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글로벌 동향
1. 북미
(1) 미국
ㅇ 관세국경보호청(CBP), 의료기기의 신속한 세관 통과 및 인쿼리 대응을 위해 Cargo Resolution 팀 구성
ㅇ 백악관, GM과 3M에 국방물자생산법 발동
ㅇ 연준, 미 실업률 현재 13%로 추정, 32%까지 상승 가능 경고
ㅇ 메릴랜드 주지사, 한국산 바이러스 검사 키트 확보에도 불구, FDA 승인절차
지연으로 투입이 불가하다며 트럼프 강력 비판
ㅇ 의회(펠로스 하원의원), “인프라 법안보다 2조 달러 경기부양 패키지(CARES)에 이은 추가 경기부양 패키지(CARES2) 필요” (자료: CNN)
ㅇ 국방부, 연방재난관리청(FEMA) 요청에 따라, 뉴욕, 뉴올리언스, 댈러스에 있는 3개 군병원을 코로나19 치료시설로 임시 전환
ㅇ (뉴욕) 4.2일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 2,935명으로 최다
- 쿠오모 주지사, 마스크는 예방효과가 있으나 마스크 착용여부에 상관없이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켜져야 한다고 언급 (자료: CNN)
ㅇ (펜실베니아) 외출 시 면 마스크 등을 활용해 안면을 가리도록 하였으며, N95 및 종이마스크는 의료진 외에는 착용 불요 (자료: CNN)
ㅇ (뉴햄프셔) 트럼프, 뉴햄프셔주 주요재난지역 선포 허가 (자료: CNN)
(2) 캐나다
ㅇ 트뤼도 총리, 의료장비 부족 대응을 위해 각 주정부 대표와 화상회의
- 연방정부 차원의 긴급사태 선포는 아직 불필요 입장 (자료: CBC News)
ㅇ (온타리오) 의료진 확보 위해 30일간 사용가능한 임시면허 발급 도입
- 내·외국인 중 캐나다 의료시험 통과 또는 관련 학교 2년 내 졸업자 (자료: CBC News)
ㅇ (토론토) 공원, 광장 등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하지 않을 경우
최대 C$5,000 벌금을 부과하는 신규 법 공포 (자료: CTV News)
ㅇ (브리티시컬럼비아) 코로나19 상황 종료까지 저소득층 및 장애인 지원 보조금 규모 확대(월 C$300씩 추가)
(자료: CBC News)
2. 중국
ㅇ 인민은행, 4.5일부터 중소형 금융기관 대출 지불준비율 인하* 및 4.7일부터 금융기관의 중앙은행 대출초과액 이자율 0.72% →0.35%로 인하 예고
* 중형금융기관 10.5% → 10.0%, 소형금융기관 7.0% → 6.5%
- 지준율 인하로 4,000억 위안(약 69조원) 유동성 공급 효과 예상 (자료: 신화망)
ㅇ 재정부, 2020년 재정부 하달 신규 지방정부 전용채권(용도지정채권) 규모 1조 2,900억 위안, 3.31일 기준 실제 발행 신규 전용채권 규모 1조 800억 위안(전체의 84%), 전년동기비 63% 증가
ㅇ 상무부·해관총서·약품감독국, 의료물자 수출 지원과 동시에 품질·인허가 관리감독 강화
ㅇ 교통운수부, 국제화물선이 본선 선원 외 인원의 중국항구 진입 금지
- 항구 진입 전 소재지 해사관리기관에 선장 서명 ‘성명서’(본선 선원 이외 기타 인원 탑승하지 않았음) 제출 의무화
ㅇ 공신부·국가우정국, 택배-제조업 협업 강화로 공급체인 정비
- 자동차, 소비재, 전자정보와 의료바이오 등 제조업과 택배업의 융합을 통해 부품조달, 생산, 판매와
AS 공급체인 서비스수준 향상
ㅇ 민항국, 국제항공편 매주 134개 이내(금주 106개)로 통제
- 역유입 방지 강화 및 해외 체류 중국인 귀국 보장
ㅇ 발개위, 국제유가 급락세에도 유가 인하 없음 발표 (자료: 환구망)
3. 유럽
(1) EU
ㅇ EU집행위, 실업위험완화긴급지원책(Support to mitigate Unemployment Risks in an Emergency ,SURE) 발표
* 각 회원국의 코로나19대응 고용지원정책을 보완하는 것으로, 이탈리아․스페인과 같이 타격이 큰 국가의 일자리를 보호하고, 기업이 경제로 복귀할 수 있도록 1억 유로의 대출을 제공하여 각 회원국이 단기적으로 근로 보장제도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함 (자료: 유럽연합 보도자료)
(2) 이탈리아
ㅇ ISS, COVID 19 감염확진 추세가 전체적으로 둔화됨을 확인했다고 발표
ㅇ 경찰본부, 부활절 주말을 포함한 기간에 도시 외곽의 주요 도로 및 해안, 공원 등의 이동에 대한 검문 및 통제를 위한 조치 강화
(자료: 정부기관 및 일간지 il sole 24)
(3) 영국
ㅇ 공중보건국 연구소를 통하여 표본 검사 계속 추진 계획
ㅇ 민간기업 및 대학 연구기관과 협업하여 검사 역량 확대 계획
ㅇ 영국항공, 전체 직원의 80%인 32,000명 정직 계획 (자료: BBC 뉴스 및 gov.UK 발췌)
(4) 프랑스
ㅇ 경제부장관, 주요기업의 국유화는 단기적일 것이며 전략적 보호가 목적이라고 밝힘
ㅇ 보건국, 노인요양시설(Ehpad) 집계 별도로 발표시작: 사망자 최소 884명, 확진자 14,638 명
* 정부가 병원 내 사망자만을 발표해오면서 그동안 요양시설 사망자 현황에 대한 요청이 많았음
ㅇ 사망자 급증으로 파리 근교의 세계최대규모 도매시장 헝지스(Rungis)에 시신보관소 설치
* 시장 내 냉장시설이 있는 공간을 징발해서 사용, 추모객 방문 가능 (자료: 일간지 르몽드. 레제코, 피가로)
(5) 독일
ㅇ 독일 로베르트 코흐 연구소(RKI) 마스크 착용기준 무증상자, 사회적 거리두기 효과 반영하여 모든 사람에 권장으로 변경 (자료: tagesschau)
ㅇ 독일 연방 노동부 근로단축 기금의 증액검토와 연장 시사 (자료: rtl)
(6) 그 외 유럽지역
ㅇ (스페인) 스페인 정부, '국가경계령' 시행 만료일을 기존 4월 9일에서 4월 26일로 연장하는 방안 검토 중
ㅇ (벨기에) 연방재무부는 국제 민간-공공 합동 코로나19 백신개발 협력기
구 CEPI(Coalition for Epidemic Preparedness Innovations)에 5백만 유로 지원 발표
(자료: Het Laaste Nieuws)
ㅇ (스웨덴) 스톡홀름, 중환자실 의료진 확보위해 '재난상황 협약' 발효
* 코로나19 중환자들이 급증하면서 이들을 돌볼 의료진 부족현상 심각 (자료: 스웨덴 정부 및 현지 언론)
ㅇ (핀란드) 핀란드 국영 투자사 TESI, 중소기업에 1.5억 유로 자금지원 예정 (자료: 고용경제부)
ㅇ (스위스) 스위스 연방정부, 코로나19 긴급 대응기금 중 기업 대출금 기존 2백억 프랑에서 4백억 프랑으로 확장.
* 기업 대출 시 5십만 프랑 전액, 5십만에서 2천만 프랑은 85%를 정부가 신용보증. 지원이 필요한
기업은 5년간 대출 상환
(자료: 스위스 연방정부)
4. 일본
ㅇ 아베총리, 일정 수준 이상 수입감소 세대 대상 세대당 30만엔 현금지급 방침 표명 (자료: 닛케이신문)
ㅇ 도쿄도, 올림픽 숙박시설을 경증자 임시 체재시설로 활용 추진
- 지자체 보유시설 포함 최대 1천실 규모 확보 목표 (자료: 닛케이신문)
ㅇ (오사카부) 초‧중교 임시휴학을 골든위크 끝나는 5월초까지 연장 (자료: NHK)
5. 동남아 대양주
ㅇ (베트남) 취약계층 현금 지급 총 26억달러 지원 검토 (자료: Vietnamnews)
ㅇ (베트남) 호치민시, 15일간 영업·공무·운송 일시정지 (자료: 3994/TB-SGTVT)
ㅇ (인도네시아) 5월중~하순 르바란 연휴를 연말로 연기 검토 (자료: 인도네시아 정부)
ㅇ (싱가포르) 필수 시설 외 모든 사업장 폐쇄(~5.4일) (자료: 싱가포르 정부)
ㅇ (태국) 푸켓내 모든 호텔 임시 영업중단 명령 (자료: Thai PBS)
ㅇ (필리핀) 마스크 착용 의무화 실시(4.2일부) (자료: Inquirer)
ㅇ (캄보디아) 중소기업 지원 공동 펀드 조성 (자료: 현지 언론)
ㅇ (호주) 어린이 보육센터 16억 호주달러 지원 (자료: 호주 정부)
6. 서남아
- 인도 정부와 해당국 정부 협의하 전세기 및 내륙수송편 마련 (자료: Business Line)
7. 중동
ㅇ (UAE) 전 국민 대상 마스크 착용 권고 (자료: WAM)
ㅇ (사우디) 제 2도시 젯다, 7개 지역 24시간 통금 시행 (자료: Arab News)
ㅇ (오만) 경찰청, 운전자 마스크·장갑 착용 권고 (자료: 오만 정부)
ㅇ (이란) 로하니 대통령, 모든 근로자 안전수칙 엄수 조건 복귀 명령 (자료: Entekhab)
ㅇ (모로코) 한국인수송 특별기 4.3일 한국 도착
ㅇ (터키) 확진자 발생으로 이스탄불 재외선거 투표소 폐쇄 (자료: 이스탄불총영사관)
8. 중남미
ㅇ (브라질)
- 공공병원 의료진용 의료용품(마스크, 알콜 세정제 등) 재고 소진
* 정부는 각 주정부에 약 4,000만 개의 용품 기배포, 이후 약 7억 2,000개의 추가 수입 계획이었으나 정부와 계약한 중국 기업들이 미국으로 수출 물량을 돌리면서 공급계획 무산
- 상파울루주 연방 법원, 전화, 가스, 수도 서비스 차단 금지 명령
- 호흡기 및 마스크 제조 원자재(25개) 수입세 일시적 면제 발표 (자료: EXAME, Diario Oficial da Uniao)
ㅇ (멕시코) 외무부, 재미 멕시코인의 멕시코 입국자제 권고 (자료: Milenio)
ㅇ (에콰도르) 재택근무 연장(~4.12), 휴교령, 국제운송수단 및 주(州)간 이동금지 연장(~4월말) 등 (자료: 정부발표 및 현지 언론)
ㅇ (아르헨티나) 보건 비상상태중 마스크, 손세정제, 라텍스 장갑, 등 기본 의약외품 52개 무관세 수입 품목 지정 (자료: 정부발표 및 INFOBAE)
ㅇ (파나마) 사회보장기금, 소방청 협력 감염취약층 대상 의약품 배달 실시 (자료: 보건부)
9. 아프리카
ㅇ (남아공) 코로나19 확진자 동선 파악용 휴대폰 위치정보에 대한 접근이 허용되며 사생활 침해 논란 제기 (자료: 남아공 정부 발표 및 IOLL)
- 국가재난상황 대응 위한 필수 조치로 최대한 프라이버시 보호 입장 강조
ㅇ (짐바브웨) 기근, 코로나19 대응 7.15억 달러 규모 UN 프로그램 런칭 (자료: EWN)
ㅇ (케냐) 보다보다(오토바이)에 이어, 마타투와 Tuk Tuk 기사와 탑승자도 마스크 착용 의무화
(자료: 케냐보건부 일일 브리핑)
ㅇ (세이셀) 3.31일 이후로 세이셸 국제공항과 세이셸 해상을 통한 입항금지 조치
(세이셸 국적자 귀국만 허용) (자료: Worldaware)
10. CIS
ㅇ (러시아)
- 모스크바시, 유급휴가 연장에 따른 시행령(기존 조치 4.30일까지 연장) 발표
- 상트페테르부르크 마스크 생산량12만 5,000개/일로 증산 (자료: Fontanka)
ㅇ (카자흐스탄) 국가비상사태 관련, 군 특별동원 명령 (자료: sputniknews.kz)
ㅇ (우즈베키스탄) 중국으로부터 마스크 생산원료 대량 구매 예정
□ 해외 현지 기업 동향
1. 북미
ㅇ (미국)
- Ford, 생산된 인공호흡기를 최고 입찰자에게 판매하지 않고 GE 헬스케어 전문가
및 행정부와 논의해 수혜기관 결정 예정
- 3M, 국방물자생산법 시행 이후 N95 생산을 최대로 확대하고
연방재난관리청(FEMA)의 주문을 최우선으로 다루고 있음.
* 트럼프, 3M에 캐나다와 남미에 마스크 수출 중단 요청했으나, 3M사는 이를 거부
- Boeing, 확진자 발생해 필라델피아 헬리콥터 생산 공장 조업 중단 (자료: CNN)
ㅇ (캐나다)
- Amazon, 미국, 캐나다 전역에서 80,000명 채용 완료 (자료: The Star)
- City of Vancouver, 1,500명의 직원 임시 해고 (자료: Global News)
- Calgary Public library, 지점 21개 폐쇄조치 및 직원 500여명(전체의 75%) 해고 (자료: Global News)
2. 중국
ㅇ 우한 소재 GREE(格力) 및 59개 핵심공급상 전면 조업 재개, 생산능력 73% 회복 (자료: 장강일보)
ㅇ Wuhan Easy Diagnosis Biomedicine, 진단키트, 혈액가스분석기 등 6개 제품 CE인증 취득
ㅇ 중국 요식업 더딘 회복
- 지난시 식당체인 쟈우둥런쟈(胶东人家), 조업 재개율 90%, 일 매출액 7,000~8,000위안 불과
- 산둥성 요식업체 조업 재개율은 97%, 영업 회복율은 45%, 매출액은 코로나 이전의 절반 수준 (자료: 망이신문)
ㅇ 텐센트, UN 75주년 영상회의 기술솔루션 공급업체로 선정 (자료: 선전상보)
ㅇ (홍콩) 인터콘티넨탈 호텔, 4.23일부 약 2년간 리노베이션 명목 호텔 폐쇄 예정. 필수인력 및 식당운영 인력 제외 약 500명 해고 예정 (자료: SCMP)
3. 유럽
ㅇ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항공사 Austrian Airline, 전 노선 운항 중단 조치 5월 3일까지로 연장 (자료: Kronen Zeitung)
ㅇ (스웨덴) H&M, 스웨덴내 직원 약 50% 무급휴직 돌입 계획 발표 (자료: DI 등 현지언론 종합)
ㅇ (독일)
- VW 독일 공장 4.19까지, 미국 공장 1주일 더 조업중단 연장
- BMW 4.19까지 조업중단, 20,000명 단축근로 신청 (자료: Automobilwoche)
4. 일본
ㅇ 통신 3사(NTT, KDDI, Softbank), 25세 이하 학생 통신비 부담 경감책(데이터통신료 일부 무상화 등)
도입, 온라인수업을 위한 환경 지원 (자료: 닛케이신문)
ㅇ 병원·복지시설에서 환자 격리를 위한 의료용 텐트 수요 급증. 타이요공업(오사카)은 4월 내 100개 증산 예정
(자료: 요미우리신문)
ㅇ 스즈란(위생재료 제조사), 35억 엔 투자 통해 2022년 1월 가동 목표로 중국에 마스크‧거즈 생산 공장 신규 설립 (자료: 중부경제신문)
ㅇ 다이와화공(금형 제조사) 및 중소 제조업체 4개사, 4.21일에 유튜브 라이브로 ‘온라인 미니 전시회’ 합동 개최 예정 (자료: 중부경제신문)
5. 동남아 대양주
ㅇ (캄보디아) 섬유봉제업종, 90개 공장 중단·6만명 실직
6. 서남아
ㅇ (인도)
- 항공·철도업계, 15일(수)이후 운영 재개 전망
- 스마트폰 업계, 출하량 감소 및 환율로 인한 가격 인상
7. 중동
ㅇ (UAE) 에티하드항공, 5일부터 인천행 여객 운항 일부 재개
ㅇ (이란) 진단키트 8개사 사용허가 및 인공호흡기 생산 개시
8. 중남미
ㅇ (아르헨티나) 소고기 수출량 두 달 사이 45% 감소 (자료: TN NOTICIAS)
ㅇ (브라질) Usiminas사, 1번, 2번 고로(미나스제라이스주 이파칭가 소재) 운영 일시적 중단 결정 (자료: EXAME)
□ 해외 현지 비즈니스 환경 동향
1. 북미
ㅇ (미국)
- 노동통계청, 3월 701,000개의 일자리가 감소해 2009년 3월 이후 최악을 기록했으며
실업률은 전월 3.5%에서 4.4%로 증가
- 3월 공급관리자협회(ISM) 비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지난달 57.3에서 52.5로 대폭 하락했으나 시장 예상치(44) 상회 (자료: CNN)
- IMF, 코로나19 경제타격은 글로벌금융위기보다 훨씬 더 심각 전망 (자료: CNBC)
ㅇ (캐나다)
- 재택근무 활성화로 화상회의 어플 zoom 사용자 수 급증. 일부 개인정보보호 문제 발생으로 비밀번호 설정 등 조치 필요성 대두 (자료: CTV News)
- 3월 자동차 판매량 전년동기대비 48% 급락하며 1997년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 (자료: BNN Bloomberg)
- 일부 산업군(식료품 유통, 경호, 안전) 고용 증가 전망 (자료: CTV News)
2. 중국
ㅇ 재택경제 핫아이템 닌텐도 스위치, 공급체인에 발목 잡혀
- 올 3월 한 주간 판매량(39만 대), ‘17.3월 출시 당시 한 달 판매량을 상회했으나 팬데믹으로 부품 조달에 차질 발생
- 미국·유럽시장은 4월 제품 공급중단 가능성도 (자료: 증권시보망, 제일황금망)
ㅇ 가사 서비스업의 온오프라인 생태변화
- 가정 살균소독 방문서비스, 가사도우미 온라인교육 등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 (자료: 선양일보)
ㅇ 실내용 탁구 연습기 방역기간 인기
- 상하이홍쐉시(上海红双喜), 탁구 연습기 판매액 코로나19 전보다 50% 상승 (자료: 중국체육용품연합회)
ㅇ 코로나19가 중국 의류 도매시장에 미친 영향
- 오프라인 매장 방문객 수 급감으로 재고관리 등 비용부담 증가
-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낮은 위챗을 통한 판매 지속 성장 (자료: 방직망)
ㅇ (홍콩) 부동산업체 Midland IC&I Limited, ‘20년 상가 임대료 및 매매가격 전년대비 증감률 -10%에서 -15%로 5%p 하향 조정 (자료: SingTao Daily)
3. 유럽
ㅇ (벨기에) 플란더스 건설기업연합에 따르면, 플란더스 지역 건설기업 44%는 영업중단 상태, 38%는 기존 사업 규모의 절반 수준으로 운영, 18%만 정상 운영 중 (자료: De Standaard)
ㅇ (영국) 맥주 및 와인 판매사 Rebellious Goods, 2월에 비해 3월 매출량 11배 증가 (자료: City AM 뉴스)
ㅇ (독일) 독일 기계 제조사의 의료제품 생산 증가
- 폴크스바겐(VW) 페이스쉴드 및 산소호흡기 부품 제작, 스코다(Skoda) 보호마스크 제작 (자료: Automobilwoche)
4. 일본
ㅇ 코로나19로 퍼지는 “터치리스” 제품
- 코로나19 감염 확대로 비접촉 기능 탑재 신제품 개발 추진
- NEC는 마스크를 벗지 않아도 되는 얼굴인증 게이트를 반년 이내 발매 예정, 후지테크, 미쓰비시전기는 비접촉방
식 옵션을 도입한 엘리베이터를 발매하는 등 다양한 제품 내 비접촉방식이 도입 예정 (자료: 일본경제신문)
ㅇ M&A 연기 및 중지로 글로벌 M&A건수가 15년 전 수준으로 하락
- 日 고베제강소, 자회사 주식 일부를 펀드에 매각하려던 계획 연기
- 3월 22~28일 주간 세계 M&A 건수는 521건으로 2005년 이래 최저수
ㅇ 코로나 관련 도산 31건(법적 정리 14건, 사업 정지 17건)
- 지역별로는 북해도, 관동, 관서 지역이 각 5건으로 최다. 산업별로는 관광 관련업 13건, 요식업 10건 등
(자료: PRTIMES)
5. 동남아 대양주
ㅇ (베트남)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 49.0→41.9 로 급락
ㅇ (인도네시아) 인근국 봉쇄로 자동차 수출 급감 예상 (자료: 재무부)
ㅇ (싱가포르) 6개월 경기전망 지수 2009년 이후 최저 (자료: Chanel News Asia)
ㅇ (필리핀) 1분기 부동산 수요 전년대비 47% 감소 (자료: Business World)
ㅇ (호주) 3월 자동차 판매대수 전년대비 18% 하락 (자료: 현지 언론)
6. 서남아
ㅇ (인도) 자동차 업계 지난달 내수 판매량 급감 (자료: The Guru)
- 일용소비재 업계, 인력·운송 애로로 공급 차질 (자료: Live Mint)
7. 중동
ㅇ (사우디) 사우디-러시아 감산합의 책임론 공방, OPEC+ 회의 연기
- 트럼프 대통령, 수입산 원유 관세 부과 가능성 언급
8. 중남미
ㅇ (멕시코)
- 4.2일부터 멕시코시티 내 비닐봉투 사용 재허용 (자료: Infobae)
- 기업인협회, 국내 77%의 영세, 중소기업이 2개월 이내 조업 중단할 것이라고 전망(영세, 중소기업이 전체 고용의 75%) (자료: El Financiero)
- 전국 차량보호 및 추적협회, 차량도난 30~50% 증가 전망 (자료: Expansion)
9. 아프리카
ㅇ (남아공) 3월 외국인 국채보유 비율 34%로 감소, '16년 2월(33.6%) 이래 최저 수준으로 하락
- BNP Paribas, 금년 남아공 경제성장률 4% 감소 전망 (자료: Business Day)
ㅇ (탄자니아) 원예산업협회, 국제항공편 축소로 수출감소 대책마련 호소 (자료: Citizen)
10. CIS
ㅇ (카자흐스탄) 재택근무 소프트웨어 무료 배포
- 통신사 Kazaktelecom, IT기업 QazCloud는 S/W개발사 Cisco와 협력해 재택근무 플랫폼 Cisco Meeting Server 무료 배포예정 (자료: forbes.k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