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글로벌 동향
1. 중국
ㅇ 글로벌 불안정→달러수요 확대→위안화 절상·증시 하락
- (환율절상) 같은 기간 위안/달러 환율 1.6% 절상(6.94위안→ 7.05위안)
- (증시하락) 최근 9일간(3.10~19일) 등락율 : 상하이종합 △9.8%, 선전종합 △10.8% (자료: 증권거래소, 인민은행)
ㅇ 수출환급세율 상향 조정 통한 수출기업 지원
- 주요 1,084개 품목(도자기, 위생용품 등)의 수출환급세율 13%로 상향
- 식물 성장촉진제 등 380개 항목 제품 환급세율 9% 상향 (자료: 재정부, 세무총국)
ㅇ ‘중소기업 디지털화 지원 액션플랜’ 발표
- △정보기술 활용, △온라인 업무·교육 강화, △공급체인·산업-금융연계 디지탈 플랫폼 확충, △네트웍·컴퓨팅·안전 등 디지탈서비스 강화 등 (자료: 공업정보화부)
ㅇ 자동차·가구·가전 소비 진작책 검토 중
- 자동차 구매제한 완화, 전자제품 교체(以舊換新) 등 조치 예정
- 각 지방정부의 바우처·상품권 발행 등 소비촉진책 독려 (자료: 상무부)
ㅇ 시장감독관리총국 등 11개 부처, 허위광고 단속 합동기제 출범
- 건강식품·의료·부동산·금융상품·방역제품(마스크) 중점 단속
ㅇ 新소비 육성, 양로·육아서비스 공급 확대, 3~4선 도시·농촌 소비수요 발굴 조치 통해
소비성장 촉진 (자료: 국가발전개혁위원회)
ㅇ 재정금융지원·세수우대 정책, 5G망 구축 등 신인프라 건설 강화를 골자로 하는
디지털문화관광산업 육성책 발표 (자료: 문화여유부)
ㅇ (정저우) 허난 EMS, 3.18일부 정저우-서울 노선(주1회)을 시작으로
국제화물 정기 항공편 운행 개시 (자료: 정저우시정부)
ㅇ (우한) 봉쇄령 후 일일 신규확진자 최초 0명 기록 (자료: 후베이성정부)
ㅇ (대만) 행정원 주계총처장, “7월까지 사태 지속 시
올해 경제성장률 0.6~0.9%p 하향조정 가능성. 2%대 달성은 무리 없을 듯”
- 반면, 외국계 금융기관들은 올해 대만 경제성장률을 1%대로 하향조정한 상황
(스탠다드차다드銀 1.9%, ING銀 1.8%, ANZ銀 1.6%) (자료: 경제일보)
2. 북미지역
(1) 미국
ㅇ 백악관, 식품의약국에 코로나19 치료에 말라리아 치료제 적용 가능성 조사 지시 및 抗말라리아 의약품 처방 기대
* 식품의약국(FDA)은 ‘클로로퀸’을 코로나19 치료용으로 신속 승인 (자료: CNN)
ㅇ 국무부, 여행경보 최고등급인 4단계(Do Not Travel)로 격상하고 미국인들의 해외여행을 사실 상 금지 (자료: CNN)
(2) 캐나다
ㅇ 캐-미국 국경폐쇄, 금요일(3.20) 밤부터 시행
- 프랑스 정박 예정인 Costa Luminosa 크루즈에 탑승한 77여명의 캐나다인 지원 준비 (자료: CBC News)
ㅇ (온타리오주) 4월 30일까지 주립 공원 전면 폐쇄 결정
- 감염자 증가로 주 내 간호사의 보호장비 부족 문제 심각 (자료: CBC News)
3. 유럽지역
(1) 이탈리아
ㅇ 콘테총리, 3.10일 발효된 이동제한령 더 연장 가능성 언급
ㅇ 유럽중앙은행, 7,500억유로 규모의 비상구매전략(PEPP) 시행 발표, 연말까지 지속가능성 (자료: il sole 24 일간지)
- 3.18일(수)부터 26세 미만의 자녀 3명 이상인 가족은 할인 및 세금 감면 혜택의 가족복지카드 요청가능
(자료: ISTAT, 통계청)
ㅇ 아마존,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미국과 유럽 지역 필수상품 우선순위 공급결정, 나머지 일반상품 임시중단
(4.5일까지)
(2) 프랑스
ㅇ 프랑스 정부, ‘국가위생비상사태’ 법안 입법 예고
* 이동제한 강화, 징발명령 위반 처벌, 전문위원회 구성 등
ㅇ 경제부 장관, 에어프랑스-KLM과 같이 현재 재정위기에 처한 대기업 구제 위해 국유화 조치 가능 시사
ㅇ 프랑스 금융감독기관(AMF) 금융시장 폭락세에 대한 조치로 1달 간 공매도 금지
* 3.18~4.16까지 에어프랑스-KLM, BNP파리바, 르노 등 대기업과 금융기업주 92개 대상
(자료: 일간지 르몽드, 레제코)
(3) 독일
ㅇ 국방장관, 연방군이 의료지원 및 주요 인프라 보호 지원 준비
ㅇ 교통부장관, 야간비행금지 조치완화 발표, 프랑크푸르트, 뒤셀도르프, 베를린 테겔공항 이에 따라 완화조치 시행
(4) 영국
ㅇ 런던 10개 역 지하철 역 폐쇄
- 런던교통국, 필수가 아닌 경우 교통 이용 자제 권고
(자료: BBC 뉴스, 정부사이트 gov.uk, tFL)
(5) 그 외 유럽지역
ㅇ (오스트리아) 코로나19 피해 최소를 위한 340억 유로 규모의 2차 정부지원 대책
(1차 40억 유로 포함 총 380억 유로)
- 90억 유로 : 대출금에 대한 지급 보증 규모 확대
- 150억 유로 : ‘특별히 큰’ 타격을 입은 산업부문에 대한 비상 지원
- 100억 유로 : 세금 납부 유예 (자료: 오스트리아 재무부, 내무부, 외무부)
ㅇ (그리스) 코로나19로 인해 피해를 받은 자영업·관광업·기업 보상 및 경기 활성에 필요한 경기부양정책 발표
(자료: 그리스 보건부 및 현지 언론)
ㅇ (슬로바키아) 슬-헝 국경 통행 제한 완화, 국경 반경 30km 이내 거주 또는 직장소재시, 출퇴근을 위한 국경 통과허용, 의무자택격리 면제
ㅇ (세르비아) 모든 상업용 항공교통 운영 잠정 중단
- 베오그라드 니콜라 테슬라 국제공항, 니쉬 공항 통한 국경 이동 잠정 중단
(자료: 세르비아 건설교통인프라부)
ㅇ (루마니아) 코로나 위기 극복 경제 지원 정책 발표
* 중소기업 대출 보장 상한선을 50억RON(약10억4천만 EUR)으로 증가 등 (자료: 루마니아 정부)
4. 중동지역
(1) 이란
ㅇ 코로나19 확산 방지 차원의 준봉쇄 조치 단행
- 학교·상가·사업장 폐쇄, 수감자(약 8만5천명) 3주간 일시 출소 (자료: IRNA)
(2) UAE
ㅇ UAE 거주비자 소지 외국인도 2주간 입국 금지
- 자국민은 별도공지시까지 해외여행 금지 (자료: 현지언론)
(3) 사우디아라비아
ㅇ 재무부, 2020년 정부 지출예산 5% 삭감
- 중앙은행(SAMA), 기준금리 1.75% → 1%로 인하 (자료: 사우디 정부)
(4) 오만
ㅇ 중앙은행(CBO), 80억 OMR($208억) 규모 경기부양책 발표
- 향후 6개월간 중소기업 대출분납 연기요청시 수락 (자료: 오만정부 및 Oman Observer)
(5) 터키
ㅇ 그리스, 불가리아 국경 임시 폐쇄에 따른 육로, 철도 운항 중단 (자료: 정부 발표)
(6) 튀니지
ㅇ 대통령 대국민 담화 발표
- 야간 통행 금지(18시~6시) 시행 및 불가피한 상황에만 외출 권고
5. 일본
ㅇ 일본은행, 국채 1조엔 규모 긴급매입 실시
- 장기국채 금리상승 억제를 위한 1조엔 규모 공개시장조작 시행 (자료: 닛케이신문)
ㅇ (교토시) 중소기업 관광사업자 대상 1억엔 긴급지원책 마련
- 중소기업 지원 위한 전문인력 증원(5,500만 엔) 및 관광사업자 지원금
(4,500만 엔) 추가 확보 예정
(자료: 마이니치신문)
ㅇ (나가사키현) 민간 의료기관 2곳에 감염검사(PCR) 위탁
- 현내 1일 최대 검사건수 50건에서 130건으로 늘어날 전망
6. 동남아대양주
ㅇ (베트남) 외국인에 대한 차별 대우 금지 권고
- 푹 총리, 관광업계 외국인 서비스 거부에 대한 우려 표명
(자료: Hanoi times)
ㅇ (싱가포르) 모든 입국자 대상 14일간 자가격리 조치
(자료: 정부 발표)
ㅇ (미얀마) 모든 외국인 비자발급 중단
(자료: 미얀마 외교부)
ㅇ (인도네시아) 주식시장, 연초 대비 34.76% 폭락
(자료: 인니 증권거래소)
ㅇ (호주) 외국인 입국 전면금지
ㅇ (태국) 모든 전시회 개최 일정 9월까지 연기
(자료: Bangkok Post)
7. 인도
ㅇ 모디총리 대국민 담화문 발표
- 필수업종 제외 재택근무, 60세이상 자가격리, 일요일 통행금지 등
8. 중남미
ㅇ (에콰도르) 국가재난위험관리청장, 확진자가 날마다 10~20%증가하고 있다고 발표
- 농림축산부, 수출 부문에서만 3억 달러 손실 발표
(자료: 에콰도르 정부 및 현지 언론)
ㅇ (칠레) 3개월 간 고용소득세 납부의무 면제 등 경기부양책 발표
ㅇ (멕시코) 생활고를 겪는 저소득 고령자를 위해 차주 총 16억 달러 규모의 지원금을 지급하기로 함
- 멕시코시티 국제공항은 주요 감염국발 비행기 착륙 시 기내 의심증상 승객이 있을 경우, 활주로에서 의료진을 동원해 승객 전원에 대한 검역 강화
(자료: El Universal)
ㅇ (브라질) 대통령, 코로나19로 인한 기업 해고 방지 방안으로
노동자 근무시간 단축, 급여 삭감 허용 발표
- 한편, 동 조치에 반대하는 국민들은 전국 각지에서 냄비를 두드리는 시위를 통해 정부 정책에 반대 의사를 표함
ㅇ (파나마) 시장안정을 위해 12억 5천만 달러의 유동성 공급
- (기업)세금 납부 및 대출 상환 기간 연장 추진
- (개인) 주택 및 자동차 담보 대출상환 기간연장 추진 등
(자료: 파나마 보건복지부)
9. 아프리카
ㅇ (나이지리아) 대통령 직속 코로나19 대책위, 확진자 1,000건 이상 발생 국가발 여행자들에 대해 입국금지 조치 발표
ㅇ (탄자니아)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에 따라 모든 공개모임 금지
10. CIS
ㅇ (러시아) 모스크바시장, 코로나19 확산방지 권고안 발표
- 임시휴교(3.21일~), 극장·박물관 임시폐쇄, 휴교한 자녀 둔 여성직원 재택근무 우선도입 권고
- 해외 체류 러시아인 10만명 이사아 추산. 순차적 귀국조치 및 국경 봉쇄시 정부차원의 대책 마련 중
ㅇ (카자흐스탄) 알마티 내 확진자 발생 아파트 전체 격리 실tl
ㅇ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의심상황 발생시 즉시 전문가 도움을 받을 것 당부,
SNS 가짜뉴스 전파 처벌, 피해분야 지원조치 등 내용 발표
ㅇ (키르키즈스탄) 최초 확진자 발생, 모든 외국인 입국금지
□ 해외 현지 기업 동향
1. 중국
ㅇ 중국 석화, 무접촉 방식으로 3만 여개 주유소 서비스 제공, 전용 앱,
위챗 공식계정으로 온라인 주문 및 결제 가능
(자료: 신화망)
ㅇ 베이징 유니버셜 리조트 전면 조업재개, 현장 공사 총 인원 1.4만 명 이상, 4~6명 단위 숙소배정,
현장 방역 엄격 시행
(자료: 중국청년보)
ㅇ 산동항만그룹 산하 항구 관련 기업 전체 조업 재개, 선박의 출항 횟수 및 컨테이너 유동량 점차 증가
- 칭다오항, 컨테이너 작업 24시간 추진 등 생산 프로세스 정상화 추진
(자료: 신화망)
ㅇ (홍콩) 알리페이 홍콩, 코로나19 이후 알리페이를 통한 공과금 납부 증가로
’20년 2월 거래액 작년 12월보다 20% 상승
(자료: The Standard)
2. 북미지역
(1) 미국
ㅇ 전 세계 인공호흡기 공급 부족현상으로 Medtronic, Philips, Draegerwerk, Geringe사들이 최대 증산체제 돌입
- Ford·GM도 생산시설을 활용한 인공호흡기 생산방안을 강구 중
- 전미소매협회, 백악관에 물류센터·트럭쉼터·펫 스토어(pet store)의
영업 재개 조치 요구 서한 발송
- Amazon, 온라인 쇼핑 수요 급증으로 당분간 식료품 및 생활용품 배송 서비스인
Prime Pantry 중단 (자료: WSJ, CNBC)
(2) 캐나다
ㅇ VIA Rail(국영철도) 동부지역 노선 50% 감축운영 (자료: Railway Technology)
3. 일본
ㅇ 조지루시(조리가전), 광둥성 선전시 생산공장 50% 가동으로 밥솥 및 전기포트 등 수입 정체
(자료: 일본경제신문)
ㅇ 닌텐도, 일본 국내용으로 중국에서 생산하는 주변기기 생산 및 출하 지연.
실내피트니스게임도 당분간 출하 지연 예상
ㅇ 도요타, 프랑스·포르투갈 이어 유럽 소재 5개 공장(영국·폴란드·체코·터키) 추가 휴업결정. 재개시기는 미정
(지료: 일본경제신문)
4. 중동지역
(1) 모로코
ㅇ 르노, PSA 등 완성차 생산 가동중단
(자료: 모로코 월드뉴스, 야빌라디 뉴스)
5. CIS
(1) 러시아
ㅇ KFC, 매장 내 취식 전면 금지, 포장만 가능
(자료: Lenta)
□ 해외 현지 비즈니스 환경 동향
1. 중국
ㅇ 1~2월 온라인 상품 판매 증가율 전년동기비 3.0% 증가,
(전체 소매판매는 △20.5%). 전체 소매판매액 대비 비중은 21.5%
- 온라인 주문중 ‘비접촉 배송’ 비중, 액수 기준 80%, 건수 기준 66%
(자료: 국가통계국)
ㅇ 개인PC 시장, 교체 및 재택근무 수요로 3월부터 호황
- 올 2분기 Windows 노트북 핵심부품 출하량 20~30% 상승 전망
(자료: 티엔펑국제)
ㅇ 코로나 예방차원 건강차(생강차, 유자차 등) 인기
- 기침 방지, 감기 예방을 위한 차 종류
ㅇ 알리페이(支付宝), 디지털 생활 플랫폼으로 업그레이드. 스타벅스, KFC 등 브랜드 및 백화점과 협력, 상하이, 베이징 등 12개 도시에서 4.6일까지 "도시생활주간(城市生活周)"프로모션 진행
2. 유럽지역
ㅇ (프랑스) 100여개 프랑스섬유생산 공장 자발적 가동 중
ㅇ (네덜란드) 주요 은행들(ABN Amro, ING, Rabobank, the Volksbank, Triodos) 중소기업 대상,
최대 250만 유로에 한해 6개월의 채무상환 유예 결정, 주택거래 침체에 영향
ㅇ (스웨덴) 스톡홀름 증시 폭락, 트럭생산업체 Scania사, 다음주 유럽내 전 생산라인 가동중단 발표
3. 북미지역
ㅇ (미국) 전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 위원장 케빈 하셋, 3월 한달 간 100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고 경고
-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누구도 그런 일이 일어날 것을 믿지 않는다”며 하셋의 의견에 동의할 수 없음을 밝힘
- Capital Economics, ’20년 2분기 주택판매 ‘19년 4분기 대비 35% 감소 예상
(자료: CNN)
4. 일본
ㅇ 교토 간이 숙박업 연맹 설문조사 결과 숙박시설 40% 이상 폐업 검토
-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교토시내 간이 숙박업소의 약 40%가 전년 동월비 80%의 수입 감소에 직면. 폐업에 대해 이미 결정 또는 검토 중
(자료: 교토신문)
ㅇ 규슈지역 2월 외국인 입국자 수, 전년대비 70% 감소(`19년 29만명, `20년 10만명). 매주 후쿠오카공항 및 기타 규슈공항을 왕래한 항공편 266편도 현재 전체 결항 중
(자료: 큐슈아사히방송)
5. 동남아대양주
ㅇ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수도권 철도이용객 32% 감소
ㅇ (말레이시아) 이동제한조치 중 제조업 가동 조건부 허가
* 식품, 농수산물, 제약, 의료기기, 석유화학, 전자제품, 반도체 등
ㅇ (인도네시아) 업계, 대통령에 도시 봉쇄 요청 *현지 언론 종합
- 최대 명절인 이둘 피트리(Idul Fitri) 전에 코로나 19 확산
ㅇ (호주) 출입국 제한 등으로 호주 항공사 경영위기
- 국적기 Qantas 3월말부터 모든 국제선 운항중단
(자료: 호주 현지 언론)
6. 서남아지역
ㅇ (인도) 의약품 수출 재개 검토
- 원료 부족을 우려해 26종 원료 의약품 당초 수출제한
7. 중동
ㅇ (오만) 상공부, 스마트폰 앱(Shop From Home) 사용 장려
- 식당, 식료품, 카페 등과의 거래에 활용 (자료: Oman Observer)
8. 아프리카
ㅇ (나이지리아) 코로나19 확산 및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 정부 예산 감축 시사
- 재무부, 석유부, 중앙은행 등 주요기관 출석, 대책강구 예정
- 나이지리아 석유생산 원가 배럴당 30달러이나, 유가 30달러 이하로 떨어져 막대한 재정적자 우려
(자료: The Guardian)
9. 중남미
ㅇ (멕시코) 아우디, 혼다, 포드 멕시코 내 생산 공장 가동 중단 결정, 멕시코 경제성장 및 수출실적에 타격 전망
(자료: Informador)
10. CIS
ㅇ (벨라루스) 소규모 수입업자, 수입 차질로 사업 위기 봉착
- 내륙국 벨라루스 주변 5개국과 국경폐쇄 및 여러 EMS 항로 중단 등으로, 소위 보따리상들은 파산 위기에 봉착
'글로벌 비즈니스현황&코로나 바이러스 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국 정부, 코로나19 대응 포함한 2020/21 예산 발표 (2) | 2020.03.25 |
---|---|
코로나19가 멈춰 세운 독일 자동차산업 (1) | 2020.03.24 |
코로나19, 美 소매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1) | 2020.03.16 |
日 싱크탱크 3개사가 예측한 코로나19의 일본경제 영향 (0) | 2020.03.13 |
코로나19가 남아공 경제에 미치는 영향 (0) | 2020.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