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크라이나, 아직까지 국내 확진자는 없으나 확산에 대한 공포감은 매우 커 -
- 코로나19 확산, 우크라이나 경제에 직접적인 타격 없을 것 -
□ 우크라이나의 코로나19 현황
ㅇ 우크라이나 내 코로나19 확진자 0명, 우크라이나 국적자 3명 확진
- 해외에서의 우크라이나 국적 코로나19 확진자 총 3명
- 일본 정박 크루즈선 탑승자 2명 외에 이탈리아 방문 우크라이나인 1명 확진(2.26일), 이탈리아 내 병원에서 치료 중
□ 우크라이나 정부의 대응
ㅇ (여행경보) 2.27일, 우리나라 대구 및 경북 청도 지역에 대한 '여행자제' 권고하는 보도자료 공표
우크라이나 정부에서 발표한 여행자제 권고 지역
① 한국(대구 및 경북 청도 지역)
② 중국(전지역)
③ 이란(Teheran, Kum, Arak, Gilan)
④ 이탈리아(Lombardy, Veneto, Emilia Ronagna, Piedmont)
자료 : 주우크라이나 한국 대사관
ㅇ (검역 강화) 2.25일, 모든 우크라이나 입국자 대상 발열 검사 실시 계획 발표
- 그 동안 키예프 보리스필 국제공항에서 중국발 방문객 대상으로만 체온검사를 실시해 왔으나, 최근 이탈리아 내 확진자가 증가함에 따라 줄리아니
국제공항, 서부 국경 검문소 등에서 국경을 넘어오는 방문객 대상으로도 체온 검사 실시
- 장비부족 등 현실 여건상 모든 입국장에서의 전수 점사는 아직 미시행. 점진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보임
- 입국 시 발열, 콧물 등 코로나19 증상 발견 시 병원으로 이송되어 검사하고, 검사결과에 따라 조치내용 상이함.
ㅇ (자국민 대피) 2.20일, 우크라이나 정부는 우한 및 허베이성 거주 자국민을 귀국시킴.
- 현재 폴타바州에 위치한 의료시설에 2주간 격리 중
ㅇ (입국 및 화물 운송 제한) 공항 및 국경수비대 확인 결과, 코로나19 발생국 발 방문자 또는 화물운송에 대한 제한조치는 없음.
- 최근 중국으로 향하는 화물운송이 2.26일까지 일시 중단된 바 있으나, 중국행 운송수단 노선의 축소로 인한 문제일 뿐
중국과의 화물운송에 대한 제재조치는 아닌 것으로 확인됨.
□ 우크라이나 경제에 대한 코로나19의 영향
ㅇ 2.27일, 드미트리 솔로굽 우크라이나 중앙은행 부은행장은 현지 언론(Ura-Inform)과의 인터뷰를 통해 코로나19의 확산이
아직 우크라이나 경제에 문제를 일으킬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밝힘.
- 아울러, 중국으로 수출하는 품목 중 절반 이상이 곡물 및 농산물이며 중국 뿐만 아니라 세계 시장에서도 해당 품목에 대한 수요가 줄지 않았다며
코로나19가 우크라이나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미미하다고 확언함.
ㅇ 코로나19로 인해 화물운송, 물류와 관련된 문제가 있었으나, 해당 문제는 현재 해결되었음.
- 우크라이나 우체국 Ukrposhta, 2.26일부로 중국행 화물 운송 재개
ㅇ 또한, 티모페이 밀로바노프 우크라이나 경제통상 및 농업개발부 장관 역시 현지 언론을 통해 코로나19가 우크라이나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은 없다고 밝힘.
- 오히려 중국산 제품이 점유하고 있지 못한 틈새시장에 있어서 우크라이나 기업에게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덧붙임.
□ 중국과 거래 중인 우크라이나 바이어 대상 설문
ㅇ 키예프 무역관에서는 중국과 직접 거래를 하는 우크라이나 바이어들과의 설문을 진행하여 코로나19가 중국과 직접 거래를 하는
현지 바이어들과 비즈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음.
- A사(애완동물 자동급식기 취급 업체) : 중국 내 공장들이 가동을 중단하여 중국으로부터 물품을 수입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따른 금전적 손실과 잠재적 고객을 잃고 있다. 공장가동이 언제 다시 재개될지에 대한 정보도 없다.
현재로서는 코로나19가 지나가길 기다리고 있으며, 중국 측 기업과의 협력을 유지할 계획이다.
- B사(자동차 부품 취급 업체) :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손실을 보고 있다. 일부 제품들을 중국으로부터 납품받고 있는데 공급이 중단되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산 제품으로 즉각 대체하기 보다는 코로나19의 상황을 지켜볼 예정이다.
□ 시사점
ㅇ 코로나19 관련 우크라이나 보건복지부 등 정부 부처의 발표에 따르면, 현재까지 우크라이나 내 확진자는 없으나
이탈리아를 비롯한 유럽 각지에서도 확진자 수가 급증하고 있음.
- 특히 이탈리아를 비롯한 유럽의 경우 직항 노선이 많으며, 많은 우크라이나인들이 유럽에서 노동력을 제공하고 있어 왕래가 잦음.
ㅇ 우크라이나 정부는 코로나19 진료가능 병원 리스트를 아직 공개하지 않았고, 키예프 시정부가 2.27일 공개한 진료가능 병원 리스트를
살펴보면 성인용 3개, 아동용 3개 총 6개 병원으로 진료가능 병원의 수가 상당히 부족함.
ㅇ 국내 언론에도 공개된 바와 같이, 우한 및 허베이성에서 자국민을 송환시키자 약 1만명으로 구성된 시위대가 이들을 싣고
격리병원으로 향하는 버스에 횃불과 돌로 공격하는 시위가 발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의료시설 및 장비의 결핍으로 대응이
어려운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이 더욱 크게 표출된 것으로 판단됨.
ㅇ 상반기 중 우크라이나 출장 예정이던 국내기업 역시, 바이어 측 요청으로 연기 또는 취소되는 사례가 늘고 있어
KOTRA 키예프 무역관에서는 출장 및 대면상담을 화상상담 서비스로 전환하여 지원할 예정임.
'글로벌 비즈니스현황&코로나 바이러스 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교부) 코로나19 확산 관련 한국발 입국자에 대한 조치 현황 (0) | 2020.03.10 |
---|---|
코로나 19가 프랑스 산업에 미치는 영향 (0) | 2020.03.10 |
코로나19 영향에 대한 일본기업 인터뷰 (0) | 2020.03.09 |
이탈리아, 코로나19로 관광 및 서비스업 침체 우려 (0) | 2020.03.06 |
코로나19로 독일 산업 및 중국 진출 독일 기업에 부정적 영향 가시화 (0) | 2020.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