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월까지 총 65만 2000테스트 실시, PCR 중심이되 항체키트 수요 상존 -
- 현지진출 시 CE-IVD, 높은 정확도, 유통업체 발굴이 쟁점 -
□ 상품명, HS code(6단위)
ㅇ 상품명: 진단키트(의료기기)
ㅇ HS code: 382200
□ 시장동향
ㅇ 확진자 추이: 7월 17일 기준 총 3만 3290명 양성 판정. 4월 27일 록다운 완화 이후 확진자 증가 우려되는 중
- 3월 23일 1530명 양성반응, 고점을 기록하고 4– 6월 말 평균 131명 수준으로 감소
- 6월 19일 추가 록다운 해제(행사 및 파티허용) 이후 소폭 증가, 2차 감염 확대가 우려되는 중
관련 기사
기사내용 |
신문사/링크 |
감염자 취리히 클럽 방문으로 현재 취리히시 내 636명 자가격리 조치 중. 확진자 재확대로 2차 감염확산 우려(2020.6.30.) |
Tagesanzeiger/링크 |
올튼(Olten)시 식당 방문 중 1명 확진자로 밝혀져 27명 자가격리 조치 중(2020.6.30.) |
Sudostschweiz/링크 |
연방정부, 6월 25일부로 테스트 비용 전액 부담키로 발표(2020.6.24.) |
Nau.ch/링크 |
자료: 각 언론사
ㅇ 코로나19 진단 현황
- 7.8. 기준 누계 65만 2413테스트 실시, 양성반응 비중 6%, 연방정부는 PCR 테스트만 집계
- World O Meters 통계 기준 총 215개국 중 스위스의 인구 백만 명당 테스트 건수 기준 40위(한국 87위), 총 감염자 수 기준 46위(한국 64위)임.
- 6.25. 이후 정부에서 PCR 테스트 비용 전액 부담 발표 이후 일일 검진수 증가(5월~6.25. 이전 평균 2436.37건, 6.25. 이후 평균 4302.33건)
- 진단키트 수요는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전망
ㅇ 진단키트 수요 동향
- 스위스 연방정부는 높은 정확도를 이유로 PCR을 선호하나 유통기업들은 지속적으로 경쟁력있는 항체 제품을 구하는 중임. PCR 진단키트는 고가의 DNA 증폭장치가 필수이기 때문에 이러한 장비를 구축하지 못한 중소 규모 실험실, 연구소 등 중심으로 항체 키트 수요가 지속되고 있음.
- 현지 글로벌 기업 로슈는 정확도 99.81%, 민감도 100%, 샘플당 18분 소요, 시간당 최대 300개 분석 가능한 항체진단키트 Elecsys® Anti-SARS-CoV-2 serology test 개발, FDA 승인을 받음. 또한 5월 14일에는 영국 PHE(public health england)에서 로슈 항체진단키트 시험, 100% 정확도로 확인돼 현재 영국 시장 출시를 준비하고 있음. 단 로슈의 신규 진단키트의 경우 PCR 진단키트와 같이 고가의 코바스e 애널라이저가 필요, 소규모 실험실에는 적합하지 않음.
- 연방정부는 PCR을 선호하지만 감염자 확산 방지를 위해 드라이브스루(drive-through) 등으로 항원·항체 검사를 겸용하고 있음. 현지 진단키트 유통사 담당자와의 인터뷰 결과 연방정부는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PCR 진단키트를 선호하고 있으나 유통사들은 PCR 수준의 높은 정확도(100%)를 보유한 항원·항체진단키트를 구하고 있음. 또한 공공 또는 의료기관을 통한 검사용 제품이 아니라 소비자가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셀프 테스트용 항원·항체진단키트가 출시될 경우 현지 호응이 클 것이라는 의견임.
- 현지 스타트업 기업이 상기 로슈와 동일한 스펙을 지닌 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발표한 바가 있으나 아직까지는 진단키트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임.
- 현지 유통업체에 따르면 RT-PCR 점유율은 Roche(스위스 본사) 및 Siemens(독일) 70%, C사 30% (한국)로 구성돼 있음. 항체 진단 관련 Roche(스위스), Abbott(미국), Diasorin(이탈리아)의 제품이 대형 랩에 적합하며 소규모 및 단기 진단을 위해서는 한국의 G사 제품 등이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단 대형 분석기기가 필요 없는 항체진단키트의 경우 정확도에 대한 요구수준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함.(90% 초중반으로는 부족)
□ 최근 수입 규모
ㅇ 2020년 5월 누계 기준 스위스의 진단키트 수입 규모는 2억1265만 달러임. 코로나19 진단키트 외에 타 진단키트가 포함됐으므로 코로나 진단키트와 관련해서는 최근 월별 수입통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음.
스위스 진단키트(HS 382200) 월별 수입동향
(단위: 천 달러)
순위 |
국가명 |
규모 변화 |
|||||
12.19. |
1.20. |
2.20. |
3.20. |
4.20. |
5.20. |
||
- |
전체 |
43,239 |
39,402 |
39,116 |
51,069 |
43,413 |
39,654 |
1 |
미국 |
11,504 |
10,875 |
11,566 |
14,299 |
10,409 |
9,686 |
2 |
독일 |
8,781 |
9,726 |
8,786 |
11,412 |
9,244 |
7,524 |
3 |
중국 |
2,590 |
780 |
393 |
687 |
7,430 |
7,236 |
4 |
네덜란드 |
4,012 |
3,504 |
3,042 |
4,289 |
2,966 |
2,305 |
5 |
영국 |
2,936 |
3,066 |
2,320 |
2,915 |
1,881 |
2,048 |
6 |
일본 |
1,912 |
2,115 |
2,817 |
3,035 |
2,703 |
1,839 |
7 |
프랑스 |
1,546 |
1,795 |
1,913 |
2,316 |
1,577 |
1,672 |
8 |
스웨덴 |
1,616 |
1,309 |
1,674 |
2,213 |
1,260 |
1,492 |
9 |
싱가포르 |
1,055 |
1,071 |
993 |
1,321 |
559 |
863 |
10 |
스페인 |
252 |
205 |
265 |
227 |
339 |
855 |
15 |
대한민국 |
324 |
340 |
454 |
1,429 |
809 |
315 |
자료: Global Trade Atlas
- 코로나19가 본격 확산하기 시작한 3~4월 기준 중국과 한국으로부터 수입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확인할 수 있음. 이와 관련 현지업계에서는 중국발 로슈의 진단키트 수출이 현지 여건 때문에 지연됐다가 재개된 것이며, 이 시점에 국산(C사) RT-PCR 제품이 스위스에 진출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음.
□ 주요 경쟁기업
주요 경쟁제품 현황
구분 |
기업명/유통업체명 |
브랜드명 |
본사소재지 |
|
PCR |
Roche |
Cobas 6800, Cobas 8800 |
스위스 | |
Abbott |
RealTime SARS-C0V-2 |
미국 |
||
Bio-Rad Laboratories |
1-Step RT-ddPCR Advanced Kit for Probes |
미국 |
||
Qiagen |
Artus SARS RG RT-PCR Kit |
네덜란드 |
||
씨젠 |
Allplex™ 2019-nCoV Assay |
한국 |
||
오상헬스케어 |
GeneFinder™ HPV PCR Kit |
한국 |
||
SpeeDx |
RESISTANCEPLUS® MG (550) |
호주 |
||
Diasorin |
LIAISON® SARS-CoV-2 S1/S2 IgG |
이탈리아 |
||
Siemens |
Fast Track Diagnostics (FTD) SARS-CoV-2 Assay Test Kit |
독일 |
||
항체 |
PharmACT |
Cov-2 RAPID TEST |
독일 |
|
HWV R. Blome GmbH |
Cleartest Corona 2019-nCoV lgG/lgM-Kassetten-Schnelltest |
독일 |
||
BGI |
2019-nCOV Schnelltest |
중국 |
||
Roche |
Elecsys® Anti-SARS-CoV-2 serology test |
스위스 |
||
Bosch Healthcare Solutions + Randox Laboratories |
Vivalytic COVID-19 rapid test (진단시약 및 진단기기) |
독일 아일랜드 |
||
Siemens Healthineers |
Fast Track Diagnostics (FTD) SARS-CoV-2 Assay RUO Testkits |
독일 |
자료: KOTRA 취리히 무역관, 프랑크프루트 무역관, 기업 홈페이지
ㅇ 2020.7. 현재 현지 진단키드의 수입 도매가는 PCR 및 항체진단키트 각 유형별 약 USD 9~15/테스트, USD 6~10/테스트 수준임.
□ 유통구조
ㅇ 코로나19 상황 초기 스위스는 진단키트를 포함한 전 방호물품에 대해 국방부 산하 군약국 단일 구매체제를 시도했으나 상황 완화, 조달 품목 수와 물량이 과다해 다시 개별 구매 체제로 회귀한 바가 있음.
- 비상사태 기간 동안(3월 17일~ 6월 18일) 스위스 정부조달은 국방부(Swiss Armed Forces, Defence)의 의료 부서* 산하 군약국**에서 코로나19 관련 진단키트 및 방호물품 일괄 구매(연방정부, 공립병원, 지자체 수요 통합)함.
주*: 의료 부서(Sanitaet): 군의 전반적인 의료 총괄하며, 보건 분야의 국가비상사태(전염병 등) 처리 담당
주**: 군약국(Armeeapotheke): 군 의료 서비스를 담당하는 물류전문기관. 약품·의료기기·의료기술의 조달, 생산, 보관, 납품, 유지보수 역할
ㅇ 대학병원 및 주립병원 중 자체적으로 수입 가능한 병원도 있으나 주로 공급업체를 통한 구매를 선호함.
- 예산절감을 위해 여러 병원들이 모여 조합과 같은 형태의 공동 구매 그룹을 운영하거나 대학병원이 지역병원의 공동구매를 대신하는 경우도 있음. 개인병원 및 지역병원 등 소규모 병원들은 수입업체 및 유통사를 통해 구매함.
자체 구매 가능 병원 및 그룹 리스트
분류 |
병원명 |
홈페이지 |
대학병원 (University Hospital) |
취리히 대학병원 |
|
바젤 대학병원 |
||
주립병원 (Canton Hospital) |
윈터투어 주립병원 |
|
아라우 주립병원 |
||
바덴 주립병원 |
www.kantonsspitalbaden.ch |
|
올튼 주립병원 |
www.solothurnerspitaeler.ch |
|
상갈렌 주립병원 |
www.kssg.ch |
|
공동구매그룹 |
Geblog |
|
med supply |
www.medsupply.ch |
자료: KOTRA 취리히 무역관
□ 관세율 및 인증
ㅇ 관세율
- 진단키트의 경우 FTA 협정으로 무관세임.
- 참고로 연방정부는 의료 및 기타 보호·소모품을 대상으로 4월 9일부터 10월 9일까지 관세를 일시적으로 중단하기로 결정함. 병원 및 의료관련 직원 및 환자들에게 필요한 장비를 원활히 공급하기 위함임.
ㅇ 인증
- 기본적으로 유럽 체외진단시약 인증(CE-IVD) 획득은 필수임. 항체진단키트의 경우 유통사에서 실험실로 제품을 송부해 정확도를 확인 후에 수입 여부를 결정함. 최근에는 현지에서 확진자 샘플 확보가 어려워져 샘플 테스트가 지연되고 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음.
□ 시사점
ㅇ 7월 8일 기준 스위스의 확진자 수와 테스트 수는 각 32,498명, 652,413건임. 록다운 해제 이후 정부에서는 RT-PCR 검사비용을 전액 부담하며, 확산방지를 위해 노력 중. 2차 감염 확대에 대한 우려, 정부의 검사 비용 지원 등으로 인해 진단키트 수요는 지속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ㅇ 현지 유통업체는 DNA 증폭기가 요구되는 RT-PCR 제품은 대학 병원 및 주요 실험실 등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중소형 실험실, 드라이브 스루 등 수요가 있으므로 항체 진단키트에 대한 관심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각 경쟁업체의 노력으로 인해 항체 진단키트의 정확도는 빠르게 개선되고 있으므로 우리 기업에도 지속적인 제품 혁신이 요구되고 있음.
ㅇ 현지 구매 채널은 코로나19 초기 국방부로 단일화된 적이 있으나 현재 각 수요처의 개별구매체제로 회귀한 상태이며, 일부 직수입이 가능한 병원도 있지만 현지 유통업체를 통한 판매루트 개척이 바람직함. 현지 진출 시에는 유럽 체외진단시약 인증(CE-IVD)이 필수이며,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정확도 개선이 중요함. 현지 유통업체들은 제품 샘플에 대한 자체 성능 테스트를 거친 후 제품을 판매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최근 테스트를 위한 확진자 샘플 확보가 어려워져 비즈니스 성사를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기존에 비해 다소 늘어난 것으로 파악되고 있음.
ㅇ 상기와 관련 필요 인증과 우수한 경쟁력을 지닌 제품으로 스위스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아래 연락처로 KOTRA 취리히 무역관을 접촉해주시길 요청 드림.
- 현지 담당자 : 이경희 과장
- 이메일 : kh.leestocker@kotra.ch
자료: GTA, 각 기업 홈페이지, Nau.ch, Tagesanzeiger, World O Meters, Sudostschweiz, 병원 및 기업 홈페이지, 스위스 연방 보건국, KOTRA 취리히 무역관, KOTRA 프랑크푸르트 무역관 자료 등 종합
'글로벌 비즈니스현황&코로나 바이러스 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 글로벌 및 비즈니스 동향 (0) | 2020.07.21 |
---|---|
이란 물가상승률 2021년 부터 잡힌다 (0) | 2020.07.20 |
인도네시아, 원산지 증명서 제출도 언택트 방식으로 (0) | 2020.07.17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캐나다 유망상품 및 부진산업 전망 (0) | 2020.07.16 |
로봇공학자에게 듣는 포스트 코로나와 로봇산업 협력방안 (0) | 2020.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