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지정부 정책, 경제 및 기업 동향
1. 북미
(1) 미국
ㅇ 콘리 주치의, 트럼프 대통령 코로나 음성 판정…트럼프 대통령 플로리다州서 대규모 외부 대선 유세 재개(10.12)
ㅇ 트럼프 대통령, 1조 8천억 달러(기존안 대비 2천억 증액) 신규 코로나 구호 패키지안* 제안했으나 민주‧공화당 모두 반대 (자료: CNBC)
* 직접 지원금 중 부양자녀 1인당 지원액 기존 500달러→ 1,000달러, 주정부‧로컬정부 지원규모 기존 2,500억→ 3,000억 달러 등
ㅇ Johnson&Johnson, 부작용 발생으로 코로나 백신 3상 임상(6만명 대상) 중단…향후 계획 일정 차질 불가피
2. 중국
ㅇ 칭다오市서 12명 코로나 확진…900만명 전수검사 실시중 (자료: WSJ)
ㅇ 국무원, <선전 선행시범구 종합개혁방안(2020~2025)> 발표(10.11)
- 시장체제개혁, 비즈니스 환경개선, 개방 확대, 민생 서비스 공급체계 완비, ‘디지털 위안화’ 대규모 실험 등 개혁조치
ㅇ 디지털 화폐 시범 운영 거래 규모 10월까지 총 313만건, 11억 위안
ㅇ 국내 관광산업 U자형 회복세...국경절 기간 관광객 6.37억명, 관광수입 4665.6억 위안(각각 전년비 79%, 69.9% 수준)
ㅇ (홍콩) 9월 센트럴 지역 공실률 7.2%, 1등급 건물 임대료 △23.8%
ㅇ (대만) 과기부, 내년부터 산학 공동 반도체 R&D센터 3~5개소 설립 추진
3. 일본
ㅇ 금년 조강 생산량(8,219만톤) 전년비 △17.2% 전망 (자료: 요미우리신문)
ㅇ 교토부, 1~8월 휴·폐업 해산 기업(594개) 전년비 22.2%↑ (자료: 교토신문)
ㅇ GANECA, 1시간 내 검사결과 확인 가능한 PCR 검사키트 판매
ㅇ OSG(절삭공구제조), 6~8월 순이익 전년비 △92%(자동차‧항공기 수요 감소)
4. 유럽
(1) 영국
ㅇ 존슨 총리, 코로나 확산수준별 3단계 방역지침 세부사항 발표
* 중위험(6명이상 모임제한, 식당 야간 영업금지 등 현상유지), 고위험, 최고위험 지역으로 구분
ㅇ Tim hortons UK(커피), 대규모 매장 확대로 신규 일자리 2천개 창출 계획 (자료: BBC)
(2) 프랑스
ㅇ 카스텍스 총리, “코로나 재확산으로 지역 봉쇄 가능성도”
- 파리‧수도권 코로나 환자 중환자실 점유율 42%* 상회, 정부는 10.22일 코로나 추적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출시 예정
* 30% 이상일 경우 최대경보지역으로 지정
** 6월 출시했으나 사실상 실패 평가
(3) 스페인
ㅇ 정부, 720억 유로(3년간) 경제부흥계획 발표(10.7)…GDP 연 2.5p 추가 성장 및 일자리 80만개 창출 기대 (자료: El País 등)
* EU 코로나 기금 직접 보조금 전액 3년내 소진 목표…친환경 전환, 디지털화에 504억 유로(70%) 배정
ㅇ 마드리드市서 극우정당(Vox) 주도 정부 봉쇄조치 항의 대규모 차량시위
(4) 기타유럽
ㅇ (독일) 의회, 지역 의료 디지털화 목적 30억 유로 승인 (자료: Bundesregierung)
ㅇ (벨기에) 보건부, 지방정부차원(브뤼셀, 왈로니아) 조치에도 감염 증가세 지속시 2차 봉쇄조치(락다운) 가능성 (자료: Politico, Brussels Times)
ㅇ (네덜란드) 올해 자동차 매출 전년(200억 유로)비 △25% 전망 (자료: FD)
ㅇ (핀란드) 복지부, 수도권 등 5개 지역에 강화된 영업 제한지침 적용(10.11)…주류 주문 22시, 식당 영업 23시까지 가능
ㅇ (그리스) 시민보호부, 전국 4단계 방역 조치 공개…아테네(3단계)는 모임 최대 9명, 행사·공연 취소, 레스토랑·카페 야간 영업 금지 등
ㅇ (크로아티아) 10.12일부로 50인 이상 행사 최소 5일전 신청 의무, 실내 및 거리유지 어려운 공간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ㅇ (루마니아)
- 총리, HORECA(서비스) 산업 종사자에 “기술적 실업” 보조금 지원 재시행(9월 레스토랑 실내영업 재개 후 2차 재확산으로 영업중지)
- 재무부, 유럽투자은행(EIB)서 이아시지역 응급병원 설립 목적 2.5억 유로 브릿지론 융자 승인 (총 투자금액 5억 유로)
ㅇ (불가리아) Moody’s, 불가리아 신용도 상향(Baa2→ Baa1) (자료: BTA)
5. 동남아
ㅇ (싱가포르)
- 10.26일부 싱가포르-인도네시아 신속통로(그린레인) 도입
- 8월 실업률 4.5%로 전월(4.1%)비 0.4%p 증가 (자료: 노동부)
ㅇ (인도네시아) 자카르타州, 대규모사회적제약(PSBB) 전환기 시행
* 한달간 재시행한 PSBB 종료(10.12) 및 10.12~25기간 중 완화책 시행…학교 대면수업 불가, 사무실 근무, 식당‧카페 식사 허용, 다중밀집장소 50%내 운영 가능
ㅇ (말레이시아) 일부 지역* 에 강화된 이동제한령(CMCO) 예정(10.14~27)
ㅇ (베트남) 민간 항공국 및 교통부, 보건부 세부 검역규정 미비로 국제선 항공 운항 임시 중단 (자료: Nguoi Lao Dong, Vietnamnet)
6. 중남미
ㅇ (페루) 국제항공노선 일부 재개(10.5~)에 이어, 수영장 개장 허가(교육 및 훈련 목적 限) 등 봉쇄 조치 점차 완화 (자료: El Comercio)
ㅇ (멕시코) 환경자원부(SEMANART), 공무원 내년 1.4일 복귀예정
ㅇ (파나마) 10.12일부로 국제항공 운항 및 공공 시설 운영 재개 (자료: 보건부)
* 호텔 등 숙박 서비스, 관광, 여가‧관광목적 교통 및 이동, 문화, 예체능 아카데미, 도서관, 수영장, 영화관, 도박장 등
ㅇ (파라과이) 브라질 국경 점진적 개방 추진(10.15일부 우정의 다리개방)
7. 중동
ㅇ (오만) 코로나 최고위원회, 시간제한, 해변폐쇄 등 2차 통금 조치
- (10.11~24) 야간(20:00~05:00) 통행금지, 상업시설‧공공장소 폐쇄 등
8. 아프리카
ㅇ (레소토) 레스토랑 내 식사 및 비즈니스 목적 출국 허용
ㅇ (마다가스카르) 통행금지 종료, 스포츠 경기, 항공 운항 허용 (자료: CGTN Africa)
9. CIS
ㅇ (러시아)
- Sberbank(국영은행), 11월 초 러시아 코로나 2차 확산 정점 전망 (자료: tass)
* 10.12일 코로나 신규 확진자 13,592명으로 사상 최고 기록
- 모스크바市, 공립학교 2주 방학 강행, 사립학교·학원에 방학권고
ㅇ (몽골) 비즈니스‧경제회복 위해 관용·상용 단기비자 발급 허용(10.8~)
* 시설 격리 3주 의무 및 관련 비용 자부담
10. 서남아
ㅇ (인도)
- 3~8월 항구 화물처리량(2.99억톤) 전년비 △14% (자료: Economic Times)
- Pepsi India, 신규 식품공장 투자(1,276억원)로 직간접 일자리 1,500개 창출 목표
'글로벌 비즈니스현황&코로나 바이러스 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 글로벌 및 비즈니스 동향 (0) | 2020.10.19 |
---|---|
코로나19 글로벌 및 비즈니스 동향 (0) | 2020.10.16 |
코로나19 글로벌 및 비즈니스 동향 (0) | 2020.10.13 |
코로나19 확산 관련 각국의 해외입국자에 대한 조치 현황 (0) | 2020.10.12 |
코로나19 글로벌 및 비즈니스 동향 (0) | 2020.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