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지정부 정책 및 경제 동향
1. 북미
(1) 미국
ㅇ 보건복지부,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 및 직장 내 마스크 착용 권고 (자료: CNBC)
- 국가차원 마스크 착용 의무화는 불요, 개인은 책임 있는 행동 필요 (자료: CNN)
ㅇ 펜스 부통령, 경제 재개 및 코로나19 확산 방지 관련 주지사 유선 회의 개최 (자료: CNN)
ㅇ 뉴욕 주지사, 트럼프 대통령에 연방정부 차원 마스크 착용의무화 행정명령 촉구 (자료: CNN)
ㅇ NPD 그룹, 필수재 이외 품목도 소비 회복세 (자료: CNBC)
ㅇ 잠정 주택매매 전월비 44.3% 폭증(사상 최대 증가폭) (자료: Washington Post)
(2) 캐나다
ㅇ 캐나다 비상대응혜택(CERB) 부정수급 환수 예정(총 36.1만 건) (자료: CBC News)
ㅇ (온타리오) 주 긴급행정명령 10일 추가 연장(~7.10) (자료: CTV News)
ㅇ (브리티시 컬럼비아) 기업 파산, 근로자 영구 해고 방지를 위해 근로자 일시해고 기간 연장(16주→24주) 노동법 개정 (자료: CBC News)
2. 중국
ㅇ 국무원, 하이난 개방확대 조치 발표
- 하이난 5개 행정법규* 개정판 시행 예정(~2024년)
* 자가용 요트 하이난 진입시 담보 면제, 국제여객선·위험품 운송업무 심사권 중앙정부에서 하이난성으로 이양 등
ㅇ 발개위, 기업 전기요금 5% 할인 혜택 연말까지 6개월 연장
ㅇ 베이징시, 공공의료기관 핵산검사 비용 인하 (180→120 위안)
ㅇ 광저우시, 5월 공업 총 생산액 하락폭 3.6%p 감소한 6,500억 위안
- 의료방역 산업, 생산량 증가로 전년 대비 10% 증가
ㅇ 2020년 중국 클라우드 게임 시장규모 10억 위안 초과 전망
ㅇ 산둥성 상무청, 칭다오 수출상품 O2O 라이브쇼 진행
ㅇ (홍콩) HKTDC, Summer Sourcing 전시회 온라인 개최 추진(7.27~8.7)
- 주요 전시품목 : 의료기기, 가정용품, 선물용품 등
ㅇ (대만)
- 외교부, 6.29일부로 외국인 입국 허용(관광 등 제외)
- 2021년 코로나19 진단키트 글로벌 시장규모 금년 대비 2배 예상
* 투자컨설팅사(統一投顧), 백신 출시되어도 진단키트 시장 큰 폭 성장 전망(220억→ 585억 달러)
3. 유럽
(1) EU
ㅇ 7.1일부로 EU 국경 점진적 개방 : 한국, 일본, 호주, 캐나다 등 포함 14개 안전국에 우선 개방, 미국, 러시아, 터키 등은 제외
ㅇ EU집행위 및 유럽투자은행(EIB),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개발 기금 모금(6.29일 기준 총 159억 유로 모금 전망)
(2) 스페인
ㅇ 4월 법인세 및 부가세 세수 전년 동월 대비 각각 67%, 18% 감소
ㅇ KPMG 설문조사 결과, 전체 기업의 69%가 향후 6개월 내에 직원 급여 동결 또는 인하 예정 (자료: El Economista)
(3) 이탈리아
ㅇ 교육부 장관, 9.14부터 등교수업 재개, 교육관련 위생안전, 5만명 추가고용 등에 10억 유로 추가 예산 집행 (자료: Ansa, La repubblica, Il sole 24 ore)
(4) 기타 유럽
ㅇ (영국) 지속가능혁신기업 지원 목적 정부 기금 2억 파운드 런칭 (자료: 정부 및 BBC 뉴스, times, guardian 등)
ㅇ (스웨덴) 6월 실업률 9%(총 실업자 수 655,051명)로, 3월(7.4%) 대비 3개월 만에 실업률 1.6%p 증가 (자료: 정부, 국립보건청, SVT 등 현지 언론)
ㅇ (스위스) 7.6일부로 제3국(EU 역외국)민 취업 및 노동비자 발급 재개
ㅇ (세르비아) 노비파자(Novi Pazar), 크라구예바츠(Krahujevac)시지역비상사태 발동, 베오그라드 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자료: 세르비아 정부)
ㅇ (루마니아)
- 정부 긴급명령 승인(6.25)으로 루마니아내 기업 납세 연장 허용(~6.25→~10.25), HORECA(호텔 등 요식업) 기업은 별도로 특별산업세 3개월 추가 면세, 기한(7.25/10.25일)내 납부시 10% 면세 (자료: 루마니아 정부)
- 4월 VISA 카드결제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 특히 7명 중 1명은 코로나 이후로 첫 온라인 결제 경험 (자료: 현지 언론)
4. 일본
ㅇ 5월 소매업 판매액 12.3% 감소한 11조 650억 엔, 자동차·의복 등 내구재 소비 감소한 반면, 음식료품 수요는 회복세 (자료: 경제산업성)
* 품목별 동향 : 음식료품 2.2%↑, 자동차 ▵35.2%, 의복 ▵34.3%
ㅇ 고베공항, 취항 항공사 운영 재개했지만 발착편수 성수기의 절반 수준
- 7.1일부로 ANA가 하네다편을 일부 재개하며 취항 5개사 모두 재개 (자료: 고베신문)
ㅇ 아이치현, 5월 신차(경차 포함) 판매 대수 전년 동월 대비 46.5% 감소한 1만 6,400대 (자료: 중부경제신문)
ㅇ 공장가동률 상승을 위한 異업종간 “공장공유” 가속
- 수·발주 중개 서비스 등장, 자동차부품 공장을 활용해 의료기기·물류설비 부품을 제조하는 사례 증가 (자료: 닛케이신문)
ㅇ 도쿄상공리서치, 호쿠리쿠 3현(후쿠이, 토야마, 이시카와) 소재 기업 중 5월 매출 감소 기업 비중 83.7% (자료: 일본경제신문)
5. 동남아 대양주
ㅇ (베트남) 내수 활성화 위한 자동차 등록세 50% 감면 (자료: 베트남 정부)
ㅇ (인도네시아) 금년 세수 당초 예상 대비 3.46% 감소 예상 (자료: CNN)
ㅇ (태국) 제5차 경제제재 완화 7.1부 시행 (자료: Prachachat)
ㅇ (필리핀) 적십자사, 코로나19 검사 연구소 개설 (자료: Inquirer)
ㅇ (호주) 백신 개발 전에는 금년내 호주 국경 해제 어려울 것
6. 중동
ㅇ (UAE) 연방 정부기관 7.5일부로 100% 출근 시작 (자료: WAM)
ㅇ (요르단) 공항 재개, 7월 15일 이후 단계적 개방 예상 (자료: 알말카)
ㅇ (오만) 쇼핑몰 재개장 관련 추가 위생방역지침 발표 (자료: Oman Observer)
7. 중남미
ㅇ (브라질)
- 의료보관리국(ANS), 신속진단키트 검사 의료 보험 대상에 포함
- 7.1일부로 상파울루 주 공공장소에서 마스크 미착용시 벌금 500헤알 (자료: EXAME)
- 5월 공공예산, 1,266억 헤알 적자(1997년 이후 최악의 적자)
*3월부터 코로나19 대응에 약 4천억 헤알 소진 (자료: FOLHA DE SAO PAULO)
- 5월에만 정규직 일자리 331,901개 감소 (자료: UOL)
- Belo Horizonte시, 필수업종 제외한 사업장 운영 재금지 (자료: G1)
ㅇ (멕시코) 6.29일부로 멕시코시티, 께레따로 등 18개주, 병상 점유율 및 감염자 수 감소에 따라 신호등 체계상 주황불로 전환, 기타 멕시코주, 누에보 레온 등 14개주는 빨간불 유지 (자료: Milenio)
ㅇ (아르헨티나)
- 봉쇄령 7.17일까지 연장, 1단계 수준 강력 규제
- 6.29일부로 대중교통 이용 필수직업(의료진, 보안, 식품, 수출 등) 대상으로 제한
- 상공회의소(Fedecámaras), 1단계 봉쇄령으로 부에노스아이레스 시/주 35만 개 매장 영업 재중단, 10만 여개 매장 영구 폐업 가능성
- 보건부, 확진자 97%가 부에노스아이레스 시와 주에 밀집 (자료: 정부발표 및 INFOBAE)
ㅇ (도미니카공화국)
- 국가비상사태(7.1 종료) 대신 보건부장관령 “국가보건비상사태” 선포 (자료: 보건부)
- 대통령, 야당 반대로 국가비상사태 추가연장 포기, 현 정부 임기(~8.15)중 취약계층 지원조치 연장 (자료: 대통령 담화 발표)
ㅇ (파라과이) 압도 대통령, 3.5억 달러 규모 경기 부양책 발표 (자료: ultimahora)
8. 아프리카
ㅇ (남아공)
- 비츠대학교 Madhi 교수, 보건부 일일 확진자 통계는 실제 감염자 수의 10%만 반영. ’22년까지 몇차례 유행이 반복될 것
- 하우텡 주 보건부, 락다운 규제 완화로 확진자 수 급증
- 웨스턴케이프 주 내 학교 감염 확산(교직원 500명, 학생 100명 이상 감염) (자료: EWN)
- 택시협회, 탑승인원 제한 없이(기존 규제 70%) 운행 재개할 것 (자료: 남아공 정부)
ㅇ (케냐) 보건부 장관, 각 카운티별 코로나 대응 준비 아직 미비해 제재조치 추가 연장 필요
(현행 봉쇄조치 7.6일 종료)
- 코로나19 대응에 4-6월간 총 64억 실링(약 6400만 달러) 지출 (자료: Business Daily)
ㅇ (수단)
- 보건부, 확진자 지속 증가로 이동제한조치는 7.7일까지로 연장, 수단 공항 폐쇄는 7.12일까지로 재연장
- 카르툼州 안보위, 수단시민혁명 1주년 시위 집회 대비 강력한 치안조치 시행 6.29-7.1일간 카르툼 전면통행금지 조 치 (자료: 대사관, SUNA Agency)
9. 서남아
ㅇ (인도)
- 7.15일까지 국제선 항공편 중단
- 인도산 철강, 최대 구매처인 중국으로의 수출비중 48% (자료: Business Standard)
ㅇ (방글라데시) 다카 제외 나머지 확진자 급증지역 재봉쇄
10. CIS
ㅇ (러시아)
- 소비감독청장, 정부는 코로나바이러스 2차 확산 대비 중으로 가을쯤 코로나 백신 생산 기대, 생산되면
대규모 예방접종 계획 검토
- 외국인이 러시아에서도 노동 허가와 임시 거주등록을 받으려면 먼저 COVID-19 검사를 받도록 하는 정부령 발표
ㅇ (카자흐스탄) WHO, 카자흐스탄을 코로나19 급증 국가로 분류
ㅇ (벨라루스) 한국발 벨라루스 입국 검역기준 완화(자가격리 면제)
* 입국 48시간 전에 받은 PCR 음성판정 증빙 제출 필요
□ 해외 현지 기업 동향
1. 북미
ㅇ (미국)
- 다나허(Danaher), 美 식품의약청(FDA)서 코로나19 항체 검사 긴급사용 승인, 항체 검사 400개 병원에 배송. 月 3천만 건 이상 검사
- 아마존(Amazon), 코로나19 중에도 근무한 직원에 ‘감사 보너스’ (정규직 500달러, 시간제 근로자 250달러, 홀푸드 매장 관리자 1000달러)
- 길리어드(Gilead), 코로나19 치료제인 렘데시비르 개당(vial) 가격선진국 정부 390달러, 미국 민간 보험회사 520달러로 책정
- 브로드웨이, 연말까지 모든 공연 중단 (자료: CNBC)
ㅇ (캐나다)
- Air Canada, WestJet 등, 7.1일부로 기내 사회적 거리두기 중단, 항공기 전 좌석 예약 허용 (자료: CBC News)
- Thoughtexchange(클라우드소싱 스타트업), C$1,000만 규모 투자 유치. 3월 이후 재택근무 증가로 온라인 단체 대화 플랫폼 이용률 600%이상 증가 (자료: Betakit)
- 태양의 서커스(Cirque du Soleil), 코로나19 여파로 파산 신청
2. 유럽
ㅇ (독일)
- 루프트한자, 주주총회에서 국가재정지원 수용 승인, 약 16% 인력 구조조정 등 구체적 재정긴축 실행방안 검토 (자료: handelsblatt)
- 다임러, 자사와 유럽내 자동차 및 부품제조사를 위해 의료용 보호 마스크를 독일 공장(Sindelfingen)에서 생산 (자료: automobilwoche)
ㅇ (영국) BP, Covid-19으로 악화된 재정 건전성 회복위해 Ineos에 화학분야 50억 달러에 매각 합의 (자료: BBC 뉴스, times, guardian 등)
ㅇ (스웨덴) H&M, 매출 타개 위해 온·오프라인 혼용시스템 도입예정 (자료: DN)
ㅇ (이탈리아)
- Narvalo(마스크생산 스타트업 회사), Covid19 포함 대기 오염물질 99.9% 차단 내부 필터를 사용하며 GPS 연결로 해당지역 대기오염 확인가능한 마스크 출시 (자료: Il sole 24 ore, money)
- Nibol(스마트워킹 예약어플회사), 스마트워킹 증가로 회의 공간 예약 서비스 제공. 밀라노에 15개 지점 운영 (자료: Il giorno)
3. 일본
ㅇ 토요타자동차, 2월 초부터 중단한 일본 국내공장 근무 기간제 종업원 채용 5개월 만에 재개 (자료: 일본경제신문)
ㅇ ACALL(사무자동화시스템 개발), 원격근무 생산성 가시화 서비스 제공 (자료: 일본경제신문)
ㅇ 규슈대 연구소, 누에고치에서 코로나 백신 후보물질 개발 성공 (자료: apital)
4. 동남아 대양주
ㅇ (인도네시아) PT Biznet(통신), 사무실 인터넷 가동률 50% 증가
ㅇ (호주) 대형 슈퍼마켓 울월스와 콜스, 로봇 물류시스템 도입
5. 중남미
ㅇ (멕시코)
- 국영석유공사(PEMEX), 5월 휘발유 판매량 전년대비 ▵36% (자료: El Econ1omista)
- 아에로멕시코(Aeromexico), 7월 총 항공편 6천 편 이상 편성 예정 (자료: Expansion)
ㅇ (아르헨티나) 유럽 항공사(Air France, KLM, Iberia), 7~8월 사이 아르헨티나발 유럽행 특수 항공 운항 예정
6. 중동
ㅇ (사우디) ARAMCO, 수익성악화에도 불구 대규모 배당 계획
ㅇ (UAE) 에미레이트 항공, 7월 중 취항지 4개 도시 추가(총 52개 도시)
7. CIS
ㅇ (러시아)
- Sberbank(러시아 최대은행) 소비자 대출 이자 1%p 인하(1백만 루블 대출시 11.9% 이자율 적용)
- 가스프롬(Gazprom), 對중국 가스 공급을 440억 큐빅 미터까지 확대 방안 중국과 협의 중. 최근
서방 제재조치 및 국제유가 하락과 더불어 가스 공급 다각화 움직임 확대

'글로벌 비즈니스현황&코로나 바이러스 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물티슈 시장동향 (0) | 2020.07.03 |
---|---|
덴마크 홈오피스 시장 트렌드 (0) | 2020.07.03 |
코로나19 글로벌 및 비즈니스 동향 (0) | 2020.06.30 |
모잠비크, 코로나19로 정수기 시장 급성장 (0) | 2020.06.29 |
싱가포르, 디지털 통상 글로벌 협력 확대 (0) | 2020.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