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관련 주요 정책 및 경제 동향
1. 북미
ㅇ (미국)
-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코로나19 감염(의심)자 투표소 방문 및 현장 투표 가이드라인 업데이트 (자료: CNBC)
- 래리 커틀로 백악관 경제고문, “유럽 각국의 재봉쇄는 잘못된 정책 판단”
- CARES Act. 추가 실업수당(주 600달러) 지급 종료(7월) 이후 실직자들 재정 취약성 50~100% 상승 (자료: 하버드-조지워싱턴-옥스퍼드大 연구결과(19,010명 조사), CNBC)
- 스캇 코틀리브 前 식품의약국장, 코로나 사태 악화로 일정기간 동안 코로나19 사망자 수 일일 1천명 이상 전망 (자료: CNBC)
ㅇ (캐나다)
- 연방정부, 2021년~2023년 신규 이민 계획 발표…코로나19로 침체된 경제 회복을 위해 이민 문호 추가 개방, 연 40만명 이상 수용 예정 (자료: CTV News)
- 보건부, 11.8일까지 전국 확진자 수 최대 26만 2,100명, 사망자 수 최대 1만 400명 전망(코로나19 예측 모델링 분석) (자료: CTV News)
- 토론토市, 조건부(방역지침 강화) 식당 실내영업 재허용 방안 모색 중 (자료: CP24)
- 브리티시컬럼비아州 보건부, 확진자 증가세로 역학조사관 추가 고용 (자료: CBCnews)
* 연방정부의 확진자 추적앱 유용성이 없다고 평가
2. 유럽
ㅇ (유럽) 10월 유로존 제조업 PMI 54.8로 전월(53.7)비 증가, 2018년 7월이래 최고치
* 독일(9월 56.4→ 10월 58.2, 31개월래 최고치)·프랑스(9월 51.2→ 10월 51.3) 신규주문지수 증가 영향으로 증가했으나, 최근 봉쇄조치 재도입으로 경제회복 전망 불투명(이탈리아 53.1→ 53.8 / 영국 54.1→ 53.7) (자료: IHS Markit)
ㅇ (프랑스)
- 파리市, 락다운 조치 미준수 사례 증가로 신규 야간통금 검토 중 (자료: Independent)
- 코로나 확진자 급증으로 북부 지역 환자 독일로 이송 계획 검토 (자료: FHF 병원연합)
ㅇ (영국) 11.6일부 리버풀市 거주자 전원 대상 2주간 대규모 코로나 진단 (자료: FT.com)
ㅇ (독일) 정부, 무역박람회 홀 및 공항터미널 등을 백신센터로 활용 예정 (자료: Reuters)
* 정부, 내년 초 백신 생산 목표로 11.10일까지 16개 지역에 백신 생산 및 배송 시설 60개 지정 의무
3. 중화권‧일본
ㅇ (중국)
- 국무원, 신에너지車 장기계획*(2021~2035) 발표…5년 내 판매비중 25% 달성 목표
* 보급 확대, 핵심 부품/기술 확보, 수소차 발전 가속화, 산업체인 구축 등 (자료: 중국정부망)
- 티몰 글로벌, 국경 연휴기간(10.1~7) 매출 79% 급증 (자료: 억방동력)
ㅇ (대만)
- 경제부, 영구거류증 취득 외국인 대상(약 1만3천명) 소비쿠폰(연말까지) 발급 고려 (자료: 경제일보)
- 노동부, 무급휴가 지원금(1인 최대 연말까지 6개월간 지급) 6개월 연장 검토 (자료: 자유시보)
4. 동남아‧서남아‧CIS
ㅇ (필리핀) 일자리 창출법(옴니버스법*) 공포안 대통령 서명(11.2) 후 공포
* 70개 법률 1,200개 조항 일괄 개정 / 일자리 창출, 투자유치, 규제개혁 등 핵심 내용 포함
ㅇ (베트남) 총리, 내년에도 외국인 입국기준 지속…코로나 경계태세 유지 (자료: Hanoitimes)
ㅇ (말레이시아) 총리, 사교, 체육 활동에 대한 표준운영지침(SOP) 강화 지시
ㅇ (인도) 10월 제조업 PMI 지수 58.9로 전월(56.8)비 상승 (자료: IHS Markit)
ㅇ (러시아) 산업부, 마스크 수입금지 법안발의, 국내 생산량 감축 시사
* 재고 누적(1.4억개)
ㅇ (우즈베키스탄) 5천명 대상 중국산 코로나 백신 임상 3상 진행 예정 (자료: gazeta.uz)
ㅇ (카자흐스탄) 무비자 입국 중단조치 연장(’20.10.31→ ’21.4.30) (자료: tengrinews.kz)
5. 중남미‧중동‧아프리카
ㅇ (브라질) 상파울루 국립‧사립 중‧고교 대면수업 재개 / 상파울루州, 중국산 코로나 백신 의무 접종 반대 시위(11.1) (자료: G1, EXAME)
ㅇ (아르헨티나) AstraZeneca, 내년 3월 백신 대량 생산 가능 전망(아르헨티나 포함), 정부 12월중 러시아산 코로나 백신 1천만 개 구입 예정 (자료: infobae, eltribuno)
ㅇ (멕시코) CanSinoBio(中), 멕시코 1만~1.5만명 대상 코로나 백신 3상 시작
ㅇ (파라과이) 11.2일부 고등학교 3학년 등교수업 가능(최대 인원 16명) (자료: ultimahora)
ㅇ (UAE) 두바이 통치자(부통령 겸 총리), 중국산 코로나19 백신 접종 / 중앙銀, 코로나 경기부양책 일환 기업 10만개사 30만명에 대출 연기 (자료: WAM, Khaleejtimes)
ㅇ (요르단) 총선(11.11) 이후 11.15일까지 전면 통행금지 실시
ㅇ (남아공) Aspen Pharmacare(제약), Johnson&Johnson 개발중 백신 현지 생산 계약 초안 서명 / 하우텡州, 항체검사 목적 가정 방문 예정 (자료: News24, Business Day)
ㅇ (수단) 유가 5배 긴급 인상으로 대중교통 요금 인상 / 카르툼 지역 중심 시위 지속
'글로벌 비즈니스현황&코로나 바이러스 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금 실리콘밸리의 화두는 ‘건강한 정신’ (0) | 2020.11.09 |
---|---|
코로나19 글로벌 및 비즈니스 동향 (0) | 2020.11.09 |
코로나19 글로벌 및 비즈니스 동향 (0) | 2020.11.04 |
코로나19 싱가포르 경제 동향 및 전망 (0) | 2020.11.03 |
코로나19가 불러온 불면증, 美 수면보조제 시장이 뜬다 (0) | 2020.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