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ed accelerator, 또는 Startup Accelerator로 불리우는 새로운 형태의 스타트업 투자.육성 기관(또는 프로그램)이다.
미국의 Y-Combinator를 액셀러레이터의 시작점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며, 아직 새로운 형태의 조직임에 따라 그 정의와 개념은 다음과 같이 정리되고 있는 중이라고 할 수 있다.
정의 및 개념
대한민국의 경우 2016년 창업지원법 개정을 통한 일명 액셀러레이터 법”에 따른 정의는 다음과 같다.
“액셀러레이터(창업기획자)란 초기창업자 등의 선발 및 투자, 전문보육을 주된 업무로 하는 자로서 중소기업청장에게 등록한 자로 정의함(안 제2조).” 학문적 또는 사회적 입장에서 액셀러레이터에 대한 정의는 비교적 짧은 탄생의 역사와 해당 기관들의 활동지역, 운영 행태, 설립 목적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통일된 개념이 정립되지 않았으나, 아래와 같은 여러 개념정의 시도들이 존재해 왔다.
“데모데이를 마지막으로하며 정해진 기간 동안, 기수 기반으로 진행되며 멘토링과 교육과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Fixed-term, cohort-ased programs, including mentorship and educational components, that culminate in a public pitch event or demo-day) – 최초의 연구문헌적 정의(Cohen and Hochberg, 2014)
“유망기업에 Seed단계의 투자를 제공하여 일부 지분을 취득하고, 데모데이를 마지막으로 하는 멘토링과 교육 세션이 정해진 기간 동안 기수기반으로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사업기관”
(Business entities that make seed-tage investments in promising companies in exchange for equity as part of a fixed-term, cohort-based program, including mentorship and educational components, that culminates in a public pitch event or demo day)
– 연방중소기업청(SBA)의 정책 보고서(by Dempwolf, Auer et al. 2014)
“성공한 벤처인이 자신의 성공 노하우, 투자재원을 활용하여 스타트업을 발굴·투자하고, 6개월 내외의 짧은 기간 동안 실전 창업교육과 전문 멘토링을 지원하여 창업 성공률을 높이고 성장을 가속화(accelerating)시키는 민간 전문기관 또는 기업”
– 엑셀러레이터 연합체 ALF(Accelerator Leaders Forum)
주요 특징
| 주로 영리 기반 목적으로 운영 | 고성장이 예상되는 기술기반의 초기기업 | 인터넷관련 ICT,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소셜 네트워킹, 게임, S/W 분야 위주 | 젊은 남성이 다수 | 높은 경쟁 기반 선정 | 기수(Cohort)기반 + 주기적 선발 | Local + Global | 3~6개월 기간 | 신속한 아이디어 검증 | 멘토링/선배창업가/고객 연결 + Pitching 준비 + 투자자 연결 | 의무적 멘토링 (자주, 다양한 멘토) + 교육과정 | 보육 기간 중에는 On-site 제공하기도 함 + 공동 작업 공간 및 회의 공간을 제공 | 투자(O), 수천만원 수준 | 기관 내부의 프로그램 방식으로 운영 | 투자 수익 |
'일상 > 스타트업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BC 분류 | ABC Classification (0) | 2019.10.27 |
---|---|
A/B Test (0) | 2019.10.27 |
3Fs(Family, Friends, Fools) (0) | 2019.10.26 |
Audit Report | 감사보고서 (0) | 2019.10.26 |
Asset Under Management(AUM) | 총 운용자산 (0) | 2019.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