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글로벌 및 비즈니스 동향
□ 코로나19 글로벌 동향
1. 중국
ㅇ '감염증 해외 역유입·국내 재확산' 방지에 총력
- 각 省, 경제·사회활동 회복에 주력할 것을 당부 (자료: 국무원)
* 기업조업재개를 지연시키는 불필요한 심사, 등록(備案) 엄금
ㅇ 3월 중순 생산수단 유통단계 시장가격 하향 안정세
- 50개 조사품목 중 가격 상승 12개, 하락 36개, 보합 2개 (자료: 국가통계국)
* 1)흑색금속, 2)유색금속, 3)화공제품, 4)석유·천연가스, 5)석탄, 6)비금속건자재, 7)농산품(가공용),
8)농업생산수단, 9)임산품 분야, 1,700개 업체 현장조사, 월 3차례(4·14·24일) 발표
ㅇ 리커창 총리, 제조업 조업재개 중점 정책방향 제시
- 글로벌 산업체인 관련 제조업 우선 조업재개, 소비 신업태* 육성, 중소기업·개인사업자 지원, 해외주문 위축 대응
온라인 상담·전시 강화 (자료: 중국정부망)
* 온라인판매·요식·진단·교육, 지역커뮤니티 서비스 및 농촌 전자상거래 등
ㅇ 국가철도집단공사, 3.25일부 200여개 도시철도(단거리 열차) 요금 인하
- 조업회복 가속화 조치의 일원
ㅇ 후베이성(우한 외), 3.25일 0시부터 봉쇄 해제, 우한은 4.8일부터 가능
ㅇ 광둥성정부, 제 127회 캔톤페어 연기 발표 (자료: 인민일보)
ㅇ (홍콩) 항공업계 지원 10억 홍콩달러 지원 계획 발표 (자료: 홍콩정부 공지)
ㅇ (대만) 교통 인프라 프로젝트 조기 발주 추진, 하반기 프로젝트 3개월 앞당겨 발주. 약 700억 대만달러 투자 효과
(자료: 자유시보)
2. 북미 지역
(1) 미국
ㅇ 트럼프, 부활절(4.12)까지 모든 비즈니스 재개를 희망하며, 상원에 코로나19 경기부양책 통과 촉구 (자료: Fox News)
ㅇ 백악관-의회간 코로나19 경기부양책 합의 임박, 세부사항 검토 후 3.24 저녁 표결 예정 (자: Washington ) - 공화당(Doug Collins), 폼페이오 국무장관에게 미 의료장비 생산 가이드라인 제공과 수출 제한 실시 요구
(자료: CNN)
ㅇ 연방재난관리청, 진단키트 6만개, 마스크 5억개 생산에 국방물자법 활용 (자료: CNBC)
- 뉴욕주로 인공호흡기 2천개 기선적, 3.31일 추가 2천개 선적 예정 (자료: CNN)
ㅇ 뉴욕주, 예상보다 많은 14만 개의 병상이 필요하며 코로나19 확산은 14~21일 이후 정점을 찍을 것 (자료: CNBC)
- 인공호흡기 7천개 추가 확보했으나 14일내로 추가 3만개 필요 (자료: CNN)
(2) 캐나다
ㅇ 경기부양 법안(C$820억 재정지원) 통과 관련 의회소집 예정
- 연방정부 차원의 국가 비상사태 선포 단계는 아니라는 입장 (자료: CTV News)
ㅇ 온타리오주, 재택근무 예외업종 발표(식당, 의료, 통신, 농업, 은행 등), 노동법 개정 및 전기·수도세 인하 방침
(자료: 주정부, CBC News)
ㅇ 퀘벡주, 3.24일부터 필수 업종 제외 모든 사업체 3주간 폐쇄 조치
- 드라이브 스루 검진소 오픈(3.23) 후 확진자 급증 (자료: Global News)
3. 유럽 지역
(1) EU
ㅇ 유로존 19개국 재무장관, 회원국들의 심각한 경제 침체가 EU의 재정준칙 면책 사유에 해당, 각국 경기부양을
위해 재정준칙 준수를 일시 중단하자는 집행위의 제안에 동의 (자료: EU 이사회)
* 회원국의 재정적자를 GDP의 3% 이하, 국가부채율을 60% 이하로 유지도록 규정한 EU 재정준칙 면제로 인해
의료, 구호활동, 경기 부양을 위한 특별 조치 범위 확대 가능
ㅇ EU 집행위, 국경 통제로 국경지역 도로정체가 심화되자 원활한 물자수송 유지를 위한 녹색차선
(green lanes) 도입 제시 (자료: EU 집행위)
* 화물트럭은 별도 서류 확인 없이 최소한 검역 과정만 거치면 15분 내에 국경 통과 가능, 주말 및 야간은
국경 통제 중단
(2) 이탈리아
ㅇ 전 산업 운영 중단(3.21~4.3) 예외 필수산업 분야 및 주요내용 발표 (자료: 정부당국 홈페이지, 밀라노총영사관)
* 의약품, 의료기술, 의료용품, 농식품 관련 생산, 운송, 판매, 배달 활동은 항상 허용
* 업무 및 건강상 응급상황 제외, 거주중인 도시 외부 이동 금지(대중교통 및 개인차량 모두 적용)
* 운송, 물류(항공, 선박, 육로 포함)업과 전문직 사무실(변호사, 회계사 등)의 운영 허용
* 위 행정명령 발효로 활동이 중단되는 기업은 3.25까지 활동 중단을 위해 필요한 조치(재고 물량 배송 등)
를 완료해야함
ㅇ 중국당국 의료용품 펜사 공항 도착 (자료: il sole 24)
* 의료마스크 150만개, 인공호흡기 155개, 의료장갑 20.5만개, 진단 키트 1천개 및 보호복 등
(3) 프랑스
ㅇ 국가위생비상사태 발효(3.24)로 허가증 없이 외출 시 벌금 인상
* 총 43 건의 행정명령 발효 예정, 그 중 24건 3.24일 국무회의에서 결정
- 외출 예외조항 지침 강화. 운동 위한 외출일 경우 집 주변의 1km 이내, 1시간 이내 하루 1번, 단독으로만 가능
ㅇ 주택부 장관, 에어비엔비에 의료진에게 숙소를 무상 제공하고 싶은 이들이 이용 가능한 플랫폼 개설 권고
(자료: TF1 뉴스, 르몽드. 레제코)
(4) 독일
ㅇ 내각 긴급구제금융 1,560억 유로 추경예산안 통과, 연방국회 동의절차(하원 3.25, 상원 3.27) 후 차주부터 지원 전망
1. 소기업, 자영업자, 예술인 등 무상지원 500억 유로
2. 의료장비, 백신개발 등 지원 550억 유로
3. 사회보장비 명목 자영업자 손실보전 지출 77억
ㅇ 통금 실시 지역 확산(바이에른 주, 작센 주 이어 자아란트 주 도입) (자료: focus)
(5) 영국
ㅇ 총리 대국민 성명(3.23)으로 3.23 22시 3주 간 이동제한령, 위반시 공권력 개입 (자료: BBC 뉴스, 정부사이트 gov.uk)
ㅇ 외무부 장관, 해외에 있는 자국민 신속 귀환 요청
(6) 스페인
ㅇ 국가경계령 15일 연장(3.29→4.11) (자료: 현지 정부)
(7) 그 외 유럽지역
ㅇ (네덜란드) 코로나 확산 저지를 위한 추가 조치 발표
* 100명 이상 모임, 행사 금지 조치 연장(4.6→6.1), 장례식/결혼식은 예외
- 코로나 관련 제품 구매 부서 단일화(네덜란드 보건부에서 네덜란드 대학병원 연합 센터(www.nfu.nl)로 변경)
* 무역관, NFU에 진단키트 및 병원 필요 제품 수요 타진 중
ㅇ (덴마크) 프레데릭선 총리, 대국민 기자회견
* 보육시설, 교육기관, 인구밀집지역 영업금지 4.13일까지 연장
* 입국제한 등 국경통제는 4.13일까지 유지
ㅇ (스웨덴) 전국 초등학교(3,6,9학년), 고등학교 춘계 학력평가시험 취소
- 국회 재정위원회, 기업에 조기 세금환급 결정, 3.30일부터 신청가능
ㅇ (스위스) 대응기금 307억 프랑으로 재조정 및 확정
- 이 중 200억 프랑은 기업대출 시 5십만 프랑 전액, 그 이상은 85%를 정부 신용보증에 활용 (자료: 스위스 연방정부)
ㅇ (그리스) 전국 통행 금지령 시행 (3.23. 06:00~4.6.06:00)
4. 기타 지역
(1) 일본
ㅇ 30조엔 규모 긴급경제대책 추진(4월초 결정 목표)
- 현금(또는 상품권)지급, 외식, 여행대금 일부보조 등 검토, 업무실적 악화 중소기업 자금융통 지원 확대 등
- 소비세 감세는 금번 정책 내 미포함 예정 (자료: 산케이신문, 도쿄신문)
ㅇ 도쿄도, 감염확대방지 “신규대응방침” 발표
- 중증환자 입원병상 700상 확보, 원격근무제 도입 관련 보조금 등 (자료: 닛케이신문)
ㅇ 후생노동성, 코로나19 경증상자 대상 온라인진료 보험 특례적용
- 기존 생활습관병·만성질환자 대상에서 코로나19 경증상자 추가
ㅇ 경제산업성, 안전망 보증제도 대상업종 지정(’20.4.1-6.30)
- 중소기업·소규모사업자 자금융통 지원 관련 긴급융자보증제도로, 한도 2.8억엔, 보증비율 80%,
제조·요식업 등 상세분류기준 총 587업종
(2) 동남아대양주
ㅇ (베트남) 다중시설에 대한 서비스 최소화 권고
- 식당·대규모집회 등 대상 4.5일한 시행 (자료: baochinhphu)
ㅇ (인도네시아) 1분기 경제성장률 4.5~4.9%로 추락 전망 (자료: 현지 정부)
ㅇ (싱가포르) 싱가포르 미거주 신규 외국인 대상 치료중단 (자료: 보건부)
ㅇ (말레이시아) 이동제한조치 1~2주 연장 검토 (자료: 현지 정부)
ㅇ (태국) 3.26일부 국가비상사태 돌입 (자료: Thai PBS, Mthai Twitter)
ㅇ (필리핀) 두테르테 대통령에 비상권한 부여 법안 통과
- 민간병원 직접운영, 예산 재분배, 모든 금융기관 지휘 (자료: INQUIRER.NET)
ㅇ (호주) 대공황이후 최악의 실업률 기록 예상(15%) (자료: Sydney Morning Herald)
(3) 서남아
ㅇ (인도) 모디총리, 봉쇄기간 4.15로 시한 연장 (자료: 현지 정부)
- 인구 13억 5천만 명 중 20%(3억 명) 감염될 수 있다고 경고 (자료: South China Morning Post)
(4) 중동
ㅇ (UAE) 체류기한을 초과한 여행객의 체재기간 연장 허용 예정
- UAE 국적 해외 유학생 대상 48시간 이내 귀국 종용 (자료: 재난관리청, 교육부)
ㅇ (사우디) 내무부, 야간 통행금지 위반자 집중 단속 (자료: Arab News)
ㅇ (터키) 대중교통 탑승 50%제한, 식료품점 운영시간 일원화 (자료: Daily Sabah, AA)
ㅇ (요르단) 정부, 식료품·가스 등 필수품 조달 시행 (자료: Roya News)
ㅇ (바레인) 코로나19 확산 방지 조치 위반 단속 시작 (자료: 보건부)
ㅇ (이집트) 야간 통행금지 및 추가 조치사항 발표 (자료: 현지 정부)
ㅇ (오만) 모든 상점 무기한 영업 금지 (자료: 현지 정부)
(5) 중남미
ㅇ (멕시코) 코로나19 감염경보 2단계로 격상, 향후 3~40일 간의 추이를 살피기로 함 (자료: El Financiero)
ㅇ (브라질) 3.23일부터 30일간 이란발 외국인 출입 제한
- 과룰류스 공항(GRU)은 모든 국제선은 3번 터미널을 통해서만 운영
- 위생감시국(ANVISA), 관련 법령 RDC 356 2020을 통해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우선순위 품목 제조, 수입,
취득에 대한 규정 완화 (자료: O Estado de Sao Paulo)
ㅇ (파라과이) 16억 달러 규모 차관 도입 계획
- 공항 폐쇄(3.24~4.12)로 파라과이 입국 항공 운항 전면 중단 (자료: ultimahora)
ㅇ (파나마) 3.24일부터 통행금지 시간 연장(21:00-05:00→17:00-05:00)
ㅇ (엘살바도르) 격리 조치로 실직한 가정에(한시적 실직 포함)에 매달 $300 보조금 지급
(6) 아프리카
ㅇ (남아공) 확진자 급증(61→402명)에 따른 락다운 선언
- 3.26일 자정부터 총 21일간 병원, 의약품 구매 등 목적 외 외출 불가
- 코로나19 연대펀드(1.5억 랜드) 조성, 남아공 부호가 총 20억 랜드 기부
- 각종 세금 납부 유예, 임금 지원 등 중소기업 지원정책 발표 (자료: 정부 발표)
ㅇ (케냐) 코로나 확산방지 규제 강화(3.26부터 전 국제선 운항 중단) *보건부
* 조치 이전 기입국자는 모두 국가격리시설에 강제 자가격리, 비용은 각자 부담
- 경제위기 부양 위해 14억 달러 별도 예산 배정 (자료: The Standard)
ㅇ (코트디부아르) 육해공 국경을 통한 모든 인적이동 봉쇄, 검역통제 하에 상품 이동만 허용 (자료: 보건부)
ㅇ (에티오피아) 3.23일부터 대규모 모임 중지 및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
- 3.23(월)부터 모든 입국 승객 대상 지정시설 14일 의무 격리 조치
* 입국 희망자는 공항 체크인시 14일 격리 호텔비를 납부해야 탑승권 발급 가능
(7) CIS
ㅇ (러시아) 모스크바시, 코로나19 확산방지 시장령 발표
- 산업부, 4월초까지 손세정제 생산량 확대, 4월 중순까지 의료용 마스크 생산량 500만장/일로 확대 지원
- 연방 수의식물위생감시청, 3.30일까지 곡물 수출금지 발표 (자료: 타스통신 등)
ㅇ (카자흐스탄) 소득 상실 국민에게 매월 약 95달러 수준 보조금 지급 명령
- 약 150만명 수혜 예정, 기타 채무 상환기간 연장 등 지원책 발표
ㅇ (아제르바이잔) 코로나19 관련 11가지 조치 발표
- 65세 이상 외출금지, 모임금지, 특정 지역 외부차량 진입금지, 장거리 대중교통 중지,
해외 국민 전세기 활용 귀국지원 정책 등 (자료: 현지 정부 및 언론)
□ 해외 현지 기업 동향
1. 중국
ㅇ 정저우 팍스콘, 조업율 100% 생산능력 평소수준 회복 (자료: 허난성정부)
ㅇ 산둥성 규모 이상 제조기업 조업재개율 99.7%, 마스크 생산 대폭 확대
- 공신청 부청장 "한 달 동안 산둥성 마스크의 일 생산량 120만개에서 1,100만개로 확대" (자료: 해보신문)
2. 북미
ㅇ (미국) General Electric, 생산시설 24시간 가동으로 인공호흡기 양산 두 배 증가, 6월말까지 다시 두 배 증대 예정
- 항공업, 승객 수익 전년비 44%(2,520억 달러) 감소 예상하며 항공 산업 회복에 6개월 이상 소요 전망 (자료: CNBC)
- Gliead, 코로나19 치료제 미 식약청 희귀의약품 지위 획득 (자료: CNBC)
- Citi, 금주부터 뉴욕, 워싱턴, 마이애미, 시카고, 샌프란시스코, 로스앤젤레스 등 위주로 전체 지점의 10~15%
영업 중단 (자료: CNBC)
- Amazon, 제품가격 과다 인상 판매자 3,900명 계정 정지 (자료: CBS News)
ㅇ (캐나다) Bombardier, 주정부 폐쇄 조치 및 항공 수요 감소로 생산라인 중단 및
근로자 70% 임시 해고 (자료: Financial Post)
3. 유럽
ㅇ (독일) Lufthansa, 총 항공노선의 5%만 운행(763대 중 700대 비행중단), 총 23,000편
운항 취소 및 한국 노선 운영중단(3.16.∼ 3.27)
- Fraport, 지난 주 기준 프랑크푸르트 공항 이용객 73.5% 감소, 물류량 36,591톤으로 1/5 수준으로 감소,
대다수 직원 근무시간 단축, 일부 화물운반 벨트 폐쇄 (자료: FNP)
4. 일본
ㅇ Topre·유니프레스, 중국 우한 신공장 건설 1개월 이상 지연 (자료: 닛케이신문)
ㅇ 자동차 7개사, 미주생산 중지에 따라 생산 30% 감소
- 도요타 등 일본계 자동차 제조사는 유럽에 이어 미국 공장가동 중지*, 일시적으로 30% 정도 생산량 감소 전망
* 도요타는 약 2주간 생산정지기간을 연장 예정, 기업에 따라 7-14일
- 닛산은 인도공장 또한 중지(3.23-재개시기 미정)되는 등, 세계 각지의 공장 중지로 인한
영향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 (자료: 닛케이신문)
ㅇ 메이테츠, 2020년도 설비투자 계획 발표(당초 3.23~3.24)를 연기하고 기존 투자 계획의
내용 및 금액 재검토 예정 (자료: 일본경제신문)
5. 동남아대양주
ㅇ (호주) 최대철강사 BlueScope, 가동 중단되었던 중국생산 공장 4개소 모두 정상가동 (자료: Financial Review)
6. 중동
ㅇ (UAE) 2대 항공사인 에티하드항공도 직원 급여삭감 조치 (자료: Gulfnews)
□ 해외 현지 비즈니스 환경 동향
1. 중국
ㅇ 의료 서비스용 로봇 수요 확대 전망
- 체온측정, 병실 소독 등 간호 보조 가능 서비스 로봇 보급 확대
- 동롼메디컬(东软医疗), 다마위안메디컬(达摩院医疗) 등은 병실 내 청소, 소독, 음식배달 로봇 상용화
- 알리바바그룹, AI기술을 활용해 20초 내 진단 가능한 정확도 96%의 CT영상 진단기기 개발 (자료: 중국로봇망)
ㅇ 전기밥솥, 화상회의 관련 설비, 자동차 점프 스타터 수요 증가
- 징둥 빅데이터연구원에 의하면, 2월 상순 화상회의 관련 설비(스피커 등) 거래량 전년 대비 20배 증가,
2월 하순 전기밥솥 수요량 폭증, 전월대비 528% 증가, 차량 점프 스타터 전년 대비 2~3배 증가
ㅇ Neolix社 자율 주행차 판매 폭발적 증가
- 1~2월 간 약 200여대 오더, 현재 재고 부족 (자료: 전자창신망)
* 1회 배터리 충전으로 주행 100km, 시속 50km로 자율주행 가능, 방역기간 중 거리소독 및 방역업무
종사자에 물품 전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
ㅇ (대만) 2월 소매 업태별로 실적 차이. 통신판매(온라인·카탈로그 쇼핑 등) 증가(29.2%),
백화점 감소(△25.6%) (자료: 경제부통계처)
2. 북미
ㅇ (미국) 2월 신규주택판매 전월비 4.4% 감소
- 공급관리자협회(ISM) 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 39.1, 제조업구매자관리지수 49.2 기록 (자료: CNN)
3. 일본
ㅇ 코로나19로 쿠마모토현 축산/낙농업계 타격 심화
- (축산업) 외식수요 급감으로 우육 출하 평균가격 3개월 연속 하락
- (낙농업) 임시휴교의 여파로 우유 잉여재고 발생 및 수익급감 (자료: 야후재팬)
4. 동남아대양주
ㅇ (베트남) 섬유봉제산업에 큰 타격
- Walmart, Target 등 미국·EU 바이어 오더 중단 통지 (자료: Vietnam News)
ㅇ (인도네시아) 온라인 음식배달 주문량 증가 (자료: Jakarta Post)
ㅇ (싱가포르) 최대 식료품 유통기업 FairPrice, 매주 월요일 1시간(7~8am)에 취약계층 안전쇼핑 시간 배정 (자료: Channel News Asia)
ㅇ (호주) 헬스장 출입금지로 온라인 홈트레이닝 프로그램 인기 (자료: 현지 언론)
5. 서남아
ㅇ (인도) 자동차산업, 3월 한달간 75만대 손실 발생 전망 (자료: 이코노믹 타임즈)
6. 중동
ㅇ (UAE) 국영 석유공사, 주유소 내 비접촉식 결제 옵션 확대
ㅇ (사우디) 호텔 취소 수수료 면제 조치 발표
7. 중남미
ㅇ (멕시코) 주요 자동차 바퀴·휠 제조공장인 Bridgestone, Michelin, Pirelli, Goodyear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자동차업계 수요감소 및 수출 감소로 인해 일시적으로 공장 가동 중단 (자료: El Economista)
- 자가격리(쿼런틴)로 인해 틀락스칼라, 와하까, 게레로를 중심으로 3.1천만 명의 비정규직
발생할 전망 (자료: Helado de México)
8. 아프리카
ㅇ (남아공) 필수 기관 제외 일반 회사 락다운 명령 동참 필수
ㅇ (케냐) 코로나19관련, 이동경로 파악가능 앱 론칭
- 모든 공용버스, 택시, 보다보다(오토바이 운송 서비스) 이용자 신상정보 등록 의무화, 케냐인 53%
공공 교통수단을 이용 (자료: The Standard)
9. CIS
ㅇ (러시아) 대면접촉 대신 원격 미팅 등으로 비즈니스 방식 변화
- 코로나19 전국 확산으로 기업/기관 구분 없이 대면접촉 최소화, 전화, 이메일 등 적극활용.
화상/전화회의, 원격회의 확대