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무격리 기간 동안 스마트TV와 모니터 수요 크게 증가 -
- 완제품 글로벌 경쟁은 심화, 현지 기술협력 등의 방안 고려 필요 -
□ 러시아 스마트TV 시장 개요
ㅇ 2019년 기준 러시아 스마트 TV 시장은 지속 성장세였고 2020년 1~4월 한국 스마트TV의 러시아 시장 점유율은 20.7% 기록
- 2019년 러시아 주요 도시의 스마트TV 시청자 10만 명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스마트TV 보급률은 도시 기준 29%에서 39%로 증가
· 일반 TV 보급률은 66%에서 60%로 감소
ㅇ 러시아 최대 전자제품 도소매업체인 M.Video-Eldorado에 따르면 2019년 처음으로 러시아 TV 시장에서 스마트TV 비중(매출 기준)이 50% 차지
- 2019년 러시아 스마트TV 매출 규모는 370만 대이며, 금액으로 2120억 루블(33억6000만 달러) 기록
· 스마트TV 가격을 좌우하는 부품은 HD(High-definition) 사선(Diagonals) 패널과 스마트 TV 기능 프로세서로 해당 부품들의 가격이 소폭씩 하락 중임.
- 2019년 러시아 스마트 TV 매출 증가율은 대수 기준으로 전년대비 17% 증가했으며, 금액 기준으로 6% 상승
- 러시아 스마트TV 가격은 점차적으로 낮아져서 2019년 최저 가격은 2만 2900루블(363달러)까지 하락(평균가격은 3만 2000루블)했고 4K 해상도(4K Resolution) TV가 특히 인기가 높았다고 함.
러시아 스마트TV 평균가격과 시장 비중
ㅇ M.Video-Eldorado에 따르면 삼성전자, LG, Sony가 러시아 시장 3대 선도 기업이라고 함.
- 러시아 스마트TV를 선도하고 있는 3개사의 매출 비중은 금액 기준 70%이며, 대수 기준 50%를 차지하고 있음.
ㅇ 러시아는 온라인 시네마, 비디오 스트리밍, 홈 시어터 등의 개념 이해가 크게 확산되고 있어 스마트 TV 수요가 동시에 증가할 것으로 보임.
- Levada-center의 러시아 레저 생활 방식 조사에 따르면 매일 영화를 본다는 응답자의 비중이 53%에 이르고 일주일에 1회 이상 엔터테인먼트를 보고 있다는 응답자도 26%에 이름.
- M.Video-Eldorado에 따르면 2019년 동안 홈 시어터에 대한 매장 방문객의 관심도가 급격히 증가했다고 하는데 러시아의 대표적인 디지털 방송은 Okko(Okko+Amediateka, Okko+Start), Megogo, IVI Service 등임.
- 최근 러시아 전자제품 매장에서 스마트TV를 구입하면서 디지털 방송 수신을 신청할 수 있는 방식이 증가하고 있다고 함.
코로나19로 인한 러시아 스마트TV 시장 변화 및 전망
Smart TV ㅇ M.Video-Eldorado에 따르면 2020년 상반기 동안 러시아 스마트TV 시장은 전년 동기 대비 32%(대수 기준)와 24%(금액 기준) 성장 - 전통적인 TV 시장은 이미 정체 상태이며, 하반기는 오히려 더욱 감소할 것
ㅇ J`son & Partners Consulting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스마트TV 수요가 일시적으로 커졌으나 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2023년까지는 극적인 성장보다는 숨고르기식 성장일 것 - 러시아 스마트TV 시장은 2018년부터 성장 모멘텀이 형성돼 있었고 2020년 코로나19의 의무격리 동안 큰 성장세를 보임. - 다만 2020년 하반기는 실업률 증가와 가계소득 감소로 성장세가 다소 축소될 것이고 2021년부터 소폭으로 성장할 것임. |
|
|
자료: J'SON & PARTNERS CONSERTING
□ 러시아 모니터 시장 개요
ㅇ 러시아 모니터 시장은 연간 7~10% 성장세를 보이고 있었고 2020년 코로나19 의무격리 동안 전년 동기 대비 18.91%의 판매량 증가세를 보임.
- ITResearch 에 따르면 2019년 기준 러시아 모니터 시장규모는 약 6억 달러이며 353만 대가 판매됐다고 함.
- 판매 대수 기준으로는 러시아 모니터 시장은 전년대비 7.1% 성장했고 금액 기준으로 9% 성장했음.
ㅇ 러시아 시장에서 가장 선호되고 있는 모니터 사이즈는 24인치이고 27인치 모니터가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 2019년 판매 기준으로 24인치 및 27인치 모니터의 시장 비중이 60%이며, 32~35인치 모니터 판매량은 전년대비 15%로 가장 많은 성장세를 보였음.
- 한편 21.5인치 모니터는 러시아 현지 생산 공급이 차질을 빚고 있으면서 수요가 크게 감소 중
2019년 러시아 모니터 크기(인치)별 시장 점유율
자료: IT Research
ㅇ 2019년 러시아 모니터 시장의 특징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음.
- 첫째, HD 솔루션 모니터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데 2019년 동안 전년대비 50% 증가
- 두 번째, 오디오와 비디오 커뮤니케이션 기능이 들어간 모니터가 2019년 동안 전년대비 3.5배 판매됨.
- 세 번째, USB의 C타입과 썬더볼트(Thunderbolt 등) 기능이 있는 모니터 수요가 2019년 동안 전년대비 2.5배 증가
코로나19로 인한 러시아 모니터 시장 변화 및 전망
Monitors
- 2020년 3월 말 기준 러시아 모니터 시장 수요는 전년 동월 대비 18.19% 증가 - 재택근무(Remote work)가 코로나19 의무격리 동안 실시되면서 모니터는 가장 기본적인 재택근무 업무 환경 요건으로 부각됐음. - 러시아 모니터 시장은 2019년부터 이미 성장세를 보여왔으며, 2020년 상반기는 코로나19의 수혜 상품으로 부상함. - 다만 현지 제조업의 부품 수입과 완제품 수입 의존도가 아직까지 높아 달러당 70루블에 육박한 현지화 가치 절하로는 2020년 하반기 수요가 극적으로 성장하기 힘들 것 · 일부 기관은 하반기 모니터 수요가 전년 동기 대비 20% 감소할 수 있다고 전망 |
□ 러시아 수입 동향
ㅇ 러시아의 연간 TV 세트 수입 규모는 약 3억 달러 수준이며, 2020년 1분기 기준 전년 동기 대비 28% 감소
· HS코드 상으로는 일반 TV와 스마트 TV가 구분되지 않으며, 삼성전자를 비롯한 글로벌 전자제품 제조사는 러시아와 동남아, 중국에 제조 공장을 보유하고 있어 수입 규모로는 기업별 수입 현황을 파악하기 힘든 상황
- 2020년 1분기 기준 러시아 TV 수입은 중국과 한국 수입이 크게 증가했는데 한국 수입은 228% 증가했으나 점유율은 2.78%임.
- 상위 5위 수입국 중 말레이시아의 수입은 2020년 1분기 동안 79%가 감소했고 슬로바키아는 45%, 벨라루스는 19%가 감소
HS코드 품목: 852872, 텔레비전 수신장치, 색상
(단위: 백만 달러, %)
№ |
파트너국 |
수입액 |
점유율 |
증감률 |
||||||
2017 |
2018 |
2019 |
2020 (1-3월) |
2018 |
2019 |
2020 |
2019/ 2018 |
2020/ 2019 |
||
전 세계 |
285.4 |
345.0 |
295.6 |
40.130 |
100.00 |
100.00 |
100.00 |
- 14.31 |
- 28.82 |
|
1 |
벨라루스 |
51.23 |
92.16 |
98.57 |
17.17 |
26.71 |
33.34 |
42.78 |
6.95 |
- 19.39 |
2 |
중국 |
16.31 |
26.72 |
42.34 |
11.88 |
7.75 |
14.32 |
29.62 |
58.48 |
58.68 |
3 |
말레이시아 |
106.56 |
132.28 |
104.08 |
4.43 |
38.34 |
35.21 |
11.04 |
- 21.32 |
- 79.02 |
4 |
슬로바키아 |
86.63 |
71.17 |
27.35 |
1.83 |
20.63 |
9.25 |
4.57 |
- 61.57 |
- 45.15 |
5 |
대한민국 |
3.07 |
2.23 |
3.09 |
1.11 |
0.65 |
1.05 |
2.78 |
38.69 |
228.09 |
6 |
폴란드 |
7.58 |
6.42 |
3.92 |
1.09 |
1.86 |
1.33 |
2.72 |
- 38.96 |
24.95 |
7 |
우즈베키스탄 |
0.29 |
0.81 |
2.94 |
0.92 |
0.24 |
1.00 |
2.30 |
259.24 |
1742.79 |
8 |
헝가리 |
0.27 |
0.07 |
1.80 |
0.61 |
0.02 |
0.61 |
1.53 |
2235.40 |
552.53 |
9 |
라트비아 |
1.66 |
1.60 |
2.41 |
0.20 |
0.47 |
0.82 |
0.52 |
50.52 |
- 62.40 |
10 |
베트남 |
417 |
0 |
3.33 |
0.19 |
0.00 |
1.13 |
0.48 |
0.00 |
0.00 |
자료: 러시아 연방 관세청(Global Trade Atlas) (https://www.gtis.com/gta/)
ㅇ 러시아의 연간 모니터 수입 규모는 4억~6억 달러 사이이며 2019년은 전년대비 21%, 2020년 1분기는 전년 동기 대비 18% 수입 증가
- 대한국 수입은 2020년 1분기 기준 4.87% 비중(2019년 3.46% 점유)을 차지하나 전년 동기 대비 133% 증가햇음.
- 중국은 1위 수입국으로 2020년1분기 기준 점유율이 66.82%이고 16%의 수입이 증가했으나 전년대비 점유율은 감소했음.
- 2위 수입국인 일본은 점유율이 2020년 1분기 기준 7.96%이고 증가율이 91%로 전년보다 증가
HS코드 품목: 852859, 모니터(텔레비전 수신장치 미포함)
(단위: 백만 달러, %)
№ |
파트너국 |
수입액 |
점유율 |
증감률 |
||||||
2017 |
2018 |
2019 |
2020 (1-3월) |
2018 |
2019 |
2020 |
2019/ 2018 |
2020/ 2019 |
||
전 세계 |
388.39 |
481. 60 |
583. 94 |
127.69 |
100.00 |
100.00 |
100.00 |
21.25 |
18.19 |
|
1 |
중국 |
268. 8 |
346. 55 |
402. 55 |
85.32 |
71.96 |
68.94 |
66.82 |
16.16 |
16.92 |
2 |
일본 |
4. 04 |
9. 66 |
32. 85 |
10.15 |
2.01 |
5.63 |
7.96 |
240.01 |
91.56 |
3 |
한국 |
17. 98 |
15. 31 |
20. 18 |
6.22 |
3.18 |
3.46 |
4.87 |
31.75 |
133.50 |
4 |
체코 |
2. 61 |
11. 38 |
18. 21 |
3.95 |
2.36 |
3.12 |
3.10 |
60.02 |
- 7.85 |
5 |
독일 |
6. 63 |
10. 05 |
11. 60 |
3.92 |
2.09 |
1.99 |
3.07 |
15.40 |
36.40 |
6 |
포르투갈 |
10. 50 |
10. 85 |
9. 58 |
2.70 |
2.25 |
1.64 |
2.12 |
- 11.73 |
3.97 |
7 |
태국 |
6. 39 |
6. 39 |
8 .90 |
2.52 |
1.33 |
1.53 |
1.97 |
39.28 |
27.13 |
8 |
베트남 |
12. 47 |
9.47 |
10. 91 |
2.20 |
1.97 |
1.87 |
1.73 |
15.19 |
- 24.88 |
9 |
미국 |
5. 65 |
10. 00 |
14. 58 |
2.17 |
2.08 |
2.50 |
1.70 |
45.84 |
- 30.00 |
10 |
프랑스 |
15. 70 |
8. 42 |
10. 65 |
1.76 |
1.75 |
1.83 |
1.38 |
26.53 |
23.08 |
자료: 러시아 연방 관세청(Global Trade Atlas) (https://www.gtis.com/gta/)
□ 러시아 스마트TV 및 모니터 경쟁 동향
ㅇ 러시아 현지 기업들이 스마트TV 및 모니터 제조 중이나 중국 부품을 주로 사용하고 있고 기능면에서 글로벌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나 생산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음.
- 현지 제조품 가격은 중국의 저가 제품과 경쟁할 만한 수준이며, 잘 알려진 중국 제품과는 가격 경쟁이 어려운 것으로 파악
- Rolsen사는 Toshiba, Hitachi, Philips 제품을 조립하고 있고 전 대우 전자 제품을 조립했던 경력이 있는 기업임.
러시아 스마트TV 및 모니터 제조사
기업명(Logo) 및 웹사이트 |
설립연도 및 장소 |
매출 규모 (달러) |
직원 수 |
주요 내용 |
"SKT-PRO" LLC
|
2008, 모스크바 |
196만 |
- |
- SKT는 러시아 모니터 개발 및 생산기업. 브랜드명 Vecom으로 모니터 제품 생산
Vecom EM2331 |
LLC Telebalt Company
o-kompanii.html |
1999, 칼리닌그라드 |
325만 |
250 |
- 2017년 자체 브랜드 Erisson으로 TV 생산 시작. 텔레비전 LLC "Telebalt"는 수입부품으로 제작됨. 대부분의 제품이 러시아에 판매되고 있음.
Erisson 50FLEA18T2 Smart |
Polar
|
1993, 모스크바 |
N/A |
|
- LED, LCD, CRT 텔레비전, 가정용 가전 및 전자제품 생산기업 - 주요 브랜드명은 ‘Polar’
Polar P50L32T2CSM Smart TV |
Rolsen Electronics
|
2000, 모스크바 |
N/A |
|
- 칼라닌그라드에 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LG, JVC, Toshiba, Hitachi, Daewoo, Philips와 같은 생산기업과의 계약에 의해 각 업체 제품의 최종 조립이 이뤄짐. - 자체 브랜드로 TV 생산
RL-32D1307T2C |
Rubin |
1956, 모스크바 |
N/A |
|
- 현재 RUBIN의 TV는 전체 중국 부품으로 생산됨.
RB-19SE5T2C |
자료: 각 회사 홈페이지, Spark-Interfax
ㅇ 러시아 스마트TV 및 모니터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외국 기업은 삼성전자, LG전자, Sony이며, 스마트TV 부문에서는 Sony가 선도 중
- 삼성전자 칼루가(러시아 현지) 공장은 TV를 조립하고 있으며, 많은 외국계 기업들도 러시아 현지 공장을 임대하여 현지 조립으로 시장을 진출했음.
- 모니터 부문에서는 AOC(TPV Technology사), Acer, Philips가 현지 제조로 상위 3대 기업으로 알려져 있음.
· AOC, Acer, Philips사의 러시아 모니터 시장 점유율은 39%이며, 삼성 모니터는 러시아 시장의 4위 정도이나 소형 사이즈보다는 대형 커브 스크린에 더 주력하면서 현지 공급을 거의 중단한 상태
- 러시아 게임 시장에 적합한 24인치 및 27인치 모니터에 대부분의 외국계 회사들은 주력하고 있음.
러시아 스마트TV 및 모니터 시장의 외국계 벤더
기업명 및 웹사이트 |
설립연도 및 장소 |
매출 규모 (달러) |
주요 제품 |
주요 사항 |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ru/ |
1938, 대한민국 |
30억2000만 (러시아) |
- 가전제품 - SSD - 통신장비 - 가정용 전자기기 |
- 러시아 내 대표사무소 보유 - 2008년 이후 러시아 Kaluga(칼루가) 지역에 공장(Samsung Electronics Rus Kaluga LLC) 운영. 이 공장에서 러시아, CIS, 유럽 수출용 TV, 모니터, 세탁기 생산 |
Sharp Corporation
|
1912, 일본 |
15억6000만 (러시아) |
- 텔레비전 - 가전제품 - 태양 전지 - 휴대 전화 - 전자 부품 - LCD 패널 |
Sharp Electronics Russia LLC는 러시아 시장에서 Sharp의 공식 법인 |
LG Electronics Inc.
|
1958, 대한민국 |
11억2000만 (러시아) |
- 텔레비전 (OLED TV, LG Smart TV ) - 모바일 기기 - 태블릿 PC - 가전제품 |
- LLC LG Electronics RUS 및 LLC LG Electronics RUS-Marketing은 LG Electronics, Inc의 자회사 - 모스크바 인근 Dorokhovo에 냉장고, 세탁기,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등을 생산하는 LG 공장 위치(2006 설립) |
Xiaomi Corporation
|
2010, 대만 |
6705만 (러시아) |
- 가전제품 - 컴퓨터 하드웨어 |
- 2018년부터 소비자가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팔찌 M2 생산 - 러시아 내 대표 사무소 보유 |
AsusTek Computer Inc.
|
1989, 대만 |
109억8000만 (세계) |
- 데스크탑 - 노트북 - 휴대전화 - 네트워킹 장비 - 모니터 - 프로젝터 - 멀티미디어 제품 - 웨어러블 기기 - 서버 - 단말기 |
- 러시아 내 대표 사무소 미보유 - 제3업체인 "ASC" - Authorized Service Centers를 통해 소비자에게 특정장비(컴퓨터 부품, 노트북)을 수리 및 보증지원 - 러시아 내 유통업체와 대리점을 통해 판매 |
TPV Technology Limited
(AOC brand) |
1967, 중국 |
5777만 (러시아) |
- 컴퓨터 모니터 - LCD TV |
- 브랜드명 ‘AOC’로 제품 판매 - 2011년 Shushary(레닌그라드 지역)에 TPV Technology는 중국과 폴란드에게 임대된 시설에서 납품된 부품으로 텔레비전용 대형 조립 공장을 설립하고 브랜드 Philips, Doffler, Harper, Haier, Dexp의 TV 조립 - 2019년 3월 TPV 공장은 러시아에서 중국 브랜드 Skyworth TV(세계 점유율 4.5%, 6위)의 Tmall(AliExpress 일부) 파트너십 체결 |
Koninklijke Philips N.V.
|
1891, 네덜란드 |
4억8353만 (러시아) |
- 오디오 시스템 - 전자제품 - 조명 - 의료 장비 |
- 러시아 내 대표사무소 보유 - 2017년 Philips는 스콜코보 혁신센터에 러시아 최초 연구소 설립 |
Sony Corporation
|
1946, 일본 |
4억2383만 (러시아) |
- 가전제품 - 반도체 - 비디오 게임 - TV - 컴퓨터 하드웨어 - 통신장비 - 로봇 |
- 러시아 내 대표 사무소 보유 - 러시아에 공식 온라인 스토어 및 서비스센터 보유 |
HP Inc. (Hewlett-Packard)
ru/home.html |
1939 (전 Hewlett-Packard, 2015년에 HP로 명칭 변경)
미국 |
4억590만 (러시아) |
- 개인용 컴퓨터 - 프린터 - 디지털 프레스 - 3D 프린터 - 스캐너 - 복사기 - 디스플레이, 모니터 |
- 러시아 내 대표사무소 보유 - 여러 유통업체를 통해 판매 |
Acer Inc.
ru/RU/content/home |
1976, 대만 |
402만 (러시아) |
- 데스크탑 - 노트북 - 스마트폰 - 태블릿 PC, 스토리지 - 모니터 - 텔레비전 LED, LCD, Plasma |
- 러시아 내 대표사무소 보유 |
Dell, Inc.
https://www.dell.com/ |
1984, 미국 |
906억 달러 (세계) |
- 개인 PC - 서버 - 주변장치 - 스마트폰 - TV |
- 러시아 내 대표사무소 보유 |
자료: 각 회사 홈페이지, Spark-Interfax
□ 유용정보
ㅇ 유통구조 및 진출방법
- 러시아 스마트TV 및 모니터 시장으로 진출한 외국계 대부분은 전문 유통사 또는 대표사무소를 통해 직접 유통하고 있음.
- 삼성과 LG, Philips 사와 같은 글로벌 기업들은 현지 법인 및 조립공장을 설립해 현지화 정책에 맞는 장기적 관점에서 시장 접근 중
- 러시아 전자제품 시장은 유통사 선별도 중요하지만 브랜드 홍보력이 강한 유통사와의 거래가 가장 중요함.
- 한편 공공 입찰에 참여한 벤더 거래와 일반 전문 유통사를 병행한다면 안정적 공급과 환율변화 민감성을 완화할 수 있음.
러시아 컴퓨터 및 TV 세트 주요 유통사 정보
기업명(Logo) |
전화번호 |
주요 사항 |
Dihouse LLC
|
+7 (495) 651-62-90 |
- 1996년 설립 - 수익 7억6683만 달러 - diHouse company는 LANIT Group 계열사로 모바일 기기, 모니터, 부속품 유통 |
M.video
|
+7 (495) 6442849, +7 (495) 6442848, +7 (495) 6442851, +7 (495) 9330523 |
- 1993년 설립 - 수익: 1억9870만 달러 - 매출 기준 러시아 전자 소매 체인 중 가장 큰 규모 - 시장 부문 최초 및 유일한 공개 상장 기업 |
OCS Distribution
Company/ |
info@ocs.ru +7 495 995-2575 |
- 1994년 설립 - 수익: 20억6000만 달러 - OCS Distribution은 현재 러시아 내 선도적인 광대역 기술 유통업체 - 러시아 전역 26개 사무실 보유 |
MERLION LLC
|
+7 (495) 9818483, +7 (495) 9818484 |
- 2015년 설립 - 수익: N/A - 러시아 시장 내 IT, 가전제품, 문구, 사무용 가구 최대 유통업체 |
Elko LLC
|
+7 (495) 234 9939 |
- 2008년 설립 - 수익 : 7억9234만 달러 - IT, 컴퓨터, 가전제품 유통업체 |
TFN LLC
|
+7 495 649-71-75 |
- 2009년 설립 - 수익: 2억4823만 달러 - 가정용 가전제품 도매업체 |
STATEN
|
+7 (495) 234-88-88 |
- 2005년 설립 - 수익: 2201만 달러 - 컴퓨터, 컴퓨터 부품, 디지털 장비 및 가전제품, 네트워크 및 사무용 장비 유통업체 |
Nicotech
|
+7 499 500-38-29 |
- 1991년 설립 - 수익: 119만 달러 - IT 및 소프트웨어 개발 서비스 제공 |
Resource media LLC
|
+7 (495) 933-76-16 +7 (499) 321-99-99 |
- 1992년 설립 - 수익 : 2억6831만 달러 - 러시아 IT 유통 전문업체 |
Marvel Distribution
|
+7 (812) 326-32-32 - St. Petersburg +7 (495) 745-80-08 - Moscow |
- 1991년 설립 - 수익: 11억3000만 달러 - 러시아 및 CIS 국가 내 IT 유통 전문업체 |
자료: 각 회사 홈페이지, Spark-Interfax
ㅇ 수입관세 및 인증
- 러시아 전자제품 수입에 필요한 중요한 인증은 연방 보안서비스 라이선스 취득일 일부 제품(암호화 기능이 있는 경우)에 적용된다는것임.
- 스마트TV의 러시아 수입관세는 대당 25.5유로 가치 이상인 제품에 10%이며, 모니터는 5%임.
- 러시아 수입 통관 시 부가가치세 20%가 부과되며, 현지 유통과정에 발생되는 부가가치에 대한 세금 환급 및 환원이 발생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함.
제품 |
HS 코드 |
수입관세 |
인증 |
스마트TV |
852872 2001 |
10% (대당 25.5 유로 이상일 경우) |
기술 규정 준수:
|
모니터 |
852559 9009 |
5% |
자료: IFCG Analytics & Legislation(https://www.ifcg.ru/en/)
ㅇ 관련 유망 전시회
전시회명 |
ExpoElectronica 제23회 전자부품, 모듈, 시스템 국제 전시회
|
제품 |
|
개최장소 |
Crocus Expo IEC, Pavilion 3, 모스크바 |
기간 |
2020년 8월 11~13일(유지) |
주최 |
Hyve Group |
웹사이트 |
전시회명 |
SEMIEXPO Russia
|
제품 |
|
개최장소 |
모스크바, Expo Centre |
기간 |
2020년11월(코로나19로 날짜 미정) |
주최 |
Expo Centre |
웹사이트 |
□ 시사점
ㅇ 러시아를 포함한 글로벌 전자제품 시장 경쟁은 첨단 기술력과 브랜드 파워이기 때문에 완제품 수출시에는 홍보력이 강한 현지 유통사 선정과 가격 경쟁이 중요할 것
- 러시아 현지 제조품이 명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저가 중국 부품으로 제품 단가를 낮춘 것으로 아직까지 러시아 시장은 가격에 민감한 편임을 반증하고 있음.
ㅇ 러시아 수입대체화 정책을 활용한 부품 공급(조립 부품, 반도체 등)도 노려볼 만한 상황임.
- 글로벌 전자제품 기업(삼성, LG, Sony, Philips 등)은 브랜드 인지도와 자체 연구개발 첨단 기술력으로 시장 진출 모멘텀을 충분히 갖추고 있음.
- 이와 관련 러시아는 수입을 대체하고 제품 현지 제조에 대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글로벌 기업의 완제품 경쟁이 아닌 현지 기술지원 및 협력 제조, 조립 부품 납품 등으로 진출을 고려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임.
ㅇ OCS Distribution(부품 및 완제품 유통)의 Alexander Rodionov 담당자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한 중국 부품 공급 차질 경험으로, 중국 부품 의존도와 기술 의존도를 낮추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함.
- 코로나19에 따른 두 가지 교훈은 첫째로 중국에 대한 지나친 의존도를 탈피해야 할 것, 두 번째로는 러시아 IT 기술력을 갖춰야 할 것이라고 Rodionove 담당자는 강조했음.
- 한편 스마트TV, 모니터 시장은 IT 솔루션이 접목된 다목적 전자제품이기 때문에 현지 제조를 위해서는 기술력 인프라가 매우 중요하다고 첨언
자료: 관련 언론보도 (https://www.crn.ru/numbers/reg-numbers/detail.php?ID=144841, http://www.dailycomm.ru/m/50323/, https://www.kommersant.ru/doc/4406578, https://www.ixbt.com/news/2020/01/14/2025-103-5.html, https://www.gazeta.ru/culture/2020/04/06/a_13038499.shtml
), J’son&Partners(https://json.tv/ict_telecom_analytics_view/issledovanie-rynka-smart-tv-v-rossii-2016-2023-gg-itogi-2019_, Tadviser(Russian wearable market: www.tadviser.ru/index.php/), IFCG Analytics & Legislation (https://www.ifcg.ru/en/), 러시아 관세청 및 Global Trade Atlas(https://www.gtis.com/gta/),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기업 인터뷰 및 자료 종합
'글로벌 비즈니스현황&코로나 바이러스 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주 외식업 전문가들의 뉴노멀 전망 ‘Stay Open’ (0) | 2020.07.24 |
---|---|
호주의 ‘뉴노멀’ 떠오르는 상품과 서비스 (0) | 2020.07.24 |
테이크 아웃 수요로 1000억 엔 규모 돌파한 일본 치킨 (0) | 2020.07.24 |
에티오피아 경제에 짙게 드리워지는 COVID-19의 영향 (1) | 2020.07.24 |
2020년 상반기 한-이집트 교역 동향 (0) | 2020.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