄 등 화석연료를 이용한 화력 발전소 계획이 최근 EU 환경규제 강화로 다른 발전 방법, 특히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거나 신기술을 적용하여 오염이 덜한, 탄소 배출이 적은 발전 방법을 찾고 있다고 하며 기술력 있는 해외기업과들은 현지 업체와 협력을 통해 진출가능하다고 말했다. 또한 발전소 건설에서 가격 경쟁력이 높은 중국기업들이 아직까지 크로아티아에서 수주 사례가 없는 것도 해 볼만 한 이유라고 꼽았다.     

 

크로아티아에서 발전소 건립 프로젝트와 고가의 발전 장비 구매는 원칙적으로 공개입찰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다만 실질적으로 현지 업체의 도움 없이는 외국업체가 낙찰을 받기는 힘든 구조이다. 따라서 크로아티아 전력 시장에 관심을 가지려면 현지 파트너를 잘 찾아서 오랜 기간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준비를 해야 한다. 참고로 2021년 1월 HEP CEO는 인터뷰를 통해 올 해 투자규모를 40억 쿠나(약 5.4억 유로)라고 밝혔다. 신재생 에너지 중심으로 전력시장이 바뀌고 있는 지금,  기술력 있는 우리기업의 진출이 많아지지기를 기대해 본다.

 

현지 주요 건설업체

회사명

홈페이지

전문분야

Email

대표전화

Dalekovod d.d.

http://www.dalekovod.com/

Construction of power facilities, transformer stations, etc.

dalekovod@dalekovod.hr

+385 1 2411 111

ING-GRAD d.o.o.

https://www.ing-grad.hr/hr/

construction of wind power plants, bio-powered power plants, thermal power plants,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gas network and other

ing-grad@ing-grad.hr

+ 385 1 3033 000

Kamgrad d.o.o.

https://www.kamgrad.hr/

segment of building construction and accompanying civil engineering

kamgrad@kamgrad.hr

+385 1 3430 300

Tehnika d.d.

http://www.tehnika.hr/

segment of building construction, infrastructure and accompanying civil engineering

tehnika@tehnika.hr

+385 1 6301 111

GP Krk d.d.

http://www.gp-krk.hr/hr/home.php

segment of building construction, infrastructure and accompanying civil engineering

gp-krk@gp-krk.hr

+ 385 51 654 400,

Zagreb Montaža d.o.o.

http://www.zagreb-montaza.hr/zm.asp

All sort of construction, EPC projects, industrial plants, steel and aluminum structures, business and shopping centers, residential areas, tourist attractions, etc.

info@zagreb-montaza.hr

+385 1 5557 700

Strabag d.o.o.

http://www.strabag.hr/

segment of building construction, infrastructure and accompanying civil engineering

visokogradnja@strabag.com

+385 1 6392 300

Osijek Konteks d.d.

https://www.osijek-koteks.hr/language/en/

segment of building construction, infrastructure and accompanying civil engineering

uprava@osijek-koteks.hr

+385 31 227 700

Radnik d.d.

https://radnik.s2is.hr/

segment of building construction, infrastructure and accompanying civil engineering

radnik@radnik.hr

+385 48 279 300

자료: 자그레브 무역관(202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